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Of Preschool Childr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 Health of the Mothers

취학전 유아의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

  • 설경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부 아동가족학전공) ;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Received : 2010.12.31
  • Accepted : 2011.03.18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 health. Participants consisted of 569 mothers and their children living Incheon and Buchon Province.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Scale,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 Health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the mother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 healths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income, Mothers' education level predicts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and family health.

본 연구는 부천시와 인천시에 소재하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569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 건강성의 차이 및 관계를 알아보고, 초기경험의 기초가 되는 가족의 중요성과 역할을 재인식하여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어머니의 교육수준, 취업유무,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가정환경자극,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이상인 집단이고 취업한 어머니이며, 월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가정의 가정환경자극, 양육효능감, 가족건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과 가족건강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환경자극 및 양육효능감은 가족건강성의 하위영역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정의 월소득이 높고 가정환경자극이 풍부하며 어머니의 의사소통 효능감이 높을수록 가족건강성이 높으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경(2005).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93-102.
  2. 김정미, 곽금주(2007a). 3-6세 유아를 위한 가정환경자극 척도(EC-HOME)의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8(1), 115-128.
  3. 김정미, 곽금주(2007b). 취학전 빈곤아동에 대한 부모, 가정환경자극,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탐색, 아동학회지, 28(4), 305-317.
  4. 문혁준(1999).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능감이 자녀 양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6), 1-11.
  5. 서소정(2004).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모델. 대한가정학회지, 42(4), 11-27.
  6. 세계대백과사전(1990). 서울: 두산.
  7. 손영숙(1984). 영.유아의 양육책임자에 따른 가정환경자극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청구.
  8. 신숙재(1997).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안선희, 김선영(2004). 가족의 건강성과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2(12), 219-230.
  10. 어은주, 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11. 유영주(1991). 건강가정 육성을 위한 가정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45-63.
  12. 유영주(1994). 건강한 가족을 위한 가족원의 역할. 한국아동학회 제16차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25-42.
  13.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14. 윤경희(1999). 가정환경과 지능발달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윤연정, 이미숙(2007). 가족건강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05-122.
  16. 임정아(2005).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임정아, 이인수(2006). 청소년기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연구. 유아교육, 15(2), 37-62.
  18. 장영애, 서용선(1983). 가정환경 자극검사(HOME)와 학령전 아동의 발달 수준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4, 1-10.
  19. 전은영(2004).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차이.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정혜인(2003).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최경원(2010).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최정혜(2004). 주말부부의 가족스트레스, 대처전략 및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69-83.
  23. 최정혜(2006).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3), 163-173.
  24. 최형성, 정옥분(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5.
  25. 통계청(2004). http://www.nso.go.kr
  26. 한찬희(2006). 만2세 영아의 문해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와 가정문해 환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허봉렬(1997). 건강가족실천운동의 방향과 과제. 건강가족상정립을 위한 워크샵 자료집, 한국건강가족실천운동본부
  28. 홍성례, 유영주(2000). 남편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생활과학논집, 4(1), 1-17.
  29.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0. Bloom, B. S. (1964). Stability and Change in Human Characteristics. New York: Springer-Verlag.
  31. Bradley, R. H., & Caldwell, B. M. (1976).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mental test performance at fifty-four months: A follow-Up study. Child Development, 47, 1172-1174. https://doi.org/10.2307/1128457
  32.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ual: Comprehensive Edition.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33. Coleman, P. K., & Karraker, K. H. (2003). Maternal self-efficacy beliefs,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4(2), 126-148. https://doi.org/10.1002/imhj.10048
  34. DeFrain, J., & Stinnett, N. (2002). Family strengths. In J. J. Ponzetti et al.(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arriage and family(2nd ed.). New York: Macmillan Reference Group.
  35. Elardo, R., Bradley, R., & Caldwell, B. M. (1977).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lation of Infants Home Environments to Language Development at Age three. Child Development, 48, 595-603. https://doi.org/10.2307/1128658
  36. Johnston. C. & Mash, E. J. (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 175-197.
  37. Lewis, J. M., Beavers, W. R., Gossett, J. T., & Phillips, V. A. (1976). No single thread : Psychological health in family sistems. NewYork: Brunner/ Mazel, Inc.
  38.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J. Sluyter(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New York: Basic Books.
  39. Teti, D, M., & Gelfand, D. H.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 https://doi.org/10.2307/1131143
  40. Walberg, H., & Marjoribanks, K. (1973). Differential Mental Abilities and Home Environment: A Canonical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9, 363-368. https://doi.org/10.1037/h0034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