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se Study and Development of Quest-Based Learning Using QR Code

QR코드를 활용한 퀘스트 기반학습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 Park, Hyung-Sung (Dept. of Educationa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박형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11.08.22
  • Accepted : 2011.10.04
  • Published : 2011.10.2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meaning for quest-based learning designed as one of learning methods with new media, which the contents were made of QR code based on smart-phon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8 times of class during one month with 32 elementary third graders. And analysis for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MANOVA focus on four sub-factor of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 for quest-based learning in attention and confidence factor on motivation. Quest-based learning of gaming version as a learning method using various media can use a learning method for facilitation of learner participation, supporting of learning by doing.

본 연구는 스마트폰으로 인식이 가능한 QR코드를 이용한 퀘스트 기반학습을 적용하여 교육 현장에서 학습방법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퀘스트 기반학습의 적용은 초등학교 3학년 32명을 대상으로 1개월간 총 8차시에 걸쳐 적용되었다. 학습활동 후 학습동기의 네 가지 하위요인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퀘스트 기반학습은 동기하위요인 중 주의집중과 자신감 요인의 동기를 촉진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게임형태의 퀘스트 기반학습은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학습방법으로 교육현장에서 학습자 참여를 촉진하고, 활동중심의 경험학습을 위한 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설연경, "온라인 학습환경으로서 가상 박물관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권, 4호, pp.458-47, 2010.
  2. J. Jenson & C, Rose, "Finding space for technology: pedagogical observations on the organization of computers in school environments," Canadian Journal of Learning & Technology, Vol.32, No.1, pp.32-45, 2006.
  3. 한세영, 성정환, "게임의 가상문화생산-머시니마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논문지, 10권, 1호, pp. 93-104, 2010.
  4. 박면진, 박창범, 백두원, 김규정, "엔터테인먼트 공간에서 몰입감 증대를 위한 아바타 기반 게임 시스템 설계", 한국게임학회논문지, 10권, 1호, pp.25-34, 2010.
  5. Raph Koster, "A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 Paraglyph Press, 2004
  6. Nwana, Hyacinth S., "Software agents: An overview", Knowledge Engineering Review, Vol. 11, No. 3, Cambridge Univ. Press, 1996
  7. Jonassen, D. H., "Toward a design theory of problem solv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48, No.4, pp.63-85, 1997.
  8. 최정임, 장경원,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2010.
  9. Bergson, H., "Matiere et memoire", 1896, 박종원(역),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10. 스캐니사, http://www.scany.net/kr
  11. 위키피디아, http://ko.wikipedia.org/wiki
  12. 백영균, "게임기반학습의 이해와 적용", 서울:교육과학사, 2006.
  13. Killi, K., "Digital game-based learning: towards an experiential gaming model", The In 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8, pp.13-24, 2005 https://doi.org/10.1016/j.iheduc.2004.12.001
  14. Salen, K., & Zimmerman, E.,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Cambridge, MA: MIT press, 2004.
  15. Bos, N., "What do game designers know about scaffolding? Borrowing Simcity design principle for education", 2005.
  16. 박형성, 김영배, 박성덕, "유비쿼터스 학습 자원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모바일 장치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권, 1호, pp.185-211, 2006.
  17. 박형성, 백영균, "모바일 학습을 위한 게임형컨텐츠 설계 방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1권, 2호, pp.167-176, 2007.
  18. Keller, J. M., & 송상호, "매력적인 수업설계", 서울: 교육과학사, 1999.
  19. 정인성, "원격교육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