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 권미경 (숭의여자대학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1.03.16
  • Accepted : 2011.05.30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mother's parenting stresses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625 employed and 1453 non employed mothers from the Korean children panel in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fant mothers experienced the medium level of parenting stresses. They reported the high level stresses in the parenting costs, the selecting parenting information, and the responsibility in their child's emotional stability. 2) The non employed mothers perceived more difficulties in the parenting situations than the employed mothers. The employed mothers perceived their environment and their parenting itself in positive way. They were in the good psychological conditions, having a well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s. They also had more knowledge in the child rearing and social supports. 3) The mother's psychological factors showed the high explanation power on their parenting stresses. 4) The father's parenting assistant affecte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es only in the non employed mother.

이 연구는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환경 특성과 양육과정에 경험할 수 있는 스트레스 수준과의 관계를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2008년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 중인 어머니 625명과 미취업 어머니 1,453명의 자료를 t 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보통 정도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양육비용, 육아정보 선택, 자녀의 정서적 안정에 대한 책임감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둘째, 영아의 양육을 직접 감당하고 있는 미취업 어머니들이 취업 어머니들에 비해 양육 상황을 더 부담스럽게 인식하고 있다. 취업 어머니들이 더 건강한 심리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남편과 양호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고, 양육에 대한 지식의 수준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도 높아 현재의 양육 환경과 양육 과정을 더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다. 셋째, 양육환경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미취업 어머니 집단에서만 아버지의 양육참여 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경(1998). 3세 이하자녀를 둔 전문 . 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 고성혜(1994). 어머니가 지각한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2), 21-37.
  3. 권정혜(1997). 심리사회적 요인이 산후우울에 미치는 영향: 산후우울에 대한 스트레스-취약성모델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6(2), 55-56.
  4. 김기현(1998).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9), 49-62.
  5. 김기현(2000).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탐색. 한국생활과학회지, 9(1), 71-84.
  6. 김기현 . 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7. 김기현 . 조복희(2000). 맞벌이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아동학회지, 21(4), 35-50.
  8. 김선애 . 한유진(2009). 아버지의 양육수행,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지식이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55-64.
  9. 남혜순(2003). 어머니가 지각하는 유아의 기질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아동교육, 12(2), 121-135.
  10. 문혁준(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42(11), 109-121.
  11. 박성애 . 전춘애 . 한세영(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12. 박성연 . 도현심 . 정승원(1996). 부모-자녀관계: 생태학적 접근. 서울: 학지사.
  13. 박성옥(1997).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6(2), 37-45.
  14. 박응임(1995). 영아 어머니간의 애착유형과 그 관련변인.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송연숙, 김영주(2008).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유 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비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181-203.
  16. 오재연 . 유구종(2007).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변인 탐색: 전 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73-94.
  17. 유안진 . 김연진(1997). 부모교육. 서울: 동문사.
  18. 유호용(2001).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및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 윤지원 . 황라일 . 조헌하(2009).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와 관련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5(4), 294-302.
  20. 이삼식 . 정윤선 . 김희경 . 최은영 . 박세경 . 조남훈 . 신인철 . 도세록 . 조숙경 . 강주희(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 .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1. 이재림 . 옥선화(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5), 49-64.
  22. 이정순(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부부관계, 부모성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4(3), 97-106.
  23. 이주리(2008). 어머니의 수용-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모형분석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2), 57-71.
  24. 이주옥(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11, 41-61.
  25. 최영희(1993). 기질과 환경 간의 "조화로운 합치" 모델 검증연구(1): 조화로운 합치정도와 양육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2), 217-226.
  26. 홍성례(1995). 30대 남편의 가족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경희대학교석사학위논문.
  27. Abidin ,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8.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9. Bornstein,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M. O., Painter, K. M. Galperin, C. Z.& Pecheux, M. G.(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https://doi.org/10.1080/016502596385820
  30. Buss, A. H. & Plomin, R.(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adale. NJ: Eelbaum.
  31. Kessler, R. C., Andrew, G., Cople, L. J., Hiripi, E., Mroczek, D. K., Normand, S, T., Walters, E. E. & Zaslavsky, A.(2002). Short screening scales to monitor population prevalencies and trends in nonspecific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logical Medicine,32(6), 959-976. https://doi.org/10.1017/S0033291702006074
  32. Lazarus, A. & Folkman, S.(1987). Transactional theory and research on emotions and coping.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1, 141-169. https://doi.org/10.1002/per.2410010304
  33. MacPhee, D. (2002).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Survey of child care experiences & manual (2nd ed.). Unpublished manuscript, Colorado State University.
  34. Mainieri, T. & Grodsky, M.(2006).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Child development supplement: Users guide supplement for CDS-I. http://psidonline.isr.umich.edu/CDS/CDSI_UGSupp.pdf.
  35.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1994). Fighting for your marriage.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6. Mash, E. J. & Johnston, C.(1990). Determination of parenting stress: illustrations from families of hyperactive children and families of physically abused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 313-328.
  37. Rosenberg, M.(1986).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38. Schumm, W., Nicols, C., Schectman, K. & Grigby, C.(1983).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e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Reports, 53, 567-572. https://doi.org/10.2466/pr0.1983.53.2.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