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경원대학교
참고문헌
- Kadowaki T, Yamauchi T. Adiponectin and adiponectin receptors. Endocrine Reviews. 2005;26(3):439-51. https://doi.org/10.1210/er.2005-0005
- Yamauchi T, Kamon J, Waki H et al. The fat derived hormone adiponectin reverses insulin resistance associated with both lipoatrophy and obesity. Nat Med. 2001;7(8):941-6. https://doi.org/10.1038/90984
- 박샛별, 연규월, 조성진. 비만 성인에서의 Adipokine 발현과 정신사회적 요인. 대한비만학회지. 2005;14(2):82-93.
- Kim JY, Shin HW, Jeong IK et al. The relationship of adiponectin, leptin and ghrelin to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uman obesity. Korean J Med. 2005;69(6):631-41.
- 정병천, 박순홍, 이주영, 이신원, 정성창, 김정국, 하승우, 김보완.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의 비만 지수와 죽상경화증 위험인자들과의 상관성. 대한비만학회지. 2003;12(2):93-107.
- Jean-Pierre Despres, Isabelle Lemieux, Jean Bergeron, Pilippe Pibarot et al. Abdominal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ontribution to global cardiometabolic risk.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08;28:1039-49. https://doi.org/10.1161/ATVBAHA.107.159228
- 박혜순. 한국인에서의 대사증후군의 역학. 대한비만학회지. 2002;22:203-11.
- Despres JP. The insulin resistance-dyslipidemic syndrome of visceral obesity: effect on patient's risk. Obes Res. 1998;6:8S-17S. https://doi.org/10.1002/j.1550-8528.1998.tb00683.x
- 김상만, 김성수, 윤수진, 심경원, 최희정, 김광민, 이득주. 복부 내장지방량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순비만지표는?(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엉덩이둘레비). 대한비만학회지. 1998;7(2):157-68.
- 최성희, 김대중, 이광은, 김유미, 송영득, 기하동, 안철우, 차봉수, 허갑범, 이현철. 한국 성인 대사증후군 환자에서 허리둘레의 기중치수에 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2004;13(1):53-60.
- Matsuzawa Y. Pathophysiology and Molecular mechanism of visceral fat syndrome: the Japanese Experience. Ann NY Aca Sci. 1987;676:270-8.
- 이미선, 노호성, 내장형 비만과 피하지방형 비민여성에 대한 자전거 운동 및 회복시 지질대사의 변화 특성. 체육과학연구. 2005;16(2):64-73.
- 강재헌, 김경아, 조영규, 전정윤, 김옥현. 내장 지방형 비만이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대한비만학회지. 2006;15(4):175-86.
- 이영미, 박혜순, 천병철, 김현수. 복부비만의 지표로서 부위별 허리둘레 측정값의 신뢰도. 대한비만학회지. 2002;11(2):123-30.
- 김현수, 박혜순. 생체전기저항 신체구성 분석기의 재현성 및 타당도. 대한비만학회지. 2002;11(4):389-97.
- 정영진, 박지영, 차기철, 박혜순. 체성분분석기 Inbody 3.0으로 측정된 허리둘레 및 허리/엉덩이 둘레비의 정확도. 대한비만학회지. 2002;11(2):115-22.
- 서상도, 이상엽, 민홍기, 김영주, 홍정익, 김윤진. 성별과 채질량지수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하는 체성분분석기의 복부둘레. 가정의학회지. 2006;27:612-9.
- Bouchard C, Bray GA, Hubbard VS. Basic and clinical aspects of regional fat distribution. Am J Clin Nutr. 1990;52:946-50. https://doi.org/10.1093/ajcn/52.5.946
- Kannel KB, Cupples LA, Ramasnami R et al. Regional obesit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Framinham study. J Clin Epidemiol. 1991;44:183-90. https://doi.org/10.1016/0895-4356(91)90265-B
- 이윤재, 황덕상, 이창훈, 이경섭. 피하지방 및 피하지방의 분획과 관련된 임상적 의의에 관한 고찰. 한방비만학회지. 2007;7(2):15-25.
- 김양현, 오상우, 김영성, 전중한, 양윤준, 윤영숙, 이언숙. 비만여성의 복부지방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 대한비만학회지. 2005;14(1):39-46.
- 이아라, 정원석, 송미연. 폐경전 한국인 비만 여성에서 복부지방의 분획별 특성에 대한 임상연구. 한방비만학회지. 2008;8(2):25-35.
- Mohan V, Vijayaprabha R, Rema M, Premalatha G, Poongothai S, Deepa R et al. Clinical profile of lean NIDDM in South ONdia. Diabetes Res Clin Prac. 1997;38:101-8. https://doi.org/10.1016/S0168-8227(97)00088-0
- Miyazaki Y, Mahankali A, Matsuda M, Mahankali S, Hardies J, Cusi K et al. Effest of pioglitazone on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 Clin Endocrinol Metab. 2002;87:2784-91. https://doi.org/10.1210/jc.87.6.2784
- Nielsen S, Guo Z, Johnson CM, Hensrud DD, Jensen MD. Splanchnic Jipolypis in human obesity. J Clin Invest. 2004;113:1582-8. https://doi.org/10.1172/JCI21047
- Kelley DE, HUWE T, Goodpaster BH et al. Subdivisions of subcutaneous abdominal adipose tissue and insulin resistance.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0;279(5):941-48. https://doi.org/10.1152/ajpendo.2000.279.4.E941
- Kettaneh A, Ducrimetier P, Chales Ma et al. High plasma leptin predicts an increase in subcutaneous adiposity in children and adults. Eur J Clin Nutr. 2007;60(6):71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