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and Experimental Production of Single-Phase Full-wave Rectification Type for X-ray Equipment of High Precision

고정밀도의 단상전파정류형 X선 장치의 제작 및 평가

  • Han, Dong-Kyoo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Eulji University) ;
  • Jung, Jae-Eun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SahmYook Medical Center) ;
  • Choi, Jun-Gu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FarEast University) ;
  • Seoun, Youl-Hu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aeWon College University) ;
  • Ko, Shin-Gwa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Eulji University)
  • Received : 2010.11.04
  • Accepted : 2011.01.13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Diagnosis X-ray equipment localized at 1950's but it is developed suddenly at 1960's with demand together. Manufacture of Diagnostic X-ray equipment is controled by the KS regulation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because of hazardous element etc. exposure by radiation. Most of diagnostic X-ray equipment ware single phase and thre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but from 1980's it transforms it was exchanged in inverter type X-ray equipment. Inverter type X-ray equipment produces approximately 50~80% more average photon intensity then singl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and the accuracy is high. But from a clinic it dose not use because expensive therefor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singl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is necessary. We produced singl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X-ray equipment control unit, high tension transformer, filament heating transformer, rectification circuit, high tension cable and others and evaluated efficiency, in result which is excellent compare with Rule of Safety Management and KS regulation.

1950년대 진단용 X선 장치의 국산화가 이루어졌으며, 1960년 초부터 진단용 X선 장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생산업체의 증가로 의료기기 시장의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진단용 X선 장치는 방사선에 대한 인체의 위험 요소인 피폭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건복지가족부가 제조, 설치기준을 제정하고 있으며, 이를 기본으로 하여 KSA 4019, KS A 4021, KS A 4022 등에 의해 정밀한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진단용 X선 발생장치는 단상 전파 정류형과 삼상 전파 정류형이 대부분이나, 1980년대 이후 인버터식 X선 발생장치로 대부분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인버터식 X선 발생장치는 단상 전파정류형 X선 발생장치에 비해 1.5~1.8배의 높은 출력과 단시간 제어가 정확하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개인병원에서는 단상전파정류형 X선 장치를 선호하고 있어 단상 전파정류형 X선 장치의 성능개선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단상 전파정류형 X선 발생장치의 제어장치, 고전압 변압기, 필라멘트 가열변압기, 정류회로, 고압케이블 등 기기의 구성요소를 제작하고 진단용 X선 발생장치의 성능평가를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국내 규정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 규칙에 적합한 기준을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Roman Manny, "Radiology Maintenance-Circle of Quality Assurance", Journal of Clinical Engineering, pp. 413-418, 1993.
  2. http://www.radiology.or.kr/Home
  3. 石川光雄, 神宮司公二, 江川俊幸, "小兒 X線 撮影實態調査", 日本放射線技術學會雜誌, Vol. 50, No7, pp. 806-816, 1994.
  4. 백규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해설, 진단용 방사선 안전관리, 대학서림, pp. 10, 1996.
  5. 이성길, 최성관, "인버터식 X 선발생장치용 고주파 공진형 고압변압기 등의 설계",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5-6, 2001.
  6. 瓜谷富三, 岡部哲夫, "放射線診斷機器工學, 醫齒藥出版株式會社", 1999.
  7. 방사선기기교육연구회, 의료용방사선기기학(I. II), 대학서림, pp. 91. 2006.
  8. 김영일 외, "X선 장치용 절연유의 도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제9권 제1호, pp. 73-74, 1986.
  9. 강세식 외, "진단용 영상장치 정도관리 실험", 청구문화사, pp. 163-169, 2010.
  10. 고신관, 방사선기기학(III), 신광출판사, pp. 117, 2006.
  11. R. Carlton Richard, Principles of Radiographic Imaging-An Art and a Science, 2006.
  12. Solange Maria de Almeida, Ana Emilia Figueiredo de Oliveira, "Image Quality in Digital Radiographic systems" Brai. dent J, 14(2), pp. 136-141, 2003. https://doi.org/10.1590/S0103-64402003000200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