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Occupation Awareness for Dental Hygienist in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직업 인지 관련 요인

  • 조영식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황혜림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주승미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최정윤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황미라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05.24
  • Accepted : 2011.08.06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cognition of occupation title for dental hygienist in high school students. Total 210 students of one high school comple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ntal service utilization and occupation title awareness for health care personnels. Female and science tract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awareness for dental hygienist but showe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dental service utilization pattern. The study showed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recognition for dental hygienist and other health technicians. But there were no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wareness for dental hygienist and dentist, nurse. Gender, occupation recognition for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and physical therapist affect occupation recognition for dental hygienist.

치과위생사 직업명칭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평택시에 소재하는 한 고등학교의 재학생 중 각 학년별로 70명씩 할당추출을 하여 총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치과진료경험에 따른 인지도와 다른 보건의료직종 직업명칭 인지도 등을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에 의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 특성 중 여학생은 19.3%가 치과위생사 직업명칭을 인지하고 있으나, 남학생의 인지율은 5.7%에 불과하였다(p=0.006).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연계 학생들의 인지율은 24.2%로서 인문계 학생들의 인지율(14.3%)보다 높았다(p=0.037). 치과진료경험, 치과정기검진, 구강보건교육 경험 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보건의료직종 중 직업명칭에 대한 인지도는 간호사가 가장 높고(93.8%), 치과의사(78.1%), 물리치료사(52.4%), 간호조무사(15.7%), 치과위생사(14.8%), 치과기공사(12.9%), 방사선사(10.0%), 임상병리사(3.3%), 작업치료사(1.0%)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중 '치과위생사'라고 정확하게 기재한 학생은 8명(3.8%)에 불과하였고, 23명(11.0%)이 '치위생사'라고 응답하였다. 3. 치과위생사 직업명칭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Wald=4.287, p=0.038)과 임상병리사(Wald=7.016, p=0.008) 및 물리치료사(Wald=12.630, p<0.001) 직업명칭 인지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과위생사라는 직업명칭에 대한 인지도는 간호사, 치과의사, 물리치료사 등 다른 보건의료직종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며, 치과위생사에 대한 직업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숙, 김소영: 대학생의 가정 문화자본과 직업인식 및 직업인지도 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21(1): 147-165, 2008.
  2. 황매향, 김지현, 유정이: 중고등학생의 직업인식 발달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3-12, 2003.
  3. 박정주: 잠재성장 모형을 이용한 대학생의 직업정보인지도에 관한 종단 분석. 직업교육연구 29(2): 289-303, 2010.
  4.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대전, 통계청, 2007.
  5. 조영식: 학사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연구. 치위생과학회지 5(4): 251-258, 2005.
  6. 조영식 등: 치과위생사의 취업지속 및 재취업 관련 요인 조사. 서울,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 치과의료정책연구소, 2011.
  7. 오상환 등: 한국 신문에 게재된 치과위생사 관련 기사 분석: 2005-2008년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지 9(1): 59-68, 2009.
  8. 라수연: 대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관한 인식 조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용인, 2005.
  9. 신경선: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이미지 조사: 내원환자와 일반인 비교분석[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용인, 2009.
  10. 정원균 등: 일부 지역사회 주민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 및 업무 인지도 조사. 한국치위생학회지 6(4): 403-417, 2006.
  11. 유미선: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 및 선호도 조사 연구[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전주,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