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왕궁리 백제궁원에서 출토된 괴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Odd-Shaped Stones at Baekje's Palace Backyard in Wanggung-ri, Iksan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박율진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 김화옥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Park, Yool-Jin (Dept. of Environmental Garde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Hwa-Ok (Dept. of Environmental Garde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0.26
  • 심사 : 2010.11.29
  • 발행 : 2010.12.01

초록

본 연구는 익산 왕궁리 유적에서 출토된 괴석의 쓰임새, 형태, 규모 및 재질 그리고 산출지 등을 분석 고찰하여 백제 궁궐 후원의 성격과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익산 왕궁리 궁궐 후원에 활용된 괴석은 후원내 입수구 폭포석조를 위한 첩석(疊石)과 돌 자체의 아름다움과 기괴함을 완상하기 위한 치석(置石)의 2가지 쓰임새로 분류된다. 이 때 폭포석조에 활용된 괴석은 여러 형태와 재질의 돌을 혼합 배치시켜 축경형의 산수경관을 입체적으로 연출하고자 한 것인 반면, 치석으로 활용된 괴석은 돌 자체의 아름다움과 형태미를 감상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치석으로 활용된 총 26개 괴석의 크기는 대석 4개, 중석 4개, 소석 18개로 분류되었으며, 폭포석조에 이용된 총 24개의 괴석은 모두 소석으로 분류되었다. 이 두 부류의 괴석은 대부분 한 시야에 들어오고 친근감 있는 인간척도에 부합되는 규모였다. 치석으로 활용된 괴석의 재질은 석회암이 대부분이며, 그밖에 대리암, 석영, 녹색암, 점판암, 천매암 등의 변성암 계통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괴석의 특징으로는 무늬가 미려할 뿐 아니라 자연의 모습을 닮은 산형석과 거북, 자라, 돼지, 곰, 코끼리 등 동물 모양에 가까운 형상석이 대부분이었으며, 치석으로 이용된 괴석 중 일부는 특정한 형상을 보다 강조하기 위한 가공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괴석의 이용실태와 성격 등을 보아 왕궁리 궁궐 후원의 대표적 특성 중 하나는 '괴석 정원'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한편, 왕궁리 출토 괴석의 출산지에 대한 문헌조사 및 관계자 인터뷰와 탐문조사 그리고 추정 채석지에 대한 현장 관찰 결과, 주산지는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천호산과 왕궁면 도순리 시대산 등으로 추정되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Baekje's palace backyard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usage, shape, size, material, and place of origin of the odd-shaped stones found at the remains of Baekje's palace in Waggung-ri, Iksa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The odd-shaped stones found at the Baekje palace backyard were used for two purposes. Some of the stones were used as heaping stones(疊石) for the stone waterfall in the backyard while others were used as ornamental stones(置石) to exhibit the uniqueness and beauty of the stone themselves. The stones used for the waterfall had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and were arranged to symbolize the beauty of natural scenery. On the other hand, the ornamental stones were used to exhibit their beauty of forms. Among the twenty six ornamental stones, four were large, four were mid-sized, and eighteen were small. The twenty four heaping stones used for the waterfall were all categorized as small. All of the stones were not too big, easily coming into sight of human beings. The heaping stones were mostly limestones, and some of them were metamorphic rocks such as marble, quartz, green rock, slaty rock, and phyllite. Almost all of the odd-shaped stones used for Baekje's palace backyard have beautiful patterns and specific forms that resemble natural scenes or animals such as a turtle, terrapin, pig, bear, or elephant. Some of the ornamental stones apparently went through carving to emphasize the unique shapes. Considering the usage and characteristic of the odd-shaped stones,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Wanggung-ri palace backyard can be said to be 'the garden of odd-shaped stones'. Meanwhile, according to references, interviews, questionings, and on-the-spot surveys on the people who quarried the stones, the stones found at the remains of the Wanggung-ri palace came mostly from Mt. Cheonho in Hosan-ri, Yeosan-myeon, Iksna, and Mt. Shidae in Dosoon-ri, Wanggung-mye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애(1998). 조선시대궁원의 괴석에 대하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신술(1990). 조선시대 괴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7). 왕궁리 유적 뉴스레터. 2007년 제1호.
  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8). 왕궁리 발굴중간보고 VI. 학술연구총서. 제47집: 9.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2009). 익산 왕궁리 유적. 제21차 발굴조사 자문위원회자료.
  6. 김미영(1999). 괴석도에 나타난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조선시대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지호(2006). 괴석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창고(1990). 익산 왕궁평의 괴석. 익산문화. 익산고적선양회. 창간호: 194-214.
  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1978).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도판편), 고려서적주식회사.
  10. 민경현(1985). 전통 수석정원에 관한 연구;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4): 307-337.
  11. 민경현(1998). 主.從.添과 不等邊三角의 美. 서울: 도서출판 예경. pp.98- 126.
  12. 경자(2002). 고대 한.중.일원지의 비교연구; 최근 발굴된 원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4): 1-8.
  13. 오승연(2004). 한국 고대 궁원지의 전개양상과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문화재. 37호: 65-87.
  14. 이송(1984). 한국고대정원과 일본고대정원과의 비교연구; 안압지와 동원지를 통하여. 한국정원학회지. 1(3): 263-286.
  15. 이성혜(1996). 괴석의 문학적 형상화 고찰. 문화전통논집. 제4집: 197- 220.
  16. 이희승 편저(1994). 국어대사전. 제3판. 서울: 민중서림. p.367.
  17. 신상섭(1996). 동양조경사. 주택정원. 서울: 문운당: p.207.
  18. 전영옥(2004). 조선시대 괴석의 특성과 산수화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2): 1-12.
  19. 전유태(1983). 안압지와 임해전 복원. 문화재. 16: 1-16.
  20. 정재훈(1998). 창덕궁 후원에 대하여. 미술사학연구. 136.137: 202-210.
  21.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대가.
  22. 한글학회(2008). 우리말사전. 서울: (주)어문학. p.230.
  23. (주)두산동아(2007). 동아대국어사전. 서울: (주)두산동아. 제5판. p.261.
  24. 田中哲雄(2002). 發掘された庭園. 日本の美術. 429號. 東京: 至文堂.
  25. 西桂(2005). 日本の庭園文化. 京都 學藝出版社. pp.12-41.
  26. http://100.naver.com/100.nhn?docid=64626
  27.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detail&rev=5& query=%BE%C8%BE%D0%C1%F6%20&from=image&ac=-1&sort
  28. http://www.munhwajl.com/zboard/view.php?id=data_histoy&no=11
  29. http://wg.iksan.go.kr/relice
  30. http://www.suiseki.com/classifications/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