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M을 활용한 충북지역 자연휴양림의 보전가치 추정연구

Estimat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Recreation Forests in Chungbuk through CVM

  • 강기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Kang, Kee-Ra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9.03
  • 심사 : 2010.10.11
  • 발행 : 2010.12.30

초록

자연휴양림은 개인의 자아개발과 자연에 대한 교육, 숲 속에서의 심신의 휴양공간을 방문객에게 제공하는 공익적 시설중의 하나다. 이러한 방문객이 누리는 휴양의 가치는 단순히 방문비용만으로 그 가치를 추정하기 곤란하다. 이러한 환경재, 또는 비시장재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많이 적용되어진 기법 중의 하나가 조건부가치측정법 또는 가상적 가치추정법이라고 불리는 CVM 이다. 모집단으로 설정한 충북지역 12개소 자연휴양림 중 6개소를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여 경제학적인 접근법으로 측정한 충북지역의 일인당 연간 휴양의 가치는 약 14,000원에서부터 약 16,500원 사이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연간이용객을 적용한 충북지역 자연휴양림 1개소의 휴양가치는 약 12억 원에서 약 13억 원, 충북지역 전체 자연휴양림이 제공하는 휴양의 가치는 연간 약 150억 원에서 약 169억 원으로 추정하였다.

Recreation forests are offer to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recreation, education about nature, association with people, mind relaxation in forests. Most efficient method for measuring Recreational value of natural forest is economic approach, and Obtained by this approach, visitors to the recreational forests and other people will be able to explain recreational value.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goods are not traded in the market, it's real value is difficult to measure. People have appreciated the value of the natural environment but it is not easy to answer the question how much monetary value a natural enjoy prosperity environment. This study is involved in giving the right recognition to the value of recreation and environment by estimating economically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visitors stay, and presenting the appropriate price. The environmental value of a recreation forests is estimated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annual recreation value per person of surveyed recreational forests is WTP with a mean between about \14,000 and 16,500. The recreation value of one recreational forest surveyed is annually between approximately 1.2 billion won and 1.4 billion won. The annual recreation value of Chungbuk Province recreation forests is presumed to be between about 15 billion won and 16.9 billion w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래. 2010. 자연휴양림보존가치 측정을 위한 조건부 가치측정법(CVM) 추정액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8(2): 25-36.
  2. 강기래. 2009.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자연휴양림 휴양가치 측정. 한국조경학회지 37(5): 42-52.
  3. 곽소윤, 이주석, 유승훈. 2008.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 한 생태체육공원의 조성의 경제적 편익에 관한 연구. 재정정책논집 10(1): 257-276.
  4. 권오상. 1999. 환경경제학. 박영사. 서울.
  5. 김철원, 윤혜진, 이태숙. 2007. 국유자연휴양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객의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중심 으로. 관광연구 21(4): 101-119.
  6. 김태균. 1998. 이선선택형 가상가치평가에서의 가설적 가치와 실제가치. 농업경제연구 46(4): 309-322.
  7. 김태균, 한상열, 최관. 1999. 가상가치평가에서 가설적 편의 감소를 위한 조사 설계. 농업경제연구 40(1): 167-182.
  8. 김태림. 2002. 어린이공원의 경제적 가치에 관한 연구: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9. 김통일. 2002. 자연휴양림 수요예측.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노형진. 2001. 한글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 출판사. 서울.
  11. 박완규, 홍성표역. 2009. Gujarati의 계량경제학. Damodar N. Gujarati, Dawn C. Porter. Basic econometrics. 5th ed. 도서출판 지필. 서울.
  12. 박운선. 2007. 수도권 자연보전권역 내 자연휴양림의 경제적 가치 분석. 청주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박사학위 논문.
  13. 산림청. 2007. 산림통계연보.
  14. 서주환, 최현상, 전형석. 2003. 도시근교형자연휴양림 이용행태와 만족도 분석: 서울근교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30(6): 57-65.
  15. 성상우. 2000.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도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의 가치추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심재우. 2008.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학교 공원화 사업의 경제적 가치측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 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여호근, 최규환, 정광현. 2007. 실험적 가상가치평가법 (CVM-X)을 이용한 녹차밭의 관광가치평가: 하동군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6(1): 189-200.
  18. 이해춘, 안경애. 2008. CVM을 이용한 개인정보 유출의 손실가치분석. 생산성논집 22(2): 1-24.
  19. 최동성. 2003. 인터넷을 통한 자연휴양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석사학위논문.
  20. 한상열. 2006. 기대 불일치론에 의한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만족 및 재방문 결정경로. 한국임학회지 95(3): 291-298.
  21. Ciraicy-Wantrup, S.V. 1947. Capital Returns from Soil- Conservation Practicies. Journal of farm Economics. 29: 1181-1196. https://doi.org/10.2307/1232747
  22. Davis, R.K. 1963. The value of Outdoor Recreation: An Economyc study of the Maine Woods. PH. 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23. Hanemann, W.M. 1984.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3): 1057-1061.
  24. Johanson, P.,B. Kristrom and K.G. Maler. 1989.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Data: Comment.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 1054-1055. https://doi.org/10.2307/1242684
  25. Kevin J. Boyle, Richard C. Bishop, Michael P. Welsh. 1985. Starting Point Bias in Contingent Valuation Bidding Games. Land Economics; May 85, Vol. 61 Issue 2, p188. https://doi.org/10.2307/3145811
  26. Michael Ahlheima, Benchaphun Ekasinghb, Oliver Frora, Jirawan Kitchaicharoenb, Andreas Neefc, Chapika Sangkapituxb, Nopasom Sinphurmsukskul. 2010. Better than their reputation: enhancing the validity of contingent valuation mail survey results through citizen expert groups.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 Management; Mar 2010, Vol. 53 Issue 2, p163-182. https://doi.org/10.1080/09640560903529196
  27. Mitchell, Robert C., and Carson, Richard T. 1981. An Experiment in Determining Willingness to pay for National Water Quality Improvement. Resources for the Future. Draft report to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28. Timothy, C. Haab, Kenneth and E. McConnell. 2002.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The Econometrics of Non-Market Valuation. New Horizons In Environmental Economics,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