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ocess of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Special Guard Firstly Appointed

초임 특수경비원의 직업사회화 과정 분석

  • Received : 2011.11.14
  • Accepted : 2011.11.2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various experience factors that special guards firstly appointed calculate during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and suggest the preliminary data which is necessary to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service strategy of preliminary special guard and security guard. So, in-depth interviewing and ethnographic study were conducted for 4 special guards firstly appointed. As the result,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of special guards firstly appointed are quickening period, preparatory period, adaptation period and conflict/maturity period. The first, quickening period is a decision of family background, exercise experience and university entrance. The second, preparatory period is certificates and mentor of department vision, university curriculum and occupational preparation. The third, adaptation period is occupational specialty, occupational professionalism, occupational satisfaction, motivation and company colleagues. The forth, conflict/maturity period is job stress, turnover, conflict in company, efforts for self-development and prospect of job.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applied as a guide for special guard's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rovide educational preliminary data for following-up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특수경비원들이 직업사회화 과정에서 산출하는 다양한 경험요소를 규명하여 예비 특수경비원 및 경호경비 교육서비스 전략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임 특수경비원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문화 기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임 특수경비원의 직업사회화 과정은 태동기, 준비기, 적응기, 갈등 및 성숙기로 구분하였으며, 첫째, 태동기는 가정환경, 운동경험, 대학진학 결정이다. 둘째, 준비기는 학과의 비전, 대학 교육과정, 직업준비를 위한 자격증, 멘토이다. 셋째, 적응기는 업무의 특수성, 업무의 전문성, 직업 만족이다. 넷째, 갈등 및 성숙기는 업무 스트레스, 이직, 회사 내 갈등, 자기발전 노력, 직업의 장래성이다. 따라서 특수경비원의 업무향상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연구를 위한 교육적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Denzin, N.K., Lincoln, Y.S. (2000).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Thousand Oaks.
  2. Spradley, J.P. (1990). The Ethnographic Interview. Holt, Rinehart and Winston, New York.
  3. 김병준, 오수학 (2004). 체육학 연구법. 무지개사.
  4. 김용욱 (2004). 공항보안요원의 발전에 관한 연구 - 보안요원의 직무수행 향상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대학원.
  5. 김종웅 (2008). 한국 민간겸비 역할증진을 위한 특수경비업무 발전방안.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6. 박형규 (2009). 국가중요시설 경비원의 직무태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광운대학교 대학원.
  7.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8. 이선기 (2010). "G20 정상회의시 안전대책 방안 - VIP 신변보호를 중심으로." 2010년도 한국테러학회 정기학술세미나 논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