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s the Urban Space at Station Influenced Areas by the Open of Incheon Urban Railroad Line 1

인천광역시 도시철도 1호선 개통에 따른 역세권 도시공간 변화 연구

  • 안정근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
  • 박만희 (인천광역시 남구 건설교통국)
  • Received : 2010.10.14
  • Accepted : 2010.11.02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City of Incheon opened rapid transit(urban railroad line 1) in 1999 in order to relieve traffic congestion on major arterials. This research analyzed urban space changes of each station influenced area by examining the changes of residents, industrial employees, and floor area ratios before and after the open of Incheon urban railroad line 1. Analysis of variance was applied to change of station influence area.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e types of central business and agricultural station influence area had been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open of urban railroad. However, the residential, semi-residential, and suburban type of station influence area had not been changed after the open of urban railroad.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facilities for inducing residents and employees to the station influence area of residential and semi-residential. Furthermore, the suburban type of station influence area which is difficult to develop naturally by the law of Green Belt is needed to develop station influence area simultaneously with the construction of a station building.

인천광역시는 도시 전체의 심각한 교통체증 경감을 위하여 도시철도 1호선(총연장 31.1km)을 1999년 10월 개통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도시철도 1호선 개통이 역세권 도시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규명을 통하여 바람직한 역세권 개발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에서 발간된 통계 자료에 근거하여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심형 및 농촌형 역세권은 철도개통에 따라 뚜렷하게 도시공간 변화에 영향을 미쳐 역세권을 형성함에 따라 지역발전을 도모하고 도시기능을 분담하였으나 주거형, 준주거형, 교외형 역세권은 철도개통 후 도시공간 변화에 큰 변화가 없어 역세권이 형성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도시철도 개통시 주거형 및 준주거지형 역세권에서는 역세권 입지 특성을 고려하여 주민 및 산업인구를 유인하고 다양한 시설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계획적 역세권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교외형 역세권에서는 역사개발 후 자연 발생적 역세권 개발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도시철도 역사 개발시 역세권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여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양호한 생활여건 조성에 앞장서야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찬, 임동민(1996) 역세권 토지이용 및 이용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4권 제4호, pp. 25-37.
  2. 김대철, 이명훈(2005) 공간경제분석을 통한 역세권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지하철 환승역 중심으로-, 200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 김설주(1980) 지하철이 지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4. 김철수(2001) 도시공간의 이해, 기문당.
  5. 삼성그룹전략 T/F Team(1994) 일본역사.역세권 개발현황, 삼성그룹.
  6. 삼성그룹전략 T/F Team(1995) 유럽 철도 및 역사개발현황, 삼성그룹.
  7. 손창섭(2007) 도시철도 개통에 따른 역세권 토지이용 및 교통체계 변화 연구 - 대구지하철1호선 개통전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주대학교.
  8. 송흥수, 김한수(1995)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역세권내의 시설입지 형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0권 제4호, pp. 57-74.
  9. 안정근, 안상욱, 오인택, 김희범, 이영은(2002) 수도권 서남부지역 개발타당성 연구, 성남시: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10. 이필용, 김영(2007) 지방중소도시 철도역세권 개발의 도입기능과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200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1. 이창무, 김흥순, 김미경(2007) 역세권개발과 수도권 공간구조 재편,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2권 제6호, pp. 67-87.
  12. 임병호 외(2010) 대전시 지하철 개통이후 도심 지하상가의 이용 및 영업실태 변화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5권 제3호, pp. 147-160
  13. 인천광역시(1995, 2000, 2005) 사업체기초통계조사 보고서, 인천광역시.
  14. 인천광역시(1995, 2000, 2005) 재산세과세자료, 인천광역시.
  15. 전명진(1997) 역세권 개발이 도시공간구조에 대한 파급효과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2권 제3호, pp. 265-280.
  16. 통계청(1995, 2000, 2005) 인구주택 총조사, 통계청.
  17. Bonnafous, A. (1995) On Socio-Economical Impact of High Speed Rail and National Development, 고속철와도 21세기 국가발전 한불공동학술회의, 서울: 교통개발연구원.
  18. Cervero, Robert and Day, Jennifer(2008) Suburbanization an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China, Transport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