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ffection parenting in low income class and middle income class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성인애착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 중산층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 민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1.12.31
  • Accepted : 2011.07.28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adult attach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ffection parenting in low-income class and middle income class The subjects were 339 mothers who reared 3-5 old age child in Daegu and Gyou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single and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dult attachment fully exerted indirect effects on affection parenting mediated by psychological well-being in low income class of mothers. (2) But adult attachment partly exerted indirect effects on affection parenting mediated by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 income class of mothers.

긍정적 경험, 긍정적 특질, 긍정적 조직의 복원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긍정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문제를 규명하고 해결함에 있어 약점만큼이나 강점을 강조하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상처를 치료해야하는 만큼 건강한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따라서 우울이나 불안 등과 같은 부정적 측면보다 희망이나 행복과 같은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두려 노력한다. 이러한 긍정 심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경제적으로 어려운 저소득층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우울이나 스트레스, 불안, 거부적 양육행동, 부부갈등 등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둘 뿐 저소득층 어머니에게 내재되어 있는 안녕감이나 따뜻함, 애정성, 안정성, 희망 등과 같은 긍정적 요인은 상대적으로 간과했다고 볼 수 있다. 긍정적 정서나 성격 등 개인 안에 내재하고 있는 '긍정성' 속에 내포하고 있는 유연성과 통합성, 위기 대처 능력 등을 고려해 볼 때, 경제적 취약함이라는 부정적 환경 속에서도 나타나는 저소득층 어머니의 긍정성은 궁극적으로 저소득층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저소득층 어머니를 대상으로 애정적 양육 행동, 성인애착, 심리적 안녕감 등 개인의 긍정성에 초점을 두고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성인애착의 영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의해 매개되는가를 저소득층 어머니 101명과 중산층 어머니 238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은 중산층 어머니의 경우처럼 안정된 성인애착에 의해 유의하게 설명되나 안정된 성인애착의 영향은 부분 매개 효과를 보이는 중산층 어머니와 달리 심리적 안녕감에 의해 완전 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 향상을 위해 중산층 어머니보다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대구가톨릭대학교

References

  1. 김은정, 권정혜(1998.) 우울증상과 관련된 대인관계 특성: 성인기 애착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 139-153.
  2.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40.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4. 김지영, 민하영(201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인애착과 삶의 만족도가 애정적-거부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137-155.
  5. 김지혜, 성정현(2010). 빈곤여성가장 대상 무담보소액대출사업의 효과: 생활자금을 지원한 한국여성재단 긴급지원 캐쉬 SOS 사업의 사례.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173-201.
  6. 나은숙, 이종인(2008) 부모의 자녀수용-거부와 통제 척도에 대한 한국 타당화 검사: 유아 부모용.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3), 215-247.
  7. 박성연, 임미리(2002).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57-68.
  8. 송신영, 박성연(2008).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심리적 복지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구관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5), 19-33.
  9. 신기영, 옥선화(1997). 중년기 주부의 가족 역할 수행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1), 111-128.
  10. 신민희, 구재선(2010). 행복과 창의력의 관계: 행복한 사람이 더 창의적이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3), 37-51.
  11. 이주일(2004). 노인의 대인애착 경향과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활동 및 지지적 관계 추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2), 11-29.
  12. 이현송(2001). 소득과 전반적 삶의 만족 간의 관계 : 욕구이론과 비교이론의 대비. 노동경제논집, 24(1), 231-251.
  13. 양병화(2002).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14. 장혜란, 박선진, 이순철(2009). 고령운전자의 이동성(Mobility)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2), 251-271.
  15. 조윤주, 이숙현(2007). 경제 활동을 하는 남녀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요구-조절-지지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27-141.
  16. 전현진, 박성연(1999). 부모의 아동기 경험 ,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153-169.
  17. 허영림, 윤혜진(1999).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요인과 양육 행동에 관한 연구: 결혼 만족도, 직업 만족도, 자아 존중감, 부친의 양육성 지각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4(2), 145-157.
  18. 한영옥, 김문혜(2003).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행동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횡문화적 고찰. 아동학회지, 24(1), 47-59.
  19. 통계청 http://www.nso.go.kr
  20.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1. Berman, W. H., & Sperling, M. B.(1994). Attachment in adul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2. Benoit, D., & Parker, K. C. H.(1994). Stability and transmission of attachment across three generations. Child Development, 65, 1444-1456. https://doi.org/10.2307/1131510
  23. Bowlby, J.(1982). Attachment and loss: Vol.1. Attachment. NewYork: BasicBooks.
  24. Clark, L. A., Watson, D., & Mineka, S.(1994). Temperament, personality, and the mood and anxiety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3, 103-116. https://doi.org/10.1037/0021-843X.103.1.103
  25. Collins, N. L., & Read, S. J.(1990). Adult attachment, working models, and relationship quality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644-663. https://doi.org/10.1037/0022-3514.58.4.644
  26. Compton, W. C.(2005).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CA: Thompson Learning.
  27. Crowell, J. A., & Feldman, S. S.(1988). Mothers' internal models of relationships and children's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status: A study of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9, 1273-1285. https://doi.org/10.2307/1130490
  28.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 - 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29. Diener, E., & Diener, M.(1995). Cross-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653-663. https://doi.org/10.1037/0022-3514.68.4.653
  30.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1967 to 1997.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31. Fujita, F. & Diener, E.(2005): Life satisfaction set point: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1), 158- 164. https://doi.org/10.1037/0022-3514.88.1.158
  32. Gershoff, E. T., Aber, J. L., Raver, C., & Lennon, M. C.(2007). Income is not Enough: Incorporating material hardship into models of income associations with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8, 70-95.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7.00986.x
  33. Hazan, C., & Shaver, P. R.(1987). Conceptualizing romantic love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11-524. https://doi.org/10.1037/0022-3514.52.3.511
  34. Hortacsu, M., Cesur, S., & Oral, A.(1993).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attachment styles in parent- and institution-reared Turkish childre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4, 329-337. https://doi.org/10.1080/00221325.1993.10532185
  35. Rohner, R. P.(1987).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warmth, control, and punishment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school conduc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youth in a biracial southern community. Unpublished data.
  36. Rohner, R. P., Khaleque, A. & Cournoyer, D. E. (2005). Introduction to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theory, methods, evidence, and implications. In R. P. Rohner & A Khaleque(4th Eds.)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pp. 1-35). Storrs, CT: Rohner Research Publications.
  37. Ryff, C. D.(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38. Ryff, C. D. & Keyes, C. L.(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39.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https://doi.org/10.1037/0003-066X.55.1.5
  40. Schmutte, P. S. & Ryff, C. D.(1997). Personality and well-being: Reexamining methods and mean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549-559.
  41. Thompson, R. A.(2000). New direct ions for child development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legacy of early attachments. Child Development, 71, 145-152. https://doi.org/10.1111/1467-8624.00128
  42. Volling, B. L., Notaro, P. C., & Larsen, J. J.(1998). Adult attachment styles: Relations with emotional well-being, marriage, and parenting. Family Relations, 47(4), 355-367. https://doi.org/10.2307/585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