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leep Health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Dental Hygienists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과 수면건강과의 관계

  • Yoon, Song-Uk (Dept. of Dental Hygiene, Gumi One College University) ;
  • Nam, In-Suk (Dept. of Dental Hygiene, Gumi One College University)
  • Received : 2011.03.29
  • Accepted : 2011.06.1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Under the goal of investigating rel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leep health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of dental hygienists, who provide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at dental clinics, this study surveyed 220 dental hygienists in Gumi city from July 2 to 21, 2010. The surveyed dental hygienists scored average 2.75 in emotional labor, which means their emotional labor was higher than average. Their emotional labor was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ith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educational background, place of work, salary, and drinking(p<0.05). The means of their emotional labor in six ite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As a result, personality type A had higher means in emotional labor than personality type B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The more stress they had from emotional labor, the worse their sleep health became. As for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leep health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the bad sleep health group accounted for 88.1% and recorded 2.85 mean scores in emotional labo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personality type A.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emotional labor in personality type A and sleep health indicate that the more emotional labor in personality type A they had, the worse their sleep health became. As for causality between personality type A and emotional labor, "difficulty with sleeping," "a feeling of lack of sleep when waking up," and "taking sleeping pill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emotional labor of personality type A. Dental hygienist who owns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type A, the more emotional labor, emotional stress of personality type A labor is high and unhealthy sleep affects the results were derived.

본 논문은 구미 지역의 치과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20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의 A/B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을 확인하고 수면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감정노동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타당성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전체평균은 2.75로 중위수 이상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 일반적인 특성 중 학력은 전문대학졸업이 4년제 대학 졸업이상자보다 높았으며, 근무장소는 종합병원이 치과병원이나 개인의원보다 높고, 임금은 낮거나 높은 단계보다 중간단계인 경우에 높게 분석되었으며 음주를 한다고 응답한 경우 감정노동이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성격유형을 A/B 구분하였을 때 A유형인 경우 감정노동 항목에서 '내 일을 잘 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호의와 협조가 필요하다'가 3.14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이를 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의 6문항별 감정노동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A유형의 성격이 B유형의 성격보다 감정노동의 평균값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3. 치과위생사의 수면건강은 좋은 군과 나쁜 군이 각각 45.9%, 53.1%로 나쁜 군의 분포가 높았다. 감정노동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수면건강도 좋지 않았으며 성격유형에 따른 감정노동과 수면건강수준과의 관계는 성격유형 A유형의 감정노동인 경우 수면건강이 나쁜 군은 88.1%로 좋은 군보다 분포가 높으며 감정노동 평균이 2.8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성격유형 B유형의 감정노동은 수면건강이 좋은 군의 분포가 높고 감정노동의 평균도 나쁜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4.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성격유형 A유형의 감정노동과 수면건강과의 회귀분석 결과 A유형은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수면건강도 좋지 않다고 나타났으며 수면건강문항과 A유형과 감정노동 간의 인과성은 '잠들기 어려움', '깨었을 때 불충분한 잠을 잔 느낌',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음'이 A유형의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치과의료기관의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감정노동자로서 치과위생사임을 인식하고 감정노동의 중요성과 성격의 특징에 따른 감정노동의 관리를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건강한 생활을 지속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지진호: 여행업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서비스 제공 수준과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5): 284-292, 2009.
  2. Hochschild AR: Emotional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JS 85(3): 551-575, 1979.
  3. Morris JA, Feldman DC.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1996.
  4. 김민주: 감정노동의 결과에 대한 한국과 미국간의 비교연구. 한국호텔경영학회지 15(1): 35-57, 2006.
  5. 정명숙, 김광점: 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정지능이 간호가의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11(4): 1-18, 2006.
  6. Gerge JM: The role of personality in organizational life: issues and evidence. JOM 18(2):185-213, 1992.
  7. 한주원: 개인성격과 감정노동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 총론 14(1): 145-167, 2005.
  8. Frienman M, Rosenman RH: Association of specific overt behavior pattern with blood and cardiovascular findings. JAMA 169(12): 1286-1296, 1959. https://doi.org/10.1001/jama.1959.03000290012005
  9. Madigan MF Jr, Dale JA, Cross JD: No respite during sleep. Perceptual Mator skills 85(3 pt2): 1451-1454, 1997.
  10. 한지훈, 류재숙: 항공사 종사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 국제관광 학술대회, 부산, 한국, pp. 491-515, 2008.
  11. 추호정, 김현숙, 전대근: 소매점포 판매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연구. 한국유통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울, 한국, pp. 161-182, 2009.
  12. Buysse DJ et al.: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QI 28(2): 193-213, 1989.
  13. Grandey AA: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oor-rated service delivery. AMJ 46(1): 86-96, 2003.
  14. Rakker AB, Heuven. E: Emotional dissonance burnout and in-role performance among nurses and police officers. IJSM 13(4): 423-440, 2006.
  15. 김상표, 이덕로: 감정노동과 직무상황이 서비스 종업원들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15(2): 79-102, 2008.
  16. 안주영, 전의숙, 김현: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인천, 한국, pp. 3-19, 2007.
  17. Lee SM: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factor on work stress. J Nur Acad Soc 25(4): 790-806, 1995.
  18. Jung MH: The study on the job stress of dental hygienists by the personality type. KSDH 3(1): 45-57, 2003.
  19. Dearborn MJ, Hasting JE: Type a personality as a mediator of stress and strain in employed women. J Human Stress 13(2): 53-60, 1987. https://doi.org/10.1080/0097840X.1987.9936795
  20. Fuller J, Schaller-Ayers J: Health assessment: a nursing approach 3rd ed.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2000.
  21. William DS et al.: The effects of 53 hours of sleep deprivation on moral judgment. Sleep deprivation and restriction 30(3): 345-352, 2007.
  22. Koulack D, Neaca M: Sleep parameters of types A and B scoring college students. Percept Mot Skills 74(3pt1): 723-726, 1992.
  23. Tan VL, Hicks RA: Type A-B behavior and nightmare types among students. Percept Mot Skills 81(1): 15-19, 1995. https://doi.org/10.2466/pms.1995.8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