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eference on Fashion Advertisement Media by Lifestyle Group Types

라이프스타일 집단유형화에 따른 패션 광고매체 선호도

  • Kim, Seon-Sook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 Business, Daejeon University)
  • 김선숙 (대전대학교 패션디자인.비즈니스학과)
  • Received : 2011.08.15
  • Accepted : 2011.09.24
  • Published : 2011.10.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esent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for lifestyle groups. Consumers' preference on advertisement media/information source, advertisement appeal types, and on-line media use were examined by lifestyle groups. This study was executed by web survey and off-line survey. A total of 141 data was obtained and data were analyzed by PASW 18.0.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 types of lifestyle groups were made up by holistic approach; 'price oriented', 'traditional symbolic', 'positive life', and 'open mind enjoyment'. 'Positive life type' preferred every type of ads media. 'Traditional symbolic type' liked magazine and 'price oriented type' and 'open mind enjoyment type' thought off-line store display more important. For ads appeal types, 'positive life type' preferred social oriented appeal type. Every group except 'price oriented type' preferred emotional appeal type and especially 'open mind enjoyment type' liked the most emotional ads appeal type.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주, 김경훈, 김선숙(2009). 소비와 트렌드. 서울: KAMS press.
  2. 고은주, 김경훈, 문희강(2008). 마케팅. 서울: 박영사.
  3. 김경훈, 반진용, 김동율, 문학일(2000). 인터넷광고에 대한 태도와 효과성에 있어 라이프스타일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마케팅과학연구, 6, 233-260. https://doi.org/10.1080/12297119.2000.9707406
  4. 김미정(2004). 의류기업의 판매촉진이 상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상일(2000. 12. 20). 효과적인 온라인광고 전략, 주간경제, http:// www.lgeri.com에서 2010년 11월 1일 인출.
  6. 김선숙(2009). 인터넷패션마케팅. 서울: 21세기사.
  7. 김지연(2003). 가격지각에 따른 패션점포 판매원 서비스와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1),45-54. https://doi.org/10.5850/JKSCT.2008.32.1.045
  8. 김인화, 유정자, 이윤정(2005). TV 드라마 PPL 광고의 효과와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과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지, 14(5), 785-794
  9. 김현정(2004).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및 사용형태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혜숙(2002).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5(1),299-308.
  11. 두산백과사전(2009). EnCyber & EnCyber.com에서 2010 년 5월 10일 인출.
  12. 마정미(2003). 한국 개화기 광고의 특성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60, 55-80.
  13. 민대환(2008). 모바일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한국IT서비스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183-186.
  14. 서범석, 원용진, 강태완, 마정미(2004). 근대 인쇄광고를 통해 본 근대적 주체형성에 관한 연구 - 개화기 1930년대까지 몸을 구성하는 상품광고를 중심으로 -. 광고학연구, 15(1), 227-266.
  15. 성기혁(2009). 개인의 가치성향이 광고 소구유형에 따라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2), 154-163.
  16. 손상희(2001). 인터넷 광고에 관한 연구 -배너광고와 이메일광고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14(3), 107-116.
  17. 신대영(2009). 온라인 게임의 온라인 광고 유형 사례.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17,(2), 29-37.
  18. 안광호, 하영원, 박흥수(2004). 마케팅원론. 서울: 학현사.
  19. 양성기, 양승춘(2003). 광고 전략적 관점에서 본 공익광고 캠페인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96-197.
  20. 이두원, 김인숙(2004). 근대 신문광고(1886-1949) 애용 분석연구: 근대 소비문화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5(5), 101-129.
  21. 이지현, 이승희(2010). 인터넷 패션광고 매체로서 소셜미디어의 효과 -패션 브랜드 커뮤니티, UCC동영상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학술대회논문집. 한국의류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53-53.
  22.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2005). 한국의 고부가가치 문화 상품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968-977.
  23. 이호화(2002). 판매촉진에 따른 백화점 화장품 매출변화분석에 관한 연구: H 백화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대련, 한민희. (1994). 광고경영론. 서울: 학현사
  25. 장진영, 황선진, 전호경(2007). 외모관심도, 화장품 브랜드 원산지 및 판촉유형에 따른 남성화장품 구매행동. 복식, 57(6),160-171.
  26. 전기순, 박인기(2005). 광고표현의'임팩트 성'-광고크리에이터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광고크리에이션의 공주체성에 관하여-. 디자인학연구, 18(4), 267-276.
  27. 전지현, Raftery, A.(2009). 전통문화 정체성에 관한 조형성 특성과 패션 문화 상품 개발 연구. 복식, 59(7), 65-76.
  28. 정혜영(1995). 여대생의 패션 라이프 스타일에 따는 자아개념, 쇼핑성향, 상점 애고에 관한 연구. 복식, 25, 201-213.
  29. 조규철(2000). 신세대여학생의 패션라이프스타일별 쇼핑성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조선명, 고애란(2008). 스포츠 소비 욕구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스포츠 의류 추구혜택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2(3), 418-430. https://doi.org/10.5850/JKSCT.2008.32.3.418
  31. 최순란, 황진숙, 김윤희(2009).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니트웨어 구매 행동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1), 48-56.
  32. 편석환(2005). 인터넷사이트 이용자 특성에 따른 광고영상 비교를 통한 광고효과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5(2), 69-7.
  33. 한경미, 나영주(2003). 여성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 행동과 선호 감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1026-1035.
  34. 한혁수, 김초이(2009).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의 웹 접근성 평가. 감성과학, 12(4), 481-488
  35. 홍성태, 박은하(2005).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여성 소비자 구매 행동 비교 연구: 화장품을 중심으로. 마케팅리서치, 20(1), 55-89.
  36. Boyd, D. M., & Ellison, N. B.(2007).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 210-230.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93.x
  37.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1990), Consumer Behavior(6thed.). NewYork: The Dryden Press.
  38. Jarnow, J., & Judelle, B.(1974). Insidethefashionbusiness (2nded.). NewYork: JohnWiley & Sons.Inc.
  39. Kotler, P., & Keller, K.(2008). Marketing Management (13thed.). NewYork: PrenticeHall.
  40. Lazer, W.(1963). Lifestyle concepts and marketing intoward scientific marketing. Chicago, IL: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41. Liuxia, L., Han, P., Jeon, B., & Kang, B.(2008). 동영상 UCC 광고의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1029-1035.
  42. Plummer, J. T.(1974). The concept and application of lifestyle segmentation. Journal of Marketing, 38(1), 33-37. https://doi.org/10.2307/1250164
  43. Richard, E. A., & Sturman, S. S.(1977). Lifestyle segmentation in appare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10, 81-91.
  44. Stanton, W. J., Etzel, M. J., & Waker, B. J.(1991). Fundamentals of marketing. NewYork: McGraw-HillInc.
  45. Yang, C. E.(1979). Lifestyle: A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ited by

  1. Gender and Age Differences in Triple Media Usage Related to Outdoor Apparel Purchases vol.39, pp.5, 201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5.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