A Causality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Park Visitor Use and Economic Variables

국립공원 탐방수요와 경제변수간의 인과성 분석

  • Sim, Kyu-Wo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
  • Lee, Ju-Hee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Daegu University)
  • 심규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 이주희 (대구대학교 관광경영학과)
  • Received : 2010.05.11
  • Accepted : 2010.08.25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 uses of national parks and 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index of industrial product and the consumer price index. The results from the Granger Causality test showed that the index of industrial product and the consumer price index influenced visitor use at national parks. Also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the index of industrial product and the consumer price index greatly influenced national park visitor use in the short term as well as the long term. The study showed that national park visitor use was mainly influenced by variance decomposi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conomic variables could be used to not only forecast the demand for recreation but also establish recreational policies.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수요와 경제변수인 산업생산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인과 관계검정 결과 산업생산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는 국립공원 탐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격반응분석 결과 산업생산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가 단기적으로 큰 반응을 보이기 시작하여 장기적으로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산분해분석 결과 국립공원 탐방수요는 자체변수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경제변수는 휴양의 수요를 예측하고 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일, 이강욱. 2008. 관광수요 예측에서 정성적 영향 변수의 적용에 대한 실증 분석. 관광연구저널 22(4): 151-167.
  2. 김무형, 임대봉. 2007. 환율 및 유가변동의 철강산업에의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20(2): 455-474.
  3. 김사헌. 2003. 관광경제학. 백산출판사.
  4. 김시중. 1993. 한국 국제관광수요의 계량경제학적 예측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17: 57-80.
  5. 박미성, 김태훈. 2008. POS 자료를 활용한 쌀 소비지가격과 산지가격의 인과성 분석. 농촌경제 31(6): 1-16.
  6. 배만규. 1998. 여행시간의 기회비용측정. 관광학연구 특별호 22(2): 382-388.
  7. 송근석, 송학준. 2006. 국제관광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방한 일본인을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8(2): 112-127.
  8. 신원섭, 김태운. 1998. 월악산 국립공원 이용객의 자연에 대한 심리태도수준이 공원관리 인식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산림휴양연구 2(1): 65-78.
  9. 윤여창, 윤영일. 1996. 산림휴양수요의 예측-10개 산악형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산림경제연구 4(2): 29-36.
  10. 이주희, 한상열. 2003. 국립공원 휴양수요의 계절변동에 의한 분류. 시계열분해법의 적용. 한국임학회지 92(3): 199-207.
  11. 이홍재, 박재석, 송동진, 임경원. 2005. EViews를 이용한 금융경제 시계열 분석. 경문사.
  12. 임은순. 1990. 한국관광에 대한 미국인, 일본인 및 대만인 방문객들의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14: 141-156.
  13. 장병문, 배민기. 2002. 자연공원의 분위기가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0(1): 29-43.
  14. 정하광. 1991. 국립공원 이용객의 변동요인과 수요예측 모형결정. 한국조경학회지 19(2): 12-22.
  15. 한상열. 2006. 국립공원 탐방수요모형의 개발 : 시간거리를 이용한 중력모형의 적용.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0(1): 13-19.
  16. 한상열, 김태균, 조재환, 최 관. 1999. 원목수입재가격의 통태적 분석. 한국임학회지 88(1): 1-10.
  17. Akis, S. 1998. A compact econometric model of tourism demand for Turkey. Tourism Management 19(1): 99-102. https://doi.org/10.1016/S0261-5177(97)00097-6
  18. Convington, B., Thunberg, E.M. and Jauregui, C. 1994. International demand for the U.S. as a travel destination.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3(4): 39-50.
  19. Crouch, G.I. 1994. The study of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A review of finding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3(1): 12-23. https://doi.org/10.1177/004728759403300102
  20. Crouch, G.I. 1992. Effect of income and price on international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19(4): 643-664. https://doi.org/10.1016/0160-7383(92)90059-X
  21. Greenidge, K. 2001. Forecasting tourism demand: an STM approa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28(1): 98-112. https://doi.org/10.1016/S0160-7383(00)00010-4
  22. Dickey, D. and W. A. Fuller. 1979. Distribution of the estimates for autoregressive time series with a unit root test.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4: 427-431. https://doi.org/10.2307/2286348
  23. Hui, T.K. and Yuen, C.C. 1996. The effects exchange rate, income, and habit on Japanese travel to Canada. Journal of Travel & Tourism Marketing 5(3): 265-275. https://doi.org/10.1300/J073v05n03_07
  24. Lathiras, P. and Siriopoulos, C. 1998. The demand for tourism to Greece: A cointegration approach. Tourism Economics 4(2): 171-185. https://doi.org/10.1177/135481669800400204
  25. Lee, C.K., Var, T. and Blaine, T.W. 1996. Determinants of inbound tourist expenditur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3(3): 527-542. https://doi.org/10.1016/0160-7383(95)00073-9
  26. Lim, C. 1997. Review of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model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4(4): 835-849. https://doi.org/10.1016/S0160-7383(97)00049-2
  27. Loeb, D.P. 1982. International travel to United States: An economic evalu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9(1): 7-20. https://doi.org/10.1016/0160-7383(82)90031-7
  28. Qu, H. and Lam, S. 1997. A travel demand model for Mainland Chinese tourists to Hong Kong. Tourism Management 18(8): 593-597. https://doi.org/10.1016/S0261-5177(97)00084-8
  29. http://www.fn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