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Guidelines of Road Cross Sectional Element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Sensibility Cognition

감성인지 만족도를 고려한 도로횡단면 구조설계 기준 연구

  • 서임기 (도로교통연구원 교통연구실 교통안전팀) ;
  • 이병주 ((주)해오름이엔씨 교통계획부) ;
  • 이재선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남궁문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01.31
  • Accepted : 2011.02.09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general demand and interest in surroundings that consist of our lives have grown gradually. In addition, as there has been increased social interest in creating landscape of roads, which considers all important factors from the user's view including accessibility, safet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efforts to improve quality of roads are required.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standards on safe and comfort road design based on sensibility satisfaction of road users rather than based on standardized road design guidance from the engineering perspective. To this end, research was carried out to analyze sensibility satisfaction of users about road landscape focused on elements of road cross section in a city. It identified relation between sensibility satisfaction and the elements by using principal and cluster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It also found that user's satisfaction about roads and a road landscape is high with road width (3~5 meters), clear zone (2.2~3.9 meters), road central garden (1.05~1.9 meters), shoulder (0.55~1.43 meters), median (0.65~1.625 meters), the number of travel lanes (2~5), height of trees at the central garden (6.4~15 meters) and height of buildings surrounding roads (18~44 meters or 6~15 floors).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 삶을 구성하고 있는 주변 환경의 질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아지고 도로 이용자 측면에서도 쾌적성, 심리적 안정 및 안락성 등을 고려한 도로경관 조성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면서 도로의 질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공학적인 측면에서 기준화된 설계지침이 아닌 도로 이용자 측면에서의 감성인지를 고려한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설계 기준의 정립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주요 도로의 도로 횡단면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로 이용자들이 느끼는 도로경관에 대한 감성인지 실험을 통해 만족도를 조사하고 주성분과 군집분석, 다중회귀모형 등을 통해 도로경관 구성요소와의 관계성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보통의 보도경관 만족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로 폭은 3~5m, 차로 수는 2~5차로, 길어깨 폭은 0.55~1.43m, 유효 보도 폭은 2.2~3.9m, 중앙 화단 폭은 1.05~1.9m, 중앙 가로수 높이는 6.25~14.5m, 중앙 여유 폭은 0.65~1.625m, 보도 가로수 높이는 6.4~15m, 건물 높이는 18~44m(6~15층) 범위에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구(2000) 다차원척도법에 의한 가로경관의 평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6권 제3호, pp. 141-151.
  2. 박상명(2007) 운전자의 감성요인을 고려한 도로경관설계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3. 최임주(2003) CG Simulation을 이용한 가로경관의 시지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9권 제10호, pp. 101-110.
  4. 최정미, 황민철, 배병, 유은경, 오상훈, 김수용, 김철중(1998) 단일 전극 뇌파에 의한 쾌불쾌 감성의 정량화, 감성과학, 한국감성과학회, 제1권 제1호, pp. 59-67.
  5. 황민철, 장근영, 김세영(2004) 자율신경계 반응에 의한 감성평가 연구, 감성과학, 한국감성과학회, 제7권 제3호, pp. 51-56.
  6. 叶增光他 (1992) 感性工學に基づくデザイン支援システムの開發, 人間工學.
  7. 田渕裕惠 (1995) 感性工學の手法による斜張橋の景觀設計システムの開發, 鳥取大學工學部 土木工學科 卒業論文.
  8. 堀啓造(2001) 日本語のSD意味空間の檢討. 日本心理學會發表論文集, pp. 162-163.
  9. 菅田擇兒他(1993) ファジイ理論を用いた感性工學エキスパトシステムの硏究. 人間工學, 26特別, pp. 318-319.
  10. Herzog, T. R. et al.(1976) The Prediction of Preference for Famihar Urban Places. Environment and Behavior, Vol. 8, No. 4, Sage Publications, Inc.
  11. Taylor, J. G., Zube, E. H., and Sell, J. L. (1987) Landscape Assessment and Perception Research Methods. In R. Bechtel, R. Marans, & W. Michaelson(Eds.), Methods in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Research,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pp. 361-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