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터넷 주활동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인터넷 중독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s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by Analyzing Internet Main Activities

  • 김희재 (대구대학교 컴퓨터.IT공학부) ;
  • 김종완 (대구대학교 컴퓨터.IT공학부)
  • 투고 : 2010.11.29
  • 심사 : 2011.09.20
  • 발행 : 2011.09.30

초록

전 국민의 인터넷 이용율 향상과 유비쿼터스 기술의 확산으로 인터넷 중독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형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K-척도는 사용자의 특성을 구분하지 않는 일반적인 진단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직무 연관 또는 직무와 무관하게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기본적인 인터넷 이용 패턴을 취득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용자의 직무 무관한 인터넷 활동을 기반으로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솔직하게 인터넷 중독 문항에 표시하는 것을 꺼리는 인터넷 이용자에게 기본적인 인터넷 이용 패턴만 요구하여 K-척도에서 발견되지 않는 숨겨진 인터넷 중독자를 찾을 수 있음을 SPSS 통계 분석 도구로 제시한다.

Due to people's internet use growth and proliferation of ubiquitous technology, the internet addiction is becoming a social issue. However, the current adults' self-diagnosis measure about internet addiction, the K-scale, is a normal diagnostic method, which it does not consider user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we will propose a new internet addiction diagnostic method based on users' non-duty internet activities by using some questionnaire items to collect users' basic internet patterns used on duty related or non-duty related web sites. Since we simply ask for the basic internet usage pattern to each user who does not like to check frankly questionnaire items in the K-scale, the proposed method can find some hidden internet addicts compared to the K-scale with the SPSS statistical analysis tool.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인터넷진흥원, 2006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2006.
  2.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0.
  3. Kimberly Young, "Intem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Vol. 1, No. 3, pp. 237-249, 1996.
  4. 한국정보화진흥원,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2009.
  5. Chien Chou, Linda Condron, and John Belland, "A Review of the Research on Intemet addictio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 17, No. 4, pp.363-388, 2005. https://doi.org/10.1007/s10648-005-8138-1
  6. Gao Wenbin, Zhang Fangfang, and Chen Zhiyan, "Psychopathological Mechanism and Compensation Psychotherapy of Intemet addiction", Proc. of the first IEEE Symposium on Web Society, pp.172-176, 2009.
  7. 인터넷윤리실천협의회, 한국정보처리학회, "U시대의 인터넷 윤리", 2nd 이한출판사, 2009.
  8. 송명준, 허유정, 이은정, 권정혜, "인터넷 중독.중독적 특성, 중독의 결과 및 중독자의 하위유형 고려대학 교 학생생환연구소, 심리검사 및 상담연구 제5권, pp.311-323, 2001.
  9. 강병도, 박진숙, 김선경, "멸티미디어 매체를 이용한 웹기반 인터넷 윤리 학습모형 개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2, No.5, 2007
  10. 송원푼, 이상화, 김은주, 송성렬, 송수민, 김명원, "인터넷 중독익 진단과 처방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한국지능시스템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 20, No.1, pp.289-292, 2010
  11. 강태구, 이재판, 김미아, 박찬근, 허태영, "통계패키지 와 Active Server Page를 이용한 통계 분석 웹 컨텐 츠 개발",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1, 2010.

피인용 문헌

  1. Improving Internet Ethics Understanding by Making Related UCCs vol.20, pp.3, 2015, https://doi.org/10.9723/jksiis.2015.20.3.001
  2.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대한 성별 시간관 차이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분석 vol.13, pp.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