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2단재배 온실의 광환경 최적화

An Optimum Light Environment Design of Double-Stack Bed System by using Genetic Algorithms

  • Kim, Kee-Sung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0.24
  • 심사 : 2011.11.02
  • 발행 : 2011.11.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연광 이용 온실의 재배면적을 최대화 하기 위하여 작물생강 모델링, 태양의 위치 및 일사량을 이용하여 2단재배 시스템을 위한 한계일사량 산정 모델, 2단재배 광환경 분성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광환경의 변화에 따른 작물 생장 지체시간을 이용하여 작물의 생산량이 최대가 될 수 있는 한계 일사량의 값을 산정하여 2단 재배 시스템을 최적 설계 하였다. 2단재배 시스템의 최적설계를 위한 분석결과 총 생산량이 약 3.669 kg (d.m.)${\cdot}m^{-2}{\cdot}yerar^{-1}$이며, 기존 재배방식보다 130.2 %의 생산 증대 효과를 잦는 것으로 계산 되었다. 이와 같은 다단재배 시스템은 온실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제배면적 대비 에너지 투입 비용을 절감 할 것으로 기대 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Campbell G. S., and J. M., Norman, 1998. An introduction to environmental biophysics. Springer, New York, USA
  2. Goldberg D. G., B. Korb, and K. Deb, 1989. Messy genetic algorithms: motivation, analysis, and first results. Complex System, 4: 415-444.
  3. Holland J. H., 1975. Adaptation in natural and artificial systems. Ph. D. diss., Ann Arbor, MI, USA.: The University of Michigan.
  4. Kreith F.,and J. F. Kreider, 1978. Principles of solar engineering. McGraw-Hill, New York, NY.
  5. Korner O., and G. Van Straten, 2008. Decision support for dynamic greenhouse climate control strategies. Computer and Electromics in Agriculture, 60: 18-30. https://doi.org/10.1016/j.compag.2007.05.005
  6. Langhans R. W., 1990. Greenhouse management. Halcyon press Ltd. pp. 33-45, Houston,USA.
  7. Parry J. T., and C. M. Gold, 1972. Solar-altitude nomogram. Photogrammetric Engineering 38: 891-899.
  8. Seginer I. G. Shina, L. D., Albright, and L., S., Mash, 1991. Optimal temperature setpoints for greenhouse lettuce.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ing Research 49: 209-226. https://doi.org/10.1016/0021-8634(91)80040-L
  9. Sigrimis N. A. Anastasiou, and N. Rerras, 2000, Energy saving in greenhouses using temperature integration: a simulation survey.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26: 321-341. https://doi.org/10.1016/S0168-1699(00)00083-1

피인용 문헌

  1. Data-Based Model Approach to Predict Internal Air Temperature of Greenhouse vol.57, pp.3, 2015, https://doi.org/10.5389/KSAE.2015.57.3.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