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남택승. 농부증에 대하여. 한국농촌의학회지. 1976;1(1):47-50.
- 김은주. 농부증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2;13(4):817-25.
- 안옥선. 농부증 실태 및 관련요인. 농촌생활과학. 2000;21(2):37-43.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07:239-41.
- 조현철, 홍서영, 박성호, 조태영, 최승범, 송윤경, 임형호. 12주간의 유산소성 및 저항성 복합운동이 20-30대 여성의 체성분과 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1):109-26.
- 정세희, 황병덕, 윤희정, 이성국. 운동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의 악력, 균형 그리고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5):214-23.
- 구미옥, 강영실, 김은심, 안황란, 오현숙, 은영.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2;32(3):384-94.
- 정연수. 9주간의 기공체조 훈련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성인들의 혈액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06;15(3):575-85.
- 정민예, 양노열, 유인규, 고상백, 이경숙, 김경란, 김효철. 일 지역 농업인의 근력강화운동이 정신사회 및 신체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2008;20(4):343-50.
- 김춘미.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농촌주민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8;19(3):349-57.
- 김용록.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노인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서지혜. 실버무용 프로그램이 농촌노인의 신체조성 및 체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교육학회지. 2009;20(1):119-34.
- 김혜진, 남성남, 김종혁. 8주간 소도구필라테스 안정성운동 프로그램이 농업인들의 신체 안정성과 감각운동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11;18(1):1-10.
- 이은경. 걷기운동 프로그램이 농촌노인의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에 미치는 효과.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김철현, 김찬.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능력에 미치는 효과: 골다공증성 골절을 유발하는 낙상위험인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008;10(3):81-90.
- 오유성, 박우영.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농촌노인의 체력과 감각조절 및 운동조절 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0;42:825-36.
- 정숙희, 정경희. 에어로빅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10;21(2):252-62.
- 정소봉, 오인원. 24주간 복합운동이 농촌노인의 신체구성, 기능적 체력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지. 2010;6(2):115-24.
- 강창균, 성순창, 이만균. 두 가지 유형의 복합 운동 트레이닝이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체력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10;21(2):1152-64.
- 박우영, 김기홍, 송상협, 고성식. 12주간의 운동프르그램이 농촌노인의 기초체력 및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11;15(4):215-26.
- Jadad AR, et al.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996;17(1):1-12. https://doi.org/10.1016/0197-2456(95)00134-4
- Schulz KF, Grimes DA. Allocation concealment in randomised trials: defending against deciphering. The Lancet. 2002;359:614-8. https://doi.org/10.1016/S0140-6736(02)07750-4
- 조현철. 운동과 건강. 서울:라이프사이언스. 2002: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