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Needs of the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 on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ociety and Curriculum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국제사회의 이해 및 국제이해교육과정에 관한 중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 Received : 2010.01.04
  • Accepted : 2010.02.04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s of the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 on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ociety and curriculum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on developing curriculum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eems to be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for satisfying the higesconcerns on worldsculture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 Second, the curriculum of educating international understanding for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 should contain such contents as multiple cultures, multiple perspectives, global relation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Third, it is necessary that instructions on educating international understanding should employ experience of global culture, discussion, lecture and so on.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강지영(2006).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반사회 교과서에 반영된 세계화 및 세계시민교육 내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 국제이해교육 교원연구회(2003). 초.중.고 교사 국제이해교육 설문조사 보고서, 2003.
  3. 김기홍.박소영(2009). 미국 국제이해교육의 현황 분석을 통한 한국 국제이해교육에의 정책적 시사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106-120.
  4. 김대현(2007). 대학의 국제화 개혁 동향 및 과제.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국제화지향 교육혁신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제3회 2007년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53-83.
  5. 김명섭.조성대.진시원(2003). 세계의 정치와 경제,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6. 김경수.김석우(2009). 10학년 사회 교과서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서술내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3(2), 279-298.
  7. 김재춘.김재현(2008). 교육학과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교육과학연구, 39(3), 111-138.
  8. 김현덕(2003). 미국의 국제이해교육 동향 및 과제, 비교교육연구, 13(2), 41-57.
  9. 김현덕(2007). 다문화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비교 연구: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7(4), 1-23.
  10. 김현덕(2008). 한국 국제이해교육의 평가와 과제, 비교교육연구, 18(4), 57-81.
  11. 김현덕.문영주.김현숙(2005). 교실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2. 구정화(2008). 국제이해교육이 초등학생의 세계이해 태도에 미치는 효과, 시민교육연구, 40(2), 31-51.
  13. 목종옥(2008). 국제이해교육의 현상과 과제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부산광역시교육청, 제2회 아시아 교육개혁을 위한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아시아 교육의 현상에서 본 부산지역 교육의 방향, 145-160.
  14. 배미애(2004).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의 연계 및 지리교과에서의 의의, 교과교육학연구, 8(1), 105-122.
  15.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편)(2003). 이삼열 외,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서울: 한울아카데미.
  16. 여소영(2006). 고등학생들의 세계화 의식 실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17. 원효헌.김귀순(2005). 제7차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7(2), 260-269.
  18. 이대희.안향숙(2007). 창의적 재량 활동을 통한 중학교 국제이해교육의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9(1), 110-120.
  19.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편)(2003). 세계시민을 위한 국제이해교육: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도서출판 사람생각.
  20.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편)(2004). 함께 사는 세상 만들기, 서울: 일조각.
  21.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편)(2007). 맛있는 국제이해교육, 서울: 일조각.
  22.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편)(2009). 다문화 사회와 국제이해교육, 경기도: 동녘.
  23. 유네스코한국위원회(편)(1996). 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서울: 오름.
  24. 유수경(1993). 국제이해교육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5. 이삼열(2003). 국제이해교육의 철학과 역사적 발전,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편), 이삼열 외,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서울: 한울아카데미.
  26. 이혜영(2006). 초등학생 의식조사를 통한 사회과 국제이해교육의 개선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27. 정두용.신은숙.정득진(편)(2003). 세계시민을 위한 국제이해교육, 서울: 정민사.
  28. 정두용.김다원.김희경.정득진.박형민(2009). 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인가?, 서울: 교육과학사.
  29. 정성아.김아영.강이화(2008).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국제이해교육의 비판적 고찰, KSCS.KSSEE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17-242.
  30. 진시원(2009). 국제정치교육과 국제이해교육의 관계: 세계관계교육을 위한 시론, 한국시민윤리학회보, 22(1), 1-23.
  31. 한명희(2005).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실행 수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32. 함희주(2003). 초등학교 교육에서 다문화적 음악교육 적용가능성의 탐색, 음악교육연구 25, 101-127.
  33. Banks, J. A.(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Boston: Pearson.
  34. Boston, J.(1997). Professional development in global education, In M. Merryfield, E. Jarchow & S. Pickert(Eds.), Preparing teachers to teach global perspectives for teacher educators, 168-188, CA: Corbin press, INC.
  35. Brown, S. C. & Kysilka, M. L.(2003). What every teacher should know about multicultural and golbal education, N.Y.: Allyn and Bacon.
  36. Bennett, C.(1995).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N.Y.: Allyn and Bacon.
  37. Campbell, J., Baikaloff, N., Power, C.(2006). Towards a global community: Educating for tomorrow's world, Brisbane: Springer.
  38. Collins, H. T., Czarra, F. R. & Smith, A. F.(1996). Guidelines for global and international studies education, Issues in Global Education, 135-136.
  39. Gollnick, D. M. & Chinn, P. C.(1994).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4th Ed.), New York: Merrill.
  40. Grant, C. A. & Sleeter, C. E.(2009). Turning on learning: Five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teaching plans for race, class, gender and disability, MA: Wiley.
  41. Hanvey, R. G.(1976). An attainable global perspective, Denver, CO: The Center for Teaching International Relations, The University of Denver.
  42. Kniep, Willard M.(1986). Defining a global education by its content, Social Education, 50.
  43. Neuharth-Pritchett, S., Reiff, J. C., & Pearson, C. A.(2001). Through the eyes of preservice teachers: Implications for the multicultural journey from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5(2), 256-269. https://doi.org/10.1080/02568540109594965
  44. Nieto, S.(2000). Affirming diversity: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multicultural education(3rd Ed.), New York: Addison-wesley.
  45. Rossi, J. A.(2003). Teaching about international conflict and peacemaking at the grassroots level, The Social Studies, 94(4), 149-157. https://doi.org/10.1080/00377990309600198
  46. Tye, K.(1990). Global education: From thought to action,. Alexandria, VA: Th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7. Tye, K.(1999). Global education A worldwide movement, CA: Interdependenc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