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s among Citical Care Competence, Knowledge related Critical Car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at a College

일개대학 간호 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과 간호지식 및 실습만족도의 관계

  • 양진주 (광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1.09.28
  • Accepted : 2011.11.24
  • Published : 2011.12.28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care competence,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from third year college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concerning critical care competence,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given to 85 nursing students during June 2009. Results: The mean score of total critical care competence was 84.01 (${\pm}14.78$). Total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was 6.99 (${\pm}1.97$). Finall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86.88 (${\pm}9.47$). Regarding critical care competence, common critical care competence was highest followed by neurologic care competence, cardiovascular care competence, and finally respiratory care competence. The mean score of knowledge related to cardiovascular care was highest followed by common critical care knowledge, respiratory care knowledge, and neurologic care knowledge for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competence. Critical care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but had no correlation with knowledge related to critical care.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veloping educations of clinical practice in hospitals and laboratory practice in colleges for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critical care is necessary to promote critical care competence and satisfy clinical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 간호과 3학년 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 중환자 간호지식 및 실습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이다. 자료는 2009년 6월에 85명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 및 실습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전체 중환자 간호수행 능력 평균 점수는 84.01점이었고, 전체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은 6.99점, 중환자 실습 만족도는 86.88점 이었다.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은 일반적인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이 가장 높았으며 신경계 간호수행력, 순환기계 간호수행력, 호흡기계 간호수행력 순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간호지식은 순환기계 관련 지식이 가장 높았고, 일반적인 중환자 간호 지식, 호흡기계 간호지식, 신경계 간호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간호수행 능력은 중환자 실습 만족도와 유의한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중환자 간호 관련 지식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중환자 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호학생의 수행능력이 낮게 나타난 호흡기계 및 순환기계 중환자 간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현장 실습 및 교내 실습교육에 관한 개발이 필요함을 본 연구가 시사했다.

Keywords

References

  1. 류은정, 최경숙, 권영미, 주숙남, 윤숙례, 최화숙, 권성복, 이정희, 김복자, 김형애, 안옥희, 노은선, 박경숙, "간호중재 분류체계를 이용한 내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중재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28 권, 제2호, pp.457-467, 1998.
  2. 강경자, 김명희, 김옥숙, 손덕옥, 손수경, 신재신, 전점이, 정현숙, 조명옥, 중환자 간호(성인간호 실무교육), 수문사, 1999.
  3. 박경숙, 황윤영, 최은희, "간호학생의 중환자실 임상실습 체험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15권, 제3호, pp.373-382, 2003.
  4. 소향숙, 배영숙, 김영옥, 김수미, 강희영, 최자윤, 양진주, 김남영, 고은, 황선영, "대학 간 통합 웹기반 중환자간호실습 콘텐츠 개발 및 적용",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5호, pp.778-790, 2008.
  5. E. Hanley and A. Higgins, "Assessment of clinical practice in intensive 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21, pp.268-275, 2005. https://doi.org/10.1016/j.iccn.2004.10.003
  6. 양진주, "신경외과 병동의 뇌출혈 환자에게 적용한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결과 및 간호중재 분석", 간호과학 논집, 제12권, 제1호, pp.59-69, 2007.
  7. S. D. Holaday and K. M. Buckley, "Addressing challenges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a clinical instruction model based on a hybrid, inquiry-based earning framework,"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Vol.29, No.6, pp.353-358, 2008.
  8. C. Riley-Doucet, "Self-directed learning tool for nurses who precept student nurses. Journal for nurses in staff development," Vol.24, No.2, pp.7-14, 2008. https://doi.org/10.1097/01.NND.0000300874.28610.a7
  9. M. Jerlock, K. Falk, and E. Severinsson, "Academic nursing education guidelines: Tool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ursing & health sciences, Vol.5, pp.219-228, 2003. https://doi.org/10.1046/j.1442-2018.2003.00156.x
  10. 김해란, 최은영, 강희영, 김성민,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간호교육을 받은 간호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1호, pp.5-13, 2011.
  11. 허혜라, 김선, 박성환, "의과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필기시험 성적과의 상관연구", 한국의학교육, 제19권, 제4호, pp.335-341, 2007.
  12. 양진주,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59-165, 2009. https://doi.org/10.5977/JKASNE.2009.15.2.159
  13. 최귀윤,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환경에 관한 인식과 관련 변수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29-139, 2009.
  14. 박현주, 장인순,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 방법과 임상실습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4-23, 2010.
  15. 김은하, 오윤희, "3년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6권, 제2호, pp.186-198, 2000.
  16. 신성규, 임인철, "방사선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관련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276-28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9.276
  17. 조결자, 강현숙,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63-74, 1984.
  18. 양진주, "임상실습시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 가치관과 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6권, 제2호, pp.276-286, 2000.
  19. 김윤희, 김윤민, 강서영, "$MicroSim{\circledR}$을 병용한 시뮬레이션기반 중환자간호교육의 운영 및 평 가",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4-32,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24
  20. 양진주,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48-560, 2008.
  21. M. Tait, D. Tait, F. Thornton, and M. Edward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ritical care e-learning scenario," Nurse Education Today, Vol.28, pp.970-980, 2008. https://doi.org/10.1016/j.nedt.2008.05.016

Cited by

  1. Senior Nursing Students' Perceived Competence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22, pp.2, 2016, https://doi.org/10.5977/jkasne.2016.22.2.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