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linical Study about the Effect of Gyejigajakyak-Tang on a Peritonsillar Abscess Patient

계지가작약탕(桂枝加芍藥湯)으로 치료된 편도 주위 농양 치험 1례

  • 백상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주현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양현주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 조은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 ;
  • 박민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안이비인후피부과)
  • Received : 2011.11.05
  • Accepted : 2011.12.09
  • Published : 2011.12.25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 : Peritonsillar abscess occurs when the bacterial infection of the palatine tonsil spreads to the potential peritonsillar space deep behind the tonsil. We observed and treated a case of peritonsillar abscess patient from a child acute tonsillitis. We present this case because there were no former reports of peritonsillar abscess treated by herbal medicine. Methods : We used herbal medication for 24 days. We diagnosed the patient through abdominal examination and have decided the treatment principle accordingly. We used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Results : After the treatment the grade of VAS was decreased and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Conclusions : Gejigajagyak-Tang in considerably effective on the treatment of pus of peritonsillar abscess.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이비인후과학회 편. 이비인후과학. 서울:일조각. 2005:456.
  2. 남상열, 박범정, 김형종, 이관섭. 편도 주위 농양에서 경부 초음파의 임상적 유용성.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2008;51(12):1134-9
  3. 盧石善. 원색안이비인후과학. 대전:주민출판사. 2003:702, 747-9.
  4. 金賢濟 外. 韓醫學辭典. 서울:成輔社. 1988:576-7.
  5. 朱丹溪. 丹溪心法. 臺北:五州出版社. 1973:489-502.
  6. 白萬基. 最新耳鼻咽喉科學. 서울:一潮閣. 1992:295, 297, 308-11, 31, 342-3.
  7. 이영규, 채병윤. 소아에서의 구개편도 비대와 상악동염, 아데노이드비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외관과학회지. 1996;7(1):173-8.
  8. 김춘동, 변성완. 소아에서 구개 및 인두편도 절제술 후 체중 변화. 이화의대지. 2001;24(1):11-4.
  9. 한정미, 이은경, 김재윤, 고재욱, 안동희. 소아편도 절제술의 현황에 대하여.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1996;6(2):160-71.
  10. Holt GR, Tinsley PP. Peritonsillar abscess in children. Laryngoscope. 1981;91(8):1226-30.
  11. 안희영. 임상간호 이비인후과학. 서울:진수출판사. 1993:79-80, 83-5, 91.
  12. 許浚. 東醫寶鑑. 서울:南山堂. 1979:252-9.
  13. 崔容泰 외. 鍼灸學(下). 서울:集文堂. 1991:1229-31.
  14. 周命新. 醫門寶鑑. 서울:大星文化史. 1990:217-20.
  15. 吉益東洞. 藥徵. 서울:청흥출판사. 2006:56, 127, 153, 169.
  16. 노영범, 노의준. 圖解類聚方. 복치의학회출판국. 2010:38-40, 43, 77, 558-9, 846-7.
  17. 胡洋吉 編. 神農本草經備要. 台南:文笙書局. 1985:169.
  18. 朴相菜, 金東熙, 金聖勳. 金櫃要略 중 桔梗이 使用된 處方에 對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9;8(1):163-76.
  19. 한방약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방약리학. 서울:신일북스. 2010:694-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