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imultaneous Aero-Structural Design of HALE Aircraft Wing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고고도 장기체공 항공기 날개의 다목적 최적화를 이용한 공력-구조 동시 설계

  • 김정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대학원) ;
  • 전상욱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항공우주신기술연구소) ;
  • 허도영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대학원) ;
  • 이동호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항공우주신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0.08.06
  • Accepted : 2010.11.24
  • Published : 2010.12.25

Abstract

In this study, simultaneous aero-structural design was performed for HALE aircraft wing. The span and the shape of main spar were considered as design variables. To maximize aerodynamic performance and to minimize weight, multi-objective optimization was used. Nonlinear static aeroelas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ute large deflection of wing. Design of experiment and response surface method were used to reduce computation cost in the design process. Also, aerodynamic performances of deformed wing and rigid wing were compared.

본 연구에서는 고고도 장기 체공 항공기 날개의 스팬과 주날개보의 형상을 설계변수로 동시에 고려하는 공력-구조 동시 설계를 수행하였다. 이 때 공기역학적 성능 최대화와 중량 최소화를 한 번에 수행하기 위해 다목적 최적화를 이용하였다. 설계 대상이 된 날개는 구조적 대변형이 발생되므로 전산유체역학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비선형 정적 공탄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설계를 위한 해석에 요구되는 계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응면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위해 실험계획법이 이용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변형이 발생되지 않은 형상과 대변형이 발생한 형상의 공력 성능을 비교하여 대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설계를 위해 반드시 변형이 고려되어야 함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enkinson, L. R. and Marchman J. F. III, "Aircraft Design Project for Engineering Students", 1st ed., Butterworth-Heinemann, Oxford, 2003.
  2. A. Jameson, "Aerodynamic Design via Control Theory", Journal of Scientific Computing, Vol. 3, 1988, pp. 233-260 https://doi.org/10.1007/BF01061285
  3. 유재한, 임인규, 이인, "큰 가로세로비를 가지는 날개의 대변형 효과를 고려한 비선형 정적 공탄성 해석",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4권 3호, 2006, pp. 31-36. https://doi.org/10.5139/JKSAS.2006.34.3.031
  4. Yang, G., Chen, D. and Cui, K., "Response Surface Technique for Static Aeroelastic Optimization on a High-Aspect-Ratio Wing", Journal of Aircraft, Vol. 46, 2009, pp. 1444-1450. https://doi.org/10.2514/1.42370
  5. Kim, Y., Jeon. Y.-H. and Lee, D.-H., "Multi-Objective and 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of Supersonic Fighter Wing", Journal of Aircraft, Vol. 43, 2006, pp. 817-824. https://doi.org/10.2514/1.13864
  6. Hoffmann, K. A. and Chang, T.,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4th Ed.,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Kansas, 2000.
  7. Zienkiewicz, O. C., and Taylor, R. L. "The Finite Element Method", 4th Ed., McGraw-Hill, New York, 1991.
  8. van Schoor, M. C. and von Flotow, A. H. "Aeroelastic Characteristics of a Highly Flexible Aircraft", Journal of Aircraft, Vol. 27, 1990, pp. 901-908. https://doi.org/10.2514/3.45955
  9. Tang, D. M. and Dowell, E. H.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y on Aeroelastic Response of High-Aspect-Ratio Wings", AIAA Journal, Vol. 39, 2001 pp. 1430-1441. https://doi.org/10.2514/2.1484
  10. Palacios, R. and Cesnik, C. E. S., "Static Nonlinear Aeroelasticity of Flexible Slender Wings in Compressible Flow", 46th AIAA/ASME/ASCE/AHS/ASC Structure, Structural Dynamics & Materials Conference, AIAA 2005-1945, 2005.
  11. Schuster, D. M., Liu, D. D. and Huttsell L. J., "Computational Aeroelasticity: Success, Progress, Challenge", Journal of Aircraft, Vol. 40, 2003, pp. 843-856. https://doi.org/10.2514/2.6875
  12. Wang, Z., Chen, P. C., Liu, D. D., Mook, D. T. and Patil, M. J., "Time Domain Nonlinear Aeroelastic Analysis for HALE Wings", 47th AIAA/ASME/ASCE/AHS/ASC Structures, Structural Dynamics, and Materials Conference, AIAA 2006-1640, 2006.
  13. 김유신, "반응면 기법을 이용한 초음속 전투기 날개의 다학제간 다점 설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항공우주공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2.
  14. 김정화, 전상욱, 김병곤, 전용희, 이동호, "VMT Method와 Dynamic Mesh를 이용한 항공기 날개의 정적 공탄성 해석",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6, pp. 69-72.
  15. Atkinson, A. C. and Donev, A. N., "Optimum Experimental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2.
  16. Myers, R. H. and Montgomery, D. C.,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1st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5.
  17. Koch, P. N., Mavris, D. and Mistree, F. "Multi-Level, Partitioned Responses for Modeling Complex Systems", 7th AIAA/USAF/NASA/ISSMO Symposium on Multidisciplinary Analysis and Optimization, AIAA 1998-4958,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