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Business Model for Partnership Support Management (PSM) in Private Infrastructure Projects

민간투자사업 파트너쉽지원관리(PSM) 업무모델 개발

  • 정평기 ((주)화인씨이엠테크) ;
  • 백현기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서종원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10.26
  • Accepted : 2011.01.12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In order to maintain construction industry and to improve efficiency, the Korean government legislated private investment system. Private sector takes advantages by adopting CM (Construction Management) project system, however, public sector has relatively less capability and experience than private sector. In this paper, PSM (Partnership Support Management) is addressed in order to actively strengthen the project capabilities for public sector. PSM maintains existing CM project system because it is a concept of expended business model of CM. PSM needed to categorize the private participated project into 5 phases; project development phase, project announcement phase, project evaluation phase, project agreement phase and agreement changing phase. PSM business structure and business process considering stakeholder's interrelationship and participation a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Suggested PSM business model may not only increas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government and project capability, but also may reduce work load and responsibilities for project momentum of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국민경제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건설산업에 대하여 적정수준의 경기 유지와 산업의 효율성 개선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편으로 민간투자사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민간투자산업이 활성화되면서 민간사업자측에서는 건설사업관리(CM)의 도입을 통한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도모하고 있는 반면, 민간투자사업을 관장하는 주무관청은 민간사업자측에 비해 경험 및 역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무관청의 업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존의 발주자지원형 CM의 업무확장의 개념으로 기존의 CM의 업무체계를 유지하면서 주무관청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파트너쉽지원관리 (Partnership Support Management; PSM) 방식을 도입하기 위하여 민간투자사업의 추진단계를 사업개발단계, 사업고시단계, 사업평가단계, 사업협약단계 및 변경협약단계의 5단계로 분류하여 PSM 참여가능시점 및 유형과 이해관계자의 상관성을 고려한 PSM 업무수행구조와 업무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PSM 업무모델은 주무관청의 업무이해도를 향상하여 업무역량 강화 및 업무 부담을 경감시켜, 민간투자사업의 추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용 등(2006) SOC 민간투자사업의 CM 운영체제 개발. 연구 보고서, 건설교통부.
  2. 문혁, 김재준(2006) 공공부문 건설사업관리(CM)적용 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1호, pp. 119-127.
  3. 박성철, 김형돈(2009) 교육시설 BTL 사업의 CM 적용 프로세스 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25권, 제 10호, pp. 91-98.
  4. 박영인, 김수용, 김대영, 조훈희(2006) SOC 민간투자사업의 CM 업무 수행구조 제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7권, 제4호, pp. 118-125.
  5. 송병록 등(2004) 민자사업 추진의 효율성.투명성 제고를 위한 업무수행지침 작성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연구원.
  6. 송병록, 주재홍(2004) 민간투자사업 업무수행 일반지침 수립. 국토연구원 2004-11.
  7. 신동우, 김예상(2000) 국내 SOC 사업의 기획업무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제1권, 제1 호, pp. 45-52.
  8. 왕세종(2004) 민간투자사업의 자금재조달 이익공유 방안의 과제. 이슈진단. 한국건설산업연구원.
  9. 이복남, 정영수(1999) 건설사업관리의 업무기능과 역할분담-국내 사업관리의 현안문제와 개선방안. 정책연구 99-05,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0. 정평기(2010) 민간투자사업 파트너쉽지원관리(PSM) 업무모델개발 및 개선방안.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1.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2005) BTO 민간투자사업 사업 계획서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
  12.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2009) 민간투자사업 사업계획서 평가관리 세부요령(안).
  13. CMAA (1993) Standard CM Services and Practice. Construction Management Association of America (CMAA).
  14. U.S. DOT FHWA (2005) Construction Management Practices in Canada and Eur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