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영재교육에 대한 일반 영재학생과 사이버 영재학생의 인식 분석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and Off-line Gifted Education in Mathematics

  • 투고 : 2010.05.13
  • 심사 : 2010.07.07
  • 발행 : 2010.09.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he operation of on-line and off-line math-gifte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o students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concerning the operation of on-line and off-line gifted education? 2. How do students recognize the effect and satisfaction level of on-line and off-line gifted education? 3. How do students recognize the improvement of on-line and off-line gifted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91 students who included 208 in on-line classes and 383 in off-line clas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on-line and off-line classes regarded gifted people as ones who had a superb ability in a particular field and as ones who think creatively. Second, all the students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found gifted education to be of use to developing their potentials, and they had the biggest preference for experiential field study as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Third, concerning their needs for the management of gifted classes, they asked for immediate Q&A services over the Interne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숙희.조석희.금미라(2000). 사이버 영재교육의 가능성 탐구를 위한 사례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6(1), 49-70.
  2. 교육인적자원부(2004). 창의적인 인재육성을 위한 수월성교육종합대책.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제 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4. 김미숙.송인섭.이정규.이승희.이홍란(2007). 영재교육 연계성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7-24.
  5. 노정우(2004). 초등학교 서울 지역 공동 과학 영재학급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미영(2002). 영재교육에 대한 초등 및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병순(2004). 영재교육원 초등영재학급의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성익.조석희.김홍원.이지현.윤여홍.진석언.한기순(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 교육과학사.
  9. 부산광역시 교육청(2007). 영재아의 창의성과 잠재능력 개발을 위한 교수학습지도 방안, 부산교육 2007-052.
  10. 부산광역시 교육청(2008). 2008년도 부산광역시 영재교육 기본 계획.
  11. 서혜애.손연아.김경진(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3-6.
  12. 심인섭(2003). 중학교 영재학급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건용(2003).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커뮤니티 중심 사이버교육 사이트 설계 및 활용방안,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건용.이재호(2002).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사이버커뮤니티 활성화방안, 한국교육정보학회, 8(1), 334-352.
  15. 임규태(2004). 우리나라 초등 영재교육의 운영실태 및 발전방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임문태(2005). 사이버 학습공간에서의 On-Off Line를 통한 수학영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지도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주성희(2003). 초등학교 영재학급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조석희(2002). 영재성의 개념과 판별, 창의적 지식 생산자 양성을 위한 영재 교육, 영재교육연수자료, 한국교육개발원.
  19. 조석희(2004). 영재교육 백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RM 2004-64.
  20. 조석희.오영주(1998). 지역공동영재반 운영 방안, 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98-17.
  21. 조석희.김홍원.강숙희.장영숙.황홍규(1999). 영재교육제도와 운영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99-19.
  22. 조석희.박성익.정태희(2001). 영재교육 실천방안, 한국교육개발원 CR 2001-35.
  23. 하진영(2006). 지역영재교육원 영재학급 운영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허미경(2004).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및 효과에 대한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홍창의(2009).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사이버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Betts, G.(1985). The autonomous model for the gifted and talented, Greeley : Autonomous Learning Publications.
  27. Bloom B. S. (1983).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Y : Ballantine.
  28. Clark, C.(1992). Growing up gifted, NY : Macmillian.
  29. Clark, C.(1996). Working with able learners in regular classrooms,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11, 34-38. https://doi.org/10.1080/15332276.1996.11672839
  30. Cohn, S. J.(1981). What is giftednes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 A. H. Kramer (Ed.) Gifted children : Challenge their potential, New York: Trillium Press.
  31. Feldhusen, J. F., Van Tassel-Baska, J., & Seeley, K.(1989). Excellence in educating the gifted, Denver, CO: Love Publishing Company.
  32.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ful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33. Greene, M. J.(2002). Career counseling of the gifted and talented, Roeper Review, 25(2), 66-72.
  34. Guilford, J. P.(1979). Intellect and the gifted. In J. C. Gowan (Ed.), Educating the albest - on the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2nd ed.) Boston : F. E. Peacock.
  35. Maker, C. J.(1982). Cu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Rockville : Aspect Systems Corporation.
  36. Maker, C. J. & Nelson, A. G.(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2nd ed), Austin, TX: Pro-Ed.
  37. Marland, S. P. Jr.(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Volume 1,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 S. Commisioner of Education, Washington, DC :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38. Maxwell, M.(2007). Career counseling is personal counseling,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5(3), 206-224.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7.tb00078.x
  39. Nelson, J. B, & Cleland, D, L.(1975), The Role of the Teacher of gifted and Creative Children, In Barbe, W. B. & Renzulli, J. S. (ed.), Psychology and Education of the Gifted(pp 439-448), N.Y.: Irington Publishers, Inc.
  40. Terman, L. M,(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 Genetic studies of genius, Stanford, CA. : Stanford University Press.
  41. Treffinger, D. J.(1975). Teaching for self-directed learning : A priori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he Gifted Child Quarterly, 19, 46-59. https://doi.org/10.1177/00169862750190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