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siting the Definitions and the Textbook Descriptions of Dissolution, Diffusion and Effusion

용해, 확산, 분출의 정의와 교과서 서술에 대한 재고찰

  • Received : 2011.08.10
  • Accepted : 2011.10.10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many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distinguishing the phenomena of dissolution and diffusion, as well as the phenomena of diffusion and effusion. In this study, currently accepted term definitions of dissolution, diffusion and effusion were searched from the IUPAC Gold Book and the physical chemistry textbooks, and the points to differentiate the definitions were sought. Also, the term definitions of these three phenomena in the secondary school text books and the college general chemistry textbooks were surveyed and compared to the currently accepted definitions. It was found that dissolution is formation of one new phase from mixing two phases, while diffusion is the migration of matter down from the concentration gradient. The "concentration gradient" is considered to be a key point to distinguish diffusion from the dissolution. However, the concentration gradient was not mentioned in the definitions of diffusion in most of the secondary school textbooks and the college general chemistry textbooks. Effusion is differentiated from diffusion by the gas molecules escaping from the container through a tiny hole without collision. The definition of effusion was not found in most of the secondary school textbooks.

선행연구에 의하면 많은 중 고등학교 학생들과 교사들이 용해와 확산, 확산과 분출을 잘 구분하지 못한다고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용어들의 정의로부터 각 개념들을 서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과학자들이 합의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용어의 정의를 IUPAC의 Gold Book과 대학 물리화학 교재로부터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그리고 현행 중 고등학교 교과서 및 대학 일반화학 교재에 서술된 정의를 조사하여 학생들과 교사들이 혼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용해는 두 상이 혼합되어 하나의 상이 되는 것임에 비해 확산은 농도 차를 없애는 방향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것이므로 서로 구분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교과서와 대학 일반화학 교재에서도 대부분 확산을 농도 차에 의한 것으로 명확하게 서술하지 않았는데 이 1022 박종윤를 강조해서 서술할 필요가 있다. 분출은 용기 벽면의 아주 작은 구멍을 통해 기체 입자가 충돌 없이 빠져나가는 것이므로 기체 확산과 분명히 구분되지만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분출의 정의를 제시한 교과서는 거의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훈, 백성혜, 박국태 (2004). 용해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유형 및 교사들의 지도 실태. 대한화학회지, 48(4), 399-413.
  2. 고영환, 강대훈, 류오현, 백성혜 (2002). 화학과 생물 교과서에서 삼투압과 반투막 개념에 관한 설명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44-454.
  3. 구선아, 채희권 (2008). 7학년 교과서의 확산현상 기술에 대한 분석과 과학교사들의 확산개념에 대한 이해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383-394.
  4. 김문수, 정영란 (1997). 확산과 삼투 개념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오개념의 원인으로서의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91-200.
  5. 김영채, 성숙경, 정대홍 (2011). HCl(g)과 $NH_3$(g)를 이용한'기체 확산 속도'에 관한 실험의 분석 및 개선 연구-고등학교 화학 II 단원에서- 현장과학교육, 5(1), 27-34.
  6. 김주현, 이동준, 김선경, 강성주, 백성혜 (2000). 입자론의 관점에서 본 확산과 용해 개념에 관련된 과학 교과서 및 인터넷 자료 분석과 컴퓨터 수업 보조자료의 개발. 대한화학회지, 44(6), 611-624.
  7. 노태희, 전경문 (1996). 상변화와 용해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및 논리적 사고력과의 관계. 화학교육, 23(2), 102-112.
  8. 노태희, 전경문, 김혜경 (1996). 물질과 확산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신뢰성 있게 정량화하는 방법. 화학교육, 23(1), 42-50.
  9. 박종윤, 강순희, 최혜영 (1996). 용해에 대한 중학생들의 선개념과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 화학교육, 23(6), 436-450.
  10. 박종윤, 이윤희 (2008). 고체와 기체의 용해에 대한 대학생들의 열역학적 이해 조사. 대한화학회지, 52(2), 186-196.
  11. 백성혜, 류오현, 김동욱, 박국태 (2001). 원소와 원자 개념에 대한 과학 교과서 진술의 문제점 분석.과학 개념의 역사적 변천을 중심으로. 대한화학회지, 45(4), 357-369.
  12. 백성혜, 박영주 (2002). 초등∙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열, 온도 개념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78-489.
  13. 백성혜, 정애경, 고영환 (2004).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증발, 끓음의 설명에 제시된 개념간의 관련 정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29-441.
  14. 성숙경, 백종호, 정대홍 (2010). 분자확산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탐구실험을 통한 예비교사의 개념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80-93.
  15. 신동혁, 이상권, 최병순 (2002).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볼타전지에 대한 문제점 분석. 대한화학회지, 46(4), 363-376.
  16. 한유화, 허영회, 백성혜 (2008). 화학전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학년별 사고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15-23.
  17. 허미연, 백성혜 (2009). 용해와 확산에 관련된 혼합 현상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들의 사고 특성. 대한화학회지, 53(5), 585-608.
  18. 허미연, 전혜숙, 백성혜 (2008). 용해∙확산과 관련된 혼합현상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유형 분석. 대한화학회지, 52(1), 73-83.
  19. alik, M., & Ayas, A. (2005). A comparison of level of understanding of eighth-grade students and science student teachers related to selected chemistry concep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6), 638-667. https://doi.org/10.1002/tea.20076
  20. Hawkes, S. J. (1993). Misuse of Graham's law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0(10), 836-837. https://doi.org/10.1021/ed070p836
  21. Kirk, A. D. (1967). The range of validity of Graham's law.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44(12), 745-750. https://doi.org/10.1021/ed044p745
  22. Levy Nahum, T., Mamlok-Naaman, R., Hofstein, A., & Krajcik, J. (2007). Developing a new teaching approach for the chemical bonding concept aligned with current scientific and pedagogical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1(4), 579-603. https://doi.org/10.1002/sce.20201
  23. Mason, E. A., & Kronstadt, B. (1967). Graham's laws of diffusion and effusio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44(12), 740- 744. https://doi.org/10.1021/ed044p740
  24. Pushkin, D. B. (1997). Scientific terminology and context: How broad or narrow are our meanin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6), 661-66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8)34:6<661::AID-TEA8>3.0.CO;2-L
  25. Sanger, M. J., & Greenbowe, T. J. (1999). An analysis of college chemistry textbooks as sources of misconceptions and errors in electrochemistr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6), 853-860. https://doi.org/10.1021/ed076p853
  26. Schmidt, H.-J., Marohn, A., & Harrison, A. G. (2007). Factors that prevent learning in electro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258-283. https://doi.org/10.1002/tea.20118
  27. Slisco, J., & Dykstra Jr., D. I. (1997). The role of scientific terminology in research and teaching: Is something important miss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6), 655-660.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8)34:6<655::AID-TEA7>3.0.CO;2-M
  28. Wandersee, J. H., Mintzes, J. J., & Novak, J. D. (1994). Research on alternative conceptions in science. In D. L. Gable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177-210). New York: MacMillan.

Cited by

  1. An Analysis of the Descriptions of Chemical Element in Textbooks - Focusing on Differentiating from the Atom - vol.18, pp.4, 2011, https://doi.org/10.24231/rici.2014.18.4.1239
  2. 퍼텐셜 에너지 곡선에 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이해 조사 vol.59, pp.6, 2011, https://doi.org/10.5012/jkcs.2015.59.6.508
  3. A categorisation of the terminological sources of student difficulties when learning chemistry vol.55, pp.2, 2019, https://doi.org/10.1080/03057267.2019.1694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