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Merging Method of SSTs Using Multi-satellite Data

다종 위성 자료를 활용한 해수면온도(SST) 합성기법 개발 연구

  • Oh, Eun-Kyung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Yang, Chan-Su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오은경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 양찬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
  • Received : 2011.07.21
  • Accepted : 2011.09.22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s a technique to merge three different sea surface temperature(SST) data obtained from multi-satellite sensors. NGSST algorithm, the most popular method of related society, estimates a center pixel of target SST using temporal and spatial correlations, excluding SST accuracies according to sensing methods or properties of satellites. We suggest a merging method of SST to consider the accuracy by satellite or sensor with a comparison with NGSST method. The data used for a merged daily SST with spatial resolution of 5 km was applied from three different satellite sensors such as MODIS, AVHRR and AMSR-E from April 2 to 4, 2011 around the southern coast of Korea. Results of the comparisons showed that the new method is higher than the NGSST method and its STDEV represents a comparatively low value. In future we are planning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sets during the daytime as well as nighttime over total cycle of the day.

본 연구는 다종 위성 자료를 활용한 해수면온도 합성 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NGSST 알고리듬은 위성에 따른 정확도를 고려하지 않고 시 공간 상관도만을 계산하여 해당 픽셀의 값을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센서별로 가지고 있는 정확도를 추가로 고려한 해수면온도 합성기법을 제안하고 기존 알고리듬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합성장을 산출하는데 사용된 센서는 적외 센서인 MODIS, AVHRR 그리고 마이크로파 센서인 AMSR-E를 사용하였고, 2011년 4월 4일을 기준으로 5 km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일일 해수면 온도 합성장을 비교하였다. 부이와의 비교 결과, 기존 방법(NGSST Method)과 제안 방법(New Method)에 의한 표준편차는 각각 $0.15^{\circ}C$$0.12^{\circ}C$이었다. 또한 기존 방법보다 제안 방법에 의한 해수면온도 값은 연안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역에서 다소 높게 산출이 되었다. 현 단계에서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해수면온도 합성기법에 대한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기상연구소(2009), 고해상도 위성산출물 생산 및 대기 환경정보 산출 기반기술 연구,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1), p. 26.
  2. Emery, W. J., S. Castro, G. A. Wich, P. Sschluessel and C. Donion(2001),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infrared satellite and in situ temperature data, Bull. Amer. Meteo. Soc., 82, pp. 2773-2785. https://doi.org/10.1175/1520-0477(2001)082<2773:ESSTFI>2.3.CO;2
  3. Guan, L. and H. Kawamura(2004), Merging satellite infrared and microwave SSTs-Methodology and evaluation of the new SST. J. Oceanogr., 60, pp.905-912. https://doi.org/10.1007/s10872-005-5782-5
  4. Kelly, K. A. and M. J. Caruso(1990), A modified objective mapping technique for scatterometer wind data. J. Geophys. Res., 95, pp. 13483-13496. https://doi.org/10.1029/JC095iC08p13483
  5. Le Traon, P. Y., F. Nadal and N. Ducet(1998), An improved mapping method of multisatellite altimeter data. J. Atmos. Oceanic. Technol., 15, pp. 522-534. https://doi.org/10.1175/1520-0426(1998)015<0522:AIMMOM>2.0.CO;2
  6. Lee, Y. H. and M. H. Ahn(2001), The impact of high resolution SST on the performance of temperature prediction in a shortage prediction, J. Kor. Meteo. Soc., 37, pp. 607-619.
  7. Sakaida, F., H. Kawamura, S. Takahashi, T. Shimada, Y. Kawai, K. Hosoda, and L. Guan(2009),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NewGener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for Open Ocean(NGSST-O) product and its demonstration operation. J. Oceanogr., 65, pp. 859−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