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3CHO Removal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with TiO2 Spreaded by Low Temperature Firing using Sol-gel Method

Sol-gel법으로 이산화티탄(TiO2)을 저온소성 도포시킨 경량골재콘크리트의 아세트알데히드(CH3CHO) 제거 특성

  • 이승한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여인동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정용욱 (계명대학교 첨단건설재료실험센터) ;
  • 장석수 (계명대학교 첨단건설재료실험센터)
  • Received : 2010.12.01
  • Accepted : 2011.01.14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Recently studies on functional concrete with a photocatalytic material such as $TiO_2$ have actively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remove air pollutants. The absorbtion of $TiO_2$ from those studies is applied by it being directly mixed into concrete or by suspension coated on the surface. When it comes to the effectiveness, the former process is less than that of the latter compared with the $TiO_2$ use. As a result, the direct coating of $TiO_2$ on materials' surface is more used for effectiveness. The Surface spread of it needs to have a more than $400^{\circ}C$ heat treat done to stimulate the activation and adhesion of photocatalysis. Heat treat consequently leads hydration products in concrete to be dehydrated and shrunk and is the cause of cracking. The study produces $TiO_2$ used Sol-gel method which enables it to be coated with a low temperature treat, applies it to pearlite using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fixed with a low temperature treat and evaluates the spread performance of it. In addition to this, the size of pearlite is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2.5 mm to 5.0 mm and the other is more than 5.0 mm for the benefit of finding out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CH_3CHO$ whether they are affected by pearlite size, mixing method and ratio with $TiO_2$ and elapsed time.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shows that although $TiO_2$ produced by Sol-gel method is treated with 120 temperature, it maintains a high spread rate on the XRF(X ray Florescence) quantitative analysis which ranks $TiO_2$ 38 percent, $SiO_2$ 29 percent and CaO 18 percent. In the size of perlite from 2.5 mm to 5.0 mm, the removal characteristic of $CH_3CHO$ from a low temperature heated Lightweight concrete appears 20 percent higher when $TiO_2$ with Sol-gel method is spreaded on the 7 percent of surface. In other words, the removal rate is 94 percent compared with the 72 percent where $TiO_2$ is mixed in 10 percent surface. In more than 5.0 mm sized perlite, the removal rate of $CH_3CHO$, when $TiO_2$ is mixed with 10 percent, is 69 percent, which is similar with that of the previous case. It suggests that the size of pearlite has little effects on the removal rate of $CH_3CHO$. In terms of Elapsed time, the removal characteristic seems apparent at the early stage, where the average removal rate for the first 10 hours takes up 84 percent compared with that of 20 hours.

최근 대기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TiO_2$ 등의 광촉매 재료를 사용한 기능성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연구에서 $TiO_2$의 흡착은 콘크리트에 직접 혼합하거나, 현탁액을 표면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중 콘크리트에 $TiO_2$를 직접 혼합하는 방법은 $TiO_2$의 사용량에 비하여 효능이 떨어져 표면에 직접 도포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TiO_2$의 표면도포는 광촉매의 활성화와 접착성 증대를 위하여 $400^{\circ}C$ 이상의 고온 열처리를 실시하게 되며, 이는 콘크리트 수화생성물의 탈수 수축으로 내부균열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TiO_2$의 저온도포가 가능한 Sol-gel법으로 $TiO_2$를 제조하였으며 펄라이트 사용 경량골재콘크리트에 저온 고정화하여 $TiO_2$ 도포 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펄라이트 입경을 2.5~5.0 mm와 5.0 mm이상으로 구분하여 펄라이트 입경, $TiO_2$ 혼입방법과 혼입률 및 시간경과에 따른 $CH_3CHO$ 제거 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Sol-gel법으로 제조한 $TiO_2$$120^{\circ}C$에서 저온 도포할 때 XRF 정량분석에서 $TiO_2$ 38%, $SiO_2$ 29%, CaO 18% 순으로 나타나 $TiO_2$ 도포율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펄라이트 입경 2.5~5.0 mm에서 $TiO_2$를 저온도포한 경량골재콘크리트의 $CH_3CHO$ 제거 특성은 Sol-gel법으로 제조된 $TiO_2$를 7% 표면 도포하였을 경우 94%로 나타나 10%를 혼입할 때 72%에 비해 약 20%정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펄라이트 입경 5.0 mm이상에서 $TiO_2$를 10%로 치환하여 혼합하였을 경우 $CH_3CHO$ 제거율은 69%로 펄라이트 입경 2.5~5.0 mm에 대한 72%와 비슷하게 나타나 펄라이트 입경이 $CH_3CHO$ 제거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시간 경과에 따른 $CH_3CHO$ 제거 특성은 전 시험편의 10시간 평균 제거율이 20시간 전체 제거율의 84% 수준으로 나타나 반응 초기에 제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훈, 임남기(2007) 환경기능형 재료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기초적 물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Vol. 9, No. 4, pp. 227-234.
  2. 김영도(2000) 광촉매의 세계, 대영사.
  3. 송종진(2003)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저하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대학원, p. 15.
  4. 정호진(2008) 회전광촉매 시스템에 의한 폐수처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5B호, pp. 497-502.
  5. 최영준, 박준영, 이승조, 허노일, 김화중(2002) 이산화티탄($TiO_{2}$) 분말을 광촉매로 사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질소산화물(Nox) 제거 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대한건축학회, Vol. 18, No. 8, pp. 43-50.
  6. 한국광촉매협회(2005) 광촉매성능평가시험방법-가스백 B법. 인용 :http://www.akp.or.kr
  7. 허재원, 김효열, 임남기(2006) 이산화티탄 분말을 광촉매로 사용한 모르터의 수질정화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대한건축학회, Vol. 22, No. 11, pp. 149-156.
  8. Fujishima, A. and Honda, K. (1972) Electrochernical photolysis of water at A semiconductor electrode[J]. NATURE, 5358(23), 37.
  9. Kim, J.K. (2008) Removal of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Products from Water using Photocatalysis and Adsorption Process. Thesis of Mphil, University College London, London.
  10. Chitharanjan, N. and Sundararajan, R., and Manoharan, P.D. (1988) a new lightweight high strength material,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ement Composites and Lightweight Concrete. Development of Aerocrete.
  11. Carp, O. Huisman, C.L., and Reller, A. (2004) Photoinduced reactivity of titanium dioxide, Progress in Solid State Chemistry, Nov.
  12. 石森 正樹 (2000) 光觸媒セメントで自動車排ガスを處理. セメント.コンクリ一ト.
  13. 玉正 元治 (1998) 窒素酸化物(NOx)を吸收するコンクリ一ト. コン クリ一ト工學.
  14. 村田 義彦 (1998) 環境た貢獻する鋪裝ブロツクの開發. ヒメント.コンクリ一ト.
  15. 藤 昭 (1996) 酸化チタン光觸媒の新しぃ流れ. 環境管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