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icul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 구성요소

  • 양승경 (대구산업정보대학 치위생과)
  • Received : 2011.07.20
  • Accepted : 2011.10.21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and to explore what improvements should be done for each of the influential curriculum components to boost the belief and attitude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34 dental hygiene students, 76 dental hygiene professors, and 285 dental hygienist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by mail and by e-mail from April 10 to June 12, 2009. The collected data from 1,295 respondents were analyzed. First, overall dental hygiene professionalism was predicted by intellectual development, vocational education, socio-culturalization, ethics and creativity, which were educational objectives of curriculum, and that didn't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selfactualization. Second, overall dental hygienist professionalism was predicted by learning interest, learning possibility and the significance of subjects, which were selection criteria of teaching content, and that wasn't closely linked to the validity of subjects and social significance. Third, overall dental hygienist professionalism was predicted by continuity and integrity, which were organizing principles of teaching content, and that didn't have a strong relationship to sequence. Fourth, overall dental hygienist professionalism was predicted by the content of school evaluation and school evaluation criteria, which were evaluation elements of curriculum, and that wasn't closely linked to the method of school evaluation, the content of the national exam, the criteria of the national exam and the method of the national exam.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과정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추후 교육과정 구성요소별로 치과위생사의 신념과 태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구체적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의의를 둔다. 본 조사는 2009년 4월 10일부터 2009년 6월 12일까지 직 간접 방문 및 우편, E-mail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치위생(학)과 학생 934부, 치위생(학)과 교수 76부, 치과위생사 285부로 총 1,295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해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적 요소는 대인관계술과 자기계발을 위한 측면을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과정 운영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2.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과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은 학습자가 치과위생사로서의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강한 욕구가 형성되도록 학습자의 학습필요나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선정하고, 이와 함께 교과적 중요성과 사회적 타당성 준거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3.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 향상을 위해 현행 교육과정 속에서 계열성의 원리는 관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각 교과의 특성과 채택하는 교수 방법을 학생의 학습경험 속에서 보장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져야 할 요소이다. 4. 치과위생사 전문직업성과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육평가 요소에 있어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은 치과위생사의 여러 측면을 평가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져야 할 필요성을 보였으며, 국가시험과 함께 현행 치과위생사 양성 교육과정의 학교평가가 강화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학교평가에서 평가의 내용과 평가의 방법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상근 등: 보건의료산업의 직업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 권현숙: 치위생사 양성기관의 역할중심 교육과정의 모형개발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경남, 1999.
  3. 조영식: 치과위생사의 수행능력기반 교육과정 개발.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10: 409-447, 2004.
  4. 박정란: 전문대학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과 및 임상실습에 대한 태도[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대구, 1991.
  5. 장계원: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 내용 및 활동 분석[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대학원, 경남, 2005.
  6. 장종화: 성취동기와 임상실습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서울, 2000.
  7. 김영남: 치위생과 학생이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경복대학논문집 4: 373-391, 2000.
  8. 이춘선: 치위생과 학생의 실습여건 및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0(1): 93-100, 2002.
  9. 양정승: 치위생과학생의 지역사회 구강진료기관의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3): 205-217, 2000.
  10. 강부월: 임상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인과요인에 관한 연구. 동남보건대학논문집 21(1): 115-121, 2003.
  11. 이철우: 치과의사의 직업의식과 직무환경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1997.
  12. 장희정, 성명숙, 주영희: 임상간호사의 자율성과 전문직자아개념. 기본간호학회지 5(2): 324, 1998.
  13. 박종우: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4.
  14. 안덕선 등: 국가시험 국제화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05.
  15. Hall RH: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Am Social Rev 33(1): 92-104, 1968. https://doi.org/10.2307/2092242
  16. 김기헌: 전문직종사자의 전문직업성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5.
  17. 박도순, 홍후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서울, pp. 25-38, 2008.
  18. 조영식: 학사치과위생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비교연구. 치위생과학회지 5(4): 251-258, 2005.
  19. Sirotnik KA: What goes on in classroom? Is this the way we want it?. In: Beyer LE, Apple MW: The Curriculum. 2ne ed. SUNY Press, New York, pp. 58-76, 1998.
  20. Tyler R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 of Chicago Press, 1949.
  21. Taba H: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Harcourt Brace and Jovanovich, New York, pp. 172, 1962.
  22. Phenix PH: The disciplines as curriculum content. In: Harry Passow A. Curriculum Crossroads. Teachers Colleges Press, pp. 57-71, 1962.
  23. Zais RS: Curriculum: principle and foundation. Thomas Y. Crowell, 1976.
  24. Ornstein AC, Hunkins FP: Curriculum: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1988.
  25. 이성호: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학지사, 서울, pp. 371-384, 2004.
  26. Bigge ML: Learning theories for Teachers. 3D ed. Harper and Row, Publishers, New York, pp. 216, 1976.
  27. Combs AW: Behaviorism and Humaism: Asynthesis. Educational Leadership Oct, Washington D.C., pp. 52-63, 1977.
  28. 김응권 등: 치위생학의 교육표준화 및 발전 방향. 서울: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대한치위생과 교수협의회 공동연구과제, 2005.
  29. 이성호: 교육과정론. 양서원, 서울, pp. 232-237, 2009.
  30. 한경순: 치위생과 학생의 직업의식에 관한 연구. 가천길대학논문집 29: 477-489, 2001.
  31. 이종성: 직업교육과정의 종합적 고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서울, pp. 260-269, 2005.
  32. 손충기: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태영출판사, 서울, pp. 185, 2006.
  33. 김숙향: 치위생사 역할중심 치위생학과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8.
  34. 소경희: 교육과정 개발:주요 쟁점 및 새로운 접근. 교육과학사, 서울, pp. 50, 2005.
  35. 박일순: 치위생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연구[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
  36. 양승경: 치위생교육과정의 실무 타당성 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