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undamental Study for Design of 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PZT on the Road

도로용 압전발전체 시험모듈 설계를 위한 기초 실험 연구

  • Received : 2011.05.19
  • Accepted : 2011.11.22
  • Published : 2011.12.15

Abstract

Green house gas emissions are increasing as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econom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endeavoring to reduce green house gas emissions under severe climate change. In order to protect grobal warming, government is trying to reduce green gas emissions under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and investing climiate-firendly industries such as renewable energy harvesting. Renewable energy has been rapidly developing as a result of investment for development technology of using natural energy such as solar, wind, tidal, etc. There are lots of waste energy in the road space. However, nobody is not interested in waste energy from the road space. This paper present a fundamentally experimental study of energy harvesting technique to use waste energy in the road. The waste energy in the road is covered a pressure and impact of vehicles on the road, the radiant heat from asphalt pavement, road noise and vibration etc. In this study, an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piezoelectric element is proposed and various tests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a characteristic of this device as function of impact loading based on piezoelectric effect behavior. This paper shows the energy harvesting results of the device using domestic piezoelectirc element as a function of impact load size and pavement types.

국제 사회는 산업경제의 발달과 더불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기후 변화 피해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세계가 노력을 하고 있다.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여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저탄소 녹색성장"의 국가정책 하에서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친환경적인 녹색산업에 많은 관심과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태양력, 풍력, 수력, 조력 등 자연에너지를 활용하는 기술에 투자하면서 관련 핵심 부품 및 소재기술은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반면에, 도로 공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미활용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미흡한 실정인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로 공간에서의 미활용 에너지를 통해 전기를 수확하는 기술에 대한 기초적인 실험방법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도로 공간에서의 미활용 에너지는 다양한 자원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로 주행 차량의 압력 및 충격 에너지, 도로 포장면의 복사열, 도로 소음 및 파동 등이다. 본 논문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전기를 수확하기 위한 압전체 형상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검증하는 몇 가지의 기초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압력을 전기로 변환하는 압전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국내에서 쉽게 생산하는 PZT 세라믹을 이용하여 충격하중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였고, 아스팔트 및 콘트리트 포장 조건에 따른 압전 발전 실험을 실시하여 에너지 수확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원 외2, 압전 발전의 이해, 전기의 세계, 제 58권 12호, pp. 38-41, 2009
  2. 곽문규, 진동 제어 기술-제어 기법 및 응용기술: 압전소자를 이용한 진동 제어 및 응용기술, 한국소음진동공학지 (소음진동), 18권 3호,pp 11-15, 2008
  3. 권수안, 류승기 외6, "에너지 충전형 녹색도로 기술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0.12
  4. 김혁진, 정교범.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수확시스템의 컨버터 토폴로지, p.600-603
  5. 류승기 외 2, "시설물관리에 활용 가능한 USN용 에너지 획득기술 실용화 연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12
  6. 류승기, "도로 공간을 활용한 전력수확기술",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 24권 6호, pp.24-34, 2010
  7. 박종수 외 2,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제 25권 B호, pp.141-147, 2005
  8. 유병곤, MEMS 기술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23권 제6호 , p.48-58, 2008. 12
  9. 윤소남, 김동건,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수확에 관한 연구, 한국동력기계공학지, 제 13권, 제3호, pp65-71, 2009
  10. Lin, Ji-Tzuoh, Barclay Lee and Bruce Alphenaar., The magnetic coupling of a piezoelectric cantilever for enhanced energy harvesting efficiency.,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19, p.1-7, 2010,
  11. Londorf, M., Kvistery, T., Westby, E., and Halvorsen, E. Evaluation of Energy Harvesting Concepts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s,[웹주소:http://cap.ee.imperial.ac.uk/-pdm97/powermems/2007/pdfs/331-334%20Lohndorf,%20M.pdf,2011년7월18일검색], p 331-334
  12. P H de Jong, A de Boer, R Loendersloot, P J M van der Hoogt, Power Harvesting Using Piezomaterial in A Helicopter Rotor Blade, The 17th Internatioal Congress on Sound & Vibration, Cairo 18-22 July, p.1-8 2010,
  13. Roundy, Shad. Energy Harvesting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s: Design Considerations, Proceedings of PowerMEMS 2008+microEMS 2008, Semdai, Japan, November 9-12, p 1-6, 2008.
  14. Qiu, Jinhao and HongIl Ji., The application of Piezoelectric Materials in Smart Structures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 Space Science, Vol. 11, N0 4, p 266-284, 2010 https://doi.org/10.5139/IJASS.2010.11.4.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