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uty Performance area of Fisheries & Shipping Business High School Teachers

수산.해운 전문계열 교사의 직무수행 영역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12.29
  • Accepted : 2010.02.12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is study referred to relevant literatures, collected professional advice, created the sphere of duty wit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education and teachers' specialty, and researched the feasibility of duty sphere classified from 2nd of September in 2008 to 20th of October in 2008 by selecting 80 professional teachers at random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4 schools that had local 1.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per to classify the sphere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professional teachers into teaching-learning sphere, actual training guidance sphere, life guidance sphere, class management sphere, administrative performance sphere, specialty extension sphere,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sphere. 2. For the contents of each sphere of marine products-marine transportation teachers' duty, it is proper to systematize teaching-learning field with 32 contents of duty, actual training guidance field with 21 contents of duty, life guidance sphere with 18 contents of duty, class management sphere with 12 contents of duty, administrative performance sphere with 18 contents of duty, specialty extension sphere with 15 contents of dut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community connection sphere with 9 contents of duty respectively.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종(2006),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를 위한 영역 및 지표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8권 제2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고완태(1999). 교사의 전문성 능력 개발 모형 정립과 개선방안 탐색, 대구카톨릭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국제 표준 교육분류 개정안(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97 : ISCED-97).
  4. 김삼곤(2007). 수산교육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수산고등학교 체제개편의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9(1), 105.
  5. 김삼곤.김종화(2007). 한국고용직업분류에 의한 수산해양산업의 직업분류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9(3), 332-333.
  6. 김용익(2001). 지식기반 사회를 대비한 중등학교 기술과 교사의 직무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30-46.
  7. 김판욱(1995). DACUM에 의한 공업고등학교 건축과 교육과정 개선안,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0(2), 47-59.
  8. 김판욱.전용조.노태천.김영종(2004).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담당 교사의 직무에 관한 연구, 한국재교육 요구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9(1), 71-91.
  9. 나승일(2006). 농업교사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1-22.
  10. 박영숙.정광희(1999). 능력 중심의 교사 직무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1. 이무근(1999). 직업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장명희.변숙영(2003). 실업계 고등학교 체제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 연수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정철영 외(2000).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체제 개편에 따른 교원 대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조정윤(200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사업 :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15. 주삼환(1996). 교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사의 직무수행 모형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 중부교육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