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성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Their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Adaption to Korean School Life

  • 오경화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Oh, Kyung-Wha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투고 : 2011.08.19
  • 심사 : 2011.10.07
  • 발행 : 2011.11.30

초록

The effect of an adolescent's being in a multicultural family, including the psychological, cultur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this experience, in terms of how it impacts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social competence, and educational adaptation was investigated. 120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ho were enrolled in Seouland Gyeonggi-do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PASW Statistics v18 program.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ultur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family's general economic level and their mother's occupation and nationality. Secondly,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ith higher self-perception, good accommodation of crosscultural attitudes in Korean culture and more relationships with Koreans tended to adapt to Korean culture more easily. Thirdly,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who adapted to Korean culture more easily could also adapt to school life well, and those who had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ore advanced problem-solving skills had better relationships with school frie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희(2006).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사회적 능력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영복(1977). 현대사회심리학. 서울: 법문사.
  3. 고인숙(2004).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금명자, 이영선, 김수리, 손재환, 이현숙(2006). 다문화가정청소년(혼혈청소년)연구"사회적응 실태조사 및 고정관념 조사". 국가청소년위원회. 한국청소년상원. GOVP1200712293.
  5. 김미진(2010). 아동의 다문화수용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승미(1998).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원(2006). 국내 몽골 출신 외국인 근로자 자녀의 학교교육 실태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3), 95-129.
  8. 김희배(2007). 중학생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충래, 홍진주(200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서울 경기 지역 몽골출신 이주노종자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2, 127-159.
  10. 모선희, 이인희, 이선행, 김성운(2008).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과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기획연구 02.
  11. 민무숙, 안상수, 김이선, 김금미, 조영기, 류정아(2010). 한국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개발. 서울: 사회통합위원회
  12. 박경희(2008).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성미옥(2003).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승해경(2008). 경상남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 및 방과 후생활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계민(2009). 한민족정쳬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 연구, 20(4),387-421.
  16. 양계민, 정진경, 강혜원(2008). 사회통합을 위한 청소년 다문화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08-R07.
  17. 양민철(1995).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적간의 관계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성배(2005). 코시아(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19. 오혜경(1999). WBI에서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정답제공형과 관련정보제공형의 비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윤희(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간의 관계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인진(2008).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한국사회학, 42(2), 72-103.
  22. 윤인지, 송영호(2011).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다문화 수용성. 통일문제연구, 55, 143-192.
  23. 이원령, 이순복(2008). 영재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능력및 학교샹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1), 169-189.
  24.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2006-이슈-3> 연구용역과제최종보고서.
  25. 조혜영, 이창호, 권순희, 서덕희, 이은하(2007). 다문화 가족자녀의 학교생활 실태와 교사, 학생 수용성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7-17-05.
  26. 주현정(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천미숙(2003).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의관계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초기훤(2010). 인터넷과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문학석사학위논문.
  29. 최선휘(2010).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인.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진승, 박금옥, 박경옥(1997), 청소년의 사회적 능력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10(2), 95-126.
  31. 황정미, 김이선, 이명진, 최현, 이동주(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2. 홍세희, 박언하, 홍혜영(2006).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자아개념 변화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재인차에 대한 부모효과와 또래검증. 한국 청소년 연구, 17(2), 241-263.
  33. Achenbach, T. M.(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 - 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34. Ford, M. E.(1982). Social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ology, 18, 323-340. https://doi.org/10.1037/0012-1649.18.3.323
  35. Gottman, J., Gonso, J., & Rasmussen, B.(1975). Social interactio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46, 709-718. https://doi.org/10.2307/1128569
  36. Gresham, F. M.(1984). Social skills and self - efficacy for exceptional children ; A refocusing of the main streaming process. Exceptional children, 51, 253-261.
  37. Hainmueller, J., & Hiscox, M. J.(2007). Educated Preferences: Explaining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in Europe. International Organization, 61(2), 399-449.
  38. Petit, G. S., Dofge, K. A., & Brown, M. M.(1988). Early experience, social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8, 324-340.
  39. Phinney, J. S.(1998). Ethnic identity in adolescents and adults: Review of research. In P. B. Organista, K. M. Chun, & G. Marin (Eds.). New York: Routledge.
  40. Sue, D., Mak, W. S., & Sue, D. W.(1998). Ethnic identity. In L. E. Lee & N. Zane (Eds.), Handbook of Asian American psycholog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41. Wentzel(1991).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arly adolescence. Psychological Review, 66, 297-333.

피인용 문헌

  1. Time spent on the Internet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vol.37, pp.1, 2017, https://doi.org/10.1080/02188791.2016.1169994
  2.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the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vol.51, pp.3, 2013, https://doi.org/10.6115/fer.2013.51.3.333
  3. The Influences of Conflict with Parents,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vol.31, pp.2,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2.077
  4. Impact of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Life Adaption in Children vol.14, pp.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321
  5. Exploring Social Service Providers’ Perspectives on Barriers to Social Services for Early Adjustment of Immigrant Adolescents in South Korea vol.18, pp.5, 2016, https://doi.org/10.1007/s10903-016-0406-2
  6. 만화 독서 프로그램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과 문화 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vol.30, pp.1, 2011, https://doi.org/10.14699/kbiblia.2019.3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