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 놀이신념과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Rearing Attitude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투고 : 2011.07.30
  • 심사 : 2011.09.28
  • 발행 : 2011.11.30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rearing attitude. The participants were 261 mothers with young children. PSA(Playfulness Scale for Adults), PPBS(Parent Play Beliefs Scale),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productive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aring attitude varied by mothers' age, employment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others' playfulness, play beliefs, and rearing attitude. Third, mothers' playfulness and play beliefs were reliable predictors of rearing attitud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경(2007). 어머니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효능감의 매개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 고은애(2010). 놀이치료자의 놀이성과 제한설정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기보경(200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기순, 박인전(2002). 아버지 양육행동 및 놀이성과 유아의놀이성과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5(2), 27-43.
  5. 김명수(198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에 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영선(2009).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부모양육태도가 자녀의성장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영희(1995). 아동의 놀이성 군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영희(2001). 성격특성과 놀이성,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관계. 놀이치료연구, 4(1), 31-40.
  9. 김자영(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재희, 박경란(1998). 취업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능력간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15, 295-319.
  11. 김정숙(2005).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지위 및 놀이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종석(2011). 아버지의 놀이성과 부모 효능감 및 양육행동이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3. 김지신(1996). 어머니의 전통 : 근대 가치관 및 양육행동과아동의 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지혜, 김광웅(2006).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능력과의 관계.놀이치료연구, 9(1), 91-105.
  15. 노명희, 박상희(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07-127.
  16. 문혁준(1999). 취업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부모효능감이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7(6),97-107.
  17. 박성연, 이숙(1990).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표준화를 위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1), 141-156.
  18. 박수현(2006).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양육태도와 아동의정서지능과의 관계.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영애(1995).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박현숙, 김광웅(2004).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부모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7(1), 13-24.
  21. 박희영(2010). 유아 및 어머니 변인에 따른 어머니 양육태도,유아의 기질, 유아의 놀이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부민경(2010).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상형자(1992).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성희미(2011). 모의 창의성 훈련이 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송아람(2006).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태도의 관계가 유아의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동적 가족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신선희, 차윤희, 김영희(2008). 어머니의 놀이성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15(1), 281-299.
  27. 신소영(2008).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정서지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신혜경(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안재연(1992). 어머니의 취업에 따른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양은실(1998). 놀이치료자의 놀이성과 경력, 태도, 지식, 기술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양정선(1997).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사회적 행동특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오성심, 이종승(1982).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의 관계. 서울 : 행동과학연구소.
  33. 오혜주(2008). 일반 아동 어머니와 놀이치료 내담 아동 어머니의 놀이성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유미(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유인순(2005).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유희아(1996). 어머니의 비합리적 신념이 자아교육관,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윤승림(2009).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심리적건강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명숙(2010).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영순(1988).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영환, 임영옥, 오가영(2006). 유아의 창의성, 놀이성, 다중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정과학회지, 9(1), 15-24.
  41.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은수(1985). 어머니의 인격특성과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이은영, 김경혜(2005).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0(1), 105-119.
  44. 이정순(2002).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진화(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2), 327-344.
  46. 이진화, 임원신, 조성연(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정서능력과 유아교육기관 적응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0(3), 149-170.
  47. 이한별(2008).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의사소통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이희숙(1984). 자녀가 지각한 부친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과의 상관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임성실, 이정미, 김영희(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정서조절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15(2), 143-157.
  50. 장영숙, 조혜정(200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1), 251-268.
  51. 정원식(1975). 교육 환경론. 서울: 교육출판사
  52. 조경미(2009). 영재아 어머니의 놀이성과 양육행동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수진(2002). 어머니의 유아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최은경(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및 정서지능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하미현(2010). 유아의 놀이에 대한 부모의 신념과 만5세 유아의 놀이성 및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한종혜(1980). 부모의 인성 및 양육태도와 취학전 아동의 지능발달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홍정민(2008). 어머니의 양육 및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홍정유(2007).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황윤세, 최미숙(2007). 기질과 사회적 유능감이 유아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모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12(2), 49-66.
  60. Aguilar, T. E.(1985). Social and environmental barriers to playfulness. In J. L. Fost & S. Sunderlin(Eds.), When children play(pp.73-76). Wheaton: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International.
  61. Barnet, L. A.(1990). Playfulness :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 319-336.
  62. Barnet, L. A.(1991). The playful child :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Play & Culture, 4, 51-74.
  63. Baumrind, D.(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s, 1, 1-103.
  64. Becker, W. C.(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 L. W. Hoffman(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pp. 169-208).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65. Belsky, J.(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86. https://doi.org/10.2307/1129836
  66. Block, J.(1955).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fathers' attitudes toward child rearing. Child Development, 26, 41-48.
  67. Brenner, V., & Fox, R. A.(1998). Parental discipline and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9, 251-256. https://doi.org/10.1080/00221329809596149
  68. Erikson, E. H.(1972). Play and civilization. In J. S. Bruner, A. Jolly, & K. Sylva(Eds.). Play: It's role in development and evolution (pp. 690-703). New York: Basic Books.
  69. Erikson, E. H.(1977). Toys and reasons. N.Y.: Norton.
  70. Fisbein, M.(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ssachusetts: Addison-Wesley.
  71. Fogel, L.(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72. Fogel, L., & Mendez, J.(2006).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frican 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ly, 21, 507-518.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8.002
  73. Glynn, M. A., & Webster, J.(1992). The adult playfulness scale: An initial assessment. Psychological Reports, 71, 83-103. https://doi.org/10.2466/pr0.1992.71.1.83
  74. Goodnow, J. J.(1988). Parents idea, action, and feelings: Models methods from develop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hild Development, 59, 286-320. https://doi.org/10.2307/1130312
  75. Johnson, J. E., & Martin, C.(1985). Parents beliefs and home learning environments: Effects on cognitive development.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pp.25-5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6. Landry, S. H., Smith, K. E., Swank, P. R., & Miller- Loncar, C. L.(2000). Early maternal and child influences on children's later independent cognitive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1(2), 358-375. https://doi.org/10.1111/1467-8624.00150
  77. Lieberman, J. N.(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 219-224. https://doi.org/10.1080/00221325.1965.10533661
  78. McGillicuddy-De Lisi, A. V.(1985).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cognitive level.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pp.7- 24).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9. Pettit, G. S., Bates, J. E., & Dodge, K. A.(1997). Supportive parenting, ecological context, and children's adjustment : A seven-year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ment, 68, 908-923.
  80. Petti, G. S., Dodge, K. A., & Brown, M. M.(1988). Early family experience, social problem-solving patter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9, 107-120. https://doi.org/10.2307/1130393
  81. Schaefer, C., & Greenberg, R.(1997). Measurement of playfulness: A neglected therapist vari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2(6), 21-31.
  82. Schaefer, E. S.(1959). Development of natur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he Journal of a Genetic Psychology, 95, 83-104. https://doi.org/10.1080/00221325.1959.10534247
  83. Sigel, I. E.(1985). A conceptual analysis of beliefs. In I. E. Sigel(Ed.)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pp.345- 37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4. Sigel, I. E.(1992). The belief-behavior connection: A resolvable dilemma. In I. E. Sigel. A. V. McGillicuddy-De Lisi, & Goodnow J. J.(Eds.). Parental Belief Systems: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2nd ed.), (pp.433-456).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5. Symonds, P.(1949).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N.Y.: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