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투고 : 2010.01.18
  • 심사 : 2010.02.28
  • 발행 : 2010.03.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growth group counseling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enhance significantly the participants' self-esteem? Second, does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enhance significantly the participants's life satisfactio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22 University students which are in D University in Busan. Ten participants were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lv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one session a week for 12 consecutive weeks held by counseling center for D University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Esteem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The data was analysed by ANCOVA.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estimated marginal means were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calculated, processed by SPSS 12.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to enhance significantly the level of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is also effective to enhanc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was suggested as a means to help University students enhance thei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명자(2005).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 김대호(2006).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도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3. 김미란(2006).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4. 김명자(1993). 여가활동과 행복한 노후생활의 향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5. 김기연(1996). T-집단경험이 여고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석기(2000).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7. 권효진 외(2008).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집단따돌림 피해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1), 46-67.
  8. 노희월(2000). 자기성장 집단상담에 의한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9. 박성미(2009).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문화접근적 상담프로그램 개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1(2), 187-198.
  10. 박연숙(2006).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11. 박민아(2002).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12. 서봉연(1998). 자아정체감의 정립과정, 청년심리학, 101-136, 서울:중앙적성출판사.
  13. 설수인(1990). 집단상담이 여학생의 인성 특성 및 적응성 변화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양미희(2005).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윤정혜(1991). 자아존중감, 성역할정체감,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6. 이영선(2005). 자기성장 중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17. 이장호, 김정희(1992).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법문사
  18. 이종오(2002). 자기성장 집단상단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 이기봉(1997). 레저 스포츠활동 참여와 생활만족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 이용택(2003). 중학생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위덕대학교 대학원.
  21. 이형득 외(1979).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경상대논문집, 19, 195-208.
  22. 임민아(2007).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대학원.
  23. 정경희(2009). 학생상담자원봉사자를 통한 자기성장 집단상담이 남자 고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교육대학원.
  24. 조홍숙(2007). 학급단위의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친구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5. 최은주(2003). 감정지능과 학교생활 만족도와 사회성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대학원.
  26. 한덕웅 외(1992), 대학생들의 생활 주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1992. 447-462.
  27. 황상하(1995).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8. Aagiilar - Gaxiola, S.(1984). The structure of self-perceived quality of Life of men and women graduate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sout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es, New Orleans, LA, 11.
  29. Brown, J. D. & Mankowski, T. A, (1993). Self-esteem and self-evaluation: Change mood and the way you see you.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3), 421-430. https://doi.org/10.1037/0022-3514.64.3.421
  30.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H. Freeman and Co .
  31. Dusek, J. B. & FlahertY, J. F. (1981). The development of the Self - concept during the adolescent year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6(4), 322-325.
  32. Erikson(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
  33. Medley, M. (1980). Life Satisfaction acres four stages if adult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31, 448-455.
  34. R. C. & Demo, D. H. (1983). Situational and trans-situational determinants of adolescent self-feel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 824-833. https://doi.org/10.1037/0022-3514.44.4.824
  35.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s self-image, princeton, N.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6. Resoner, R, W.(1982). Building Self-Esteem, Calf: CPP.
  37. Rosers, C. R(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Hough to Mifflin.
  38. Savin-Williams,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rk: Henry Holt.
  39. Tafarodi, R. W. & Swann, W. B. Jr. (1995). Self-liking and self competence as dimensions of global self-esteem: initial validation of a measur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5(2), 322-342.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6502_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