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dweller's Expressions of Apartment Facility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Built Year

준공연수에 따른 공동주택 관리에 대한 주민인식 비교분석

  •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하규양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주)에이앤티건축사사무소) ;
  • 김종경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10.11.17
  • Accepted : 2010.11.2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rasp how the dwellers of apartment cognize the real condition of the management such as general control of janitor office or management of maintenance, environment, account and imposing price of management. The analysed results of recognition are as following. First, as the dwellers judged that the janitors are incapable to control dispute among the households, it need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demand of control dispute by various curriculum. There should be more strict management of parking lot for the handicapped. Second, it needs to establish the plan to improve maintenance of the rest facility. Third, as dwellers thought the management expenses not to be made public clearly, it needs to use various way, not only by neighborhood meeting but also information system such as establishing web page or E-mail notice for better announcement of the settled matters such as management expenses. Forth, the audit result of management expenses and the measures conducted after audit should be reported widely, contract of construction work services needs to be publicized by neighborhood meeting or other information system.

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동주택 관리에 관한 주민인식을 조사하고자 아파트 운영관리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사항, 그리고 아파트 관리에 관한 세부항목별 주민인식 정도를 아파트 준공연수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아파트 운영관리에 관한 문제점에서는 보수 보강에 관한 계획성이 미흡하며, 아파트 회계관리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하며, 관리비가 과다하게 부과된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개선사항으로는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운영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관리비 집행에 관한 부정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주민들의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입주자대표회의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아파트 관리에 관한 세부항목별 주민인식의 비교분석에서는 첫째, 일반적 관리에서는 세대간 분쟁조정 능력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주민의 안전성에 관한 관리의 측면에서는 방범 예방 활동과 화재대비 관리, 가스시설 관리 등에 대하여는 상당 히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지관리의 측면에 대해선 주민들의 불만이 존재하고 있었는데, 관리사무소의 보수 계획이 잘 이루어지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관리에서는 관리사무소의 청소 수목 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휴게시설 관리가 잘 안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인숙(2003) 주택법 개정에 따른 공동주택관리 영역에서의 지방 자치단체의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지, 한국가정관리학회, 제21권 제5호.
  2. 김기룡(2003) 공동주택 관리의 효율화 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3. 김선중, 박현옥(1996) 공동주택관리인의 관리업무 중요도 인식 및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한국가정관리학회, 제34권 제5호.
  4. 김혜승(2000) 지능형 아파트와 공동주택관리, 국토논단, 국토연구원.
  5. 박명숙(2002) 지역사회복지 연계를 위한 아파트관리사무소의 활용에 관한 연구: 노원구 아파트관리사무소, 입주자대표회의 부녀회 주민자치활동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6. 박은규(2001) 새로운 공동주택의 관리패러다임 구축방안, 한국주택관리학회지, 한국주택관리학회, 제3권 제1호.
  7. 선주형(2004) 사회계층간 거주공간 분화 양상과 사회적 합의: 서울시 소재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를 중심으로, 사회학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 인택환(2005) 공동주택 관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대학원.
  9. 임상돈 외(1994) 공동주택의 유지관리 예측모형 개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29권 제4호.
  10. 유병선, 홍형옥(2000) 주거관리의 사회적 구축을 위한 연구의 접근방법과 쟁점, 주택연구, 제8권 제1호.
  11. 은난순(2004) 거주자의 공동주택관리 업무에 대한 인식과 관리참여 의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한국가정관리학회, 제22권 제3호.
  12. 최열, 공윤경(2003) 재건축 가능성에 따른 공동주택의 가격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19권 8호, pp. 123-130.
  13. 최열, 임하경, 정운빈(2009) 공동주택 옥외공간에 대한 단지규모별 비교평가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1D, pp. 91-100.
  14. 최열, 임하경(2005) 초고층아파트 공동공간의 범죄불안감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제21권 7호, pp. 57-63.
  15. 허점도(2001) 공동주택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16. 홍성지(2004) 공동주택 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행정학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17. Cole, R. J. (1998) Emerging trends in building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s. Building Research and Information, Vol. 26, No. 1. pp. 3-16. https://doi.org/10.1080/096132198370065
  18. Maloney, W. F. (2002) Construction product/serv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28, No. 6, pp. 522-529.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2)128:6(522)
  19. McDougall, G., Kelly, J. R., and Hinks, J. (2002) Bititci US.A review of the leading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for assessing buildings. Journal of Facilities Management, Vol. 1, No. 2, pp. 142-153. https://doi.org/10.1108/14725960310807881
  20. Huizenga, C., Laeser, K., Arens, E. (2002) A web-based occupant satisfaction survey for benchmarking building quality. In: Proceedings of indoor air 2002, Monterey, 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