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on Muscle Activity and Pain Reception of Upper Limbs Muscles

봉약침이 상지부 근육의 활성 및 통증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 Lim, Gwang-Mook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 Kim, Jeong-Hwan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 Hwang, Eui-Hyoung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ook, Tae-Ha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 Ko, Youn-Seok (Dept.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o-Suk university)
  • 임광묵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김정환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황의형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 육태한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고연석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Received : 2011.06.10
  • Accepted : 2011.07.13
  • Published : 2011.07.30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s of the bee venom pharmacopuncture on muscle activity and pain reception of trapezius and deltoid the upper limbs muscles. Methods : We allocated healthy volunteers into two groups. After having exercise with barbell for load to trapezius and deltoid, we measured sEMG(surface electromyography) and VAS(visual analogue scale). In a moment, inject bee venom pharmacopuncture and saline each group. After 30 minutes, we measured sEMG and VAS again. We compared before and after sEMG and VAS data. Results : On sEMG data, bee venom pharmacopuncture had effects on muscle fatigue on left trapezius, muscle fatigue and fatigue and recovery on right trapezius and both deltoid. On VAS data, values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decreased more than that of salin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that bee venom pharmacopuncture have effects on muscle activity aid pain reception of trapezius and deltoid the upper limbs muscle. But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verify the exact effects of bee venom.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우석대학교

References

  1. 정희원. 운동학 총설. 서울:도서출판 목과 토. 2002:16-31.
  2. 서만욱, 김영현. 근수축성 두통에서의 상대휴지 근전도치의 진단적 의의. 전북의대논문집. 1993;17(2):209-17.
  3. Moffroid MT. Endurance of trunk muscles in persons with chronic low bacle pain: assessment, performance, training. J Rehabil Res Dev. 1997;34(4):440-7.
  4. 권기록. 봉침에 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4;11(1):159-71.
  5. 박기범, 신경호, 송계화, 조진형. 교통사고로 유발된 경항통의 봉약침 시술의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005;11(2):49-56.
  6. 권순정, 송호섭. 경항통에 봉약침요법이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4):75-84.
  7. 김경태, 송호섭. 무작위 대조 이중맹검 시험을 통한 봉약침의 경항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22(4):189-95.
  8. 강영화, 김효은, 조명제, 김태우, 윤기봉, 김은영.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의 봉약침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19(6):67-79.
  9. SENIAM group. Welcome to Seniam. 2010 Nov 28. Avaliable from : URL:http://www.seniam.org/.
  10.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 서울:군자출판사. 2003:104.
  11. 대한약침학회 학술위원회. 약침학. 서울:엘스비어코리아. 2008:39.
  12. 김문호. 봉독요법과 보침요법. 서울:한국교육기획. 1992:20-37.
  13. 이승훈, 이봉효, 이경민, 조현연, 김영옥, 방재선, 서정철, 한상원. 봉약침액이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2;19(5):57-72.
  14. 김희준, 김정연.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레인보우 요법 시술전후의 표면근전도 변화 연구. 한방재활의학회지. 2004;14(4):11-21.
  15. 조재흥, 이종수, 김성수. 경근전도 검사의 임상 활용에 관한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5;15(4):89-104.
  16. Kenneth WL, Lan B. 이광우 편저. 임상신경학. 4판. 서울:e-public. 2006:80-5.
  17. 廣涎, 和偐. 근전도 검사학. 서울:고려의학. 2007:15-27.
  18. 권호영, 김정환. 정신적 스트레스가 경항부 근육에 미치는 영향. 한방재활의학회지. 2010;20(1):119-32.
  19. 김민범, 류지미, 김성수. 한국 남자 성인의 스트레스와 승모근, 흉쇄유돌근 경근전도의 상관성 분석.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2007;2(2):141-50.
  20. 왕문성. 표면 근전도 신호 해석에 의한 내부 근육 근전도 신호의 추정. 제어자동화시스템공학회지. 1986;370:641-2.
  21. Umezu Y, Kawazu T, Tajima F et al. Spectral electromyographic fatigue analysis of back muscles in healthy adult women with men. Arch Phys Med Rehabil. 1998;79:536-8. https://doi.org/10.1016/S0003-9993(98)90069-7
  22. 김정룡, 정명철. 근전도의 정량적 분석시 사용되는 수리적 파라미터의 민감도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1999;25(3):330-5.
  23. 안재용, 한정수, 민기식. 근전도를 이용한 근피로도의 측정. 대한정형외과학회지. 1998;33(4):1184-92.
  24. Ng JK-F, Richardson CA. Reliability of electromyographic power spectral analysis of back muscle endurance in healthy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1996;77:259-64. https://doi.org/10.1016/S0003-9993(96)90108-2
  25. Roy SH, Bonato P, Knaflitz M, EMG assessment of back muscle function during cyclical lifting. J. Electromyogr Kinesiol. 1998;8(4):233-45. https://doi.org/10.1016/S1050-6411(98)00010-8
  26.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 경기:집문당. 2008:235-6.
  27. 양유걸, 주현욱 역편. 동씨기혈침구학강좌. 경기:대성의학사. 2003:220-1.
  28. 최무환. 동씨침구학. 서울:일중사. 2003:78-9.
  29. 김민범, 이종수, 김성수. 중풍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통증에 대한 경근전도 분석.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3):103-10.
  30. 설현, 송범룡, 신민섭, 육태한. 중성어혈약침 복합치료가 교통사고로 인한 경추 편타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2005;8(1):59-65.
  31. 장소영, 차정호, 정기훈, 이태호, 황희상, 유정석, 이은용, 노정두. 편타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약침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7;24(4):35-41.
  32. 김효은, 강영화, 조명제, 김태우, 김은영, 나창수.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의 홍화 약침 치료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2;19(4):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