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Household Trip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Seoul

서울시 가구통행발생 특성 분석

  • 이종호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 Received : 2011.03.01
  • Accepted : 2011.04.01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attributes and trip generation can only be found in Seoul Metropolitan Household Travel Survey, which has been implemented every 5 years. However, various household attributes' impact on trip generation has not been analyzed closely.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ose impact. The results could be useful when trip generation models are studied in the future. They are as follows. The household size should be an important classification criteria when household trip generation is estimated. The traditional assumptio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auto ownership and trip generation is positive and linear correlation should be reconsidered. Weekday travel data only did not showed that housing type has an influence on trip generation. Household income is unrelated with trip generat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while multi-person household is related strongly. However, when trips are classified by purpose, impact of household income on trip generation are varied by trip purpose. Especially,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 can not be overlooked when trip generation is forecasted.

매 5년마다 시행되는 수도권가구통행실태조사결과에 대한 연구보고서가 발간되고 있지만, 아쉽게도 조사된 가구의 여러 속성들이 가구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면밀히 분석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가구 속성들이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향후 통행발생모형 등의 구축 시 중요한 기초가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가구의 통행발생 추정 시 가구원수는 중요한 분류 기준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가구원수에 따라 승용차보유대수, 소득 등 가구속성들이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주중 통행실태 자료로는 충분하지는 않지만, 주택의 종류가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인 가구의 경우 가구소득과 통행횟수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2인 이상 가구의 경우는 관련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통행을 목적별로 더 세분화하였을 경우 가구원수에 따라 가구소득이 각 목적통행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향후 통행발생특성에 상대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이는 1인 가구의 증가는 통행발생예측 시 간과될 수 없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자, 이종호(2004) 수도권지역의 통행발생모형의 검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2권 제3호.
  2. 김채만(2009) 가구소득을 고려한 가구통행발생모형개발, 2009-11, 경기개발연구원.
  3. 대한주택공사(2008) 2008 주택도시통계편람.
  4. 박주희(2007) 서울시 1인 가구의 분포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5. 수도권교통본부(2007) 2006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조사개요.
  6. 신상영(2010) 1인가구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서울시 를 사례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5권 제4호.
  7. 신은진, 안건혁(2010) 소득별 1인가구의 거주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5권 제4호
  8. 통계청(2006) 200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가구.주택부문).
  9. 통계청(2006) 2005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10. 통계청(2007) 2005-2030 장래가구추계결과.
  11. Wolgang, S. Homberger 외 (1992) Fundamentals of Traffic Engineering, 13th Edition,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p. 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