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raffic Safety Behavioral Index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초등학교 어린이 교통안전 행동지수 검사도구 개발연구

  • Received : 2011.08.10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2.15

Abstract

Researches on children's traffic behavior have only focused on traffic accidents and the number of accidents, and therefore it's been impossible to deal with more broad field of study. In this research we can review the possibility of traffic accidents of children and provide them with traffic educat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device for measuring possibility of children in terms of traffic behavior. Around 600 elementary students of two schools involved in the pretest with 259 questions and about 3,500 students(junior level 53 questions & senior level 72 questions) involved in practical test. At the result of the research, junior level extracted 4 factors(Lack of behavioral control, Aggressive, Self-regulation, Impulsive Instinct) and 44 questions, and senior level extracted 4 factors(Lack of behavioral control, Depression, Sense-oriented, Aggressive) and 69 questions. We take the gender consideration in separate the groups whether the group has traffic behavioral problem or not. In these series of research, we got the standard score such as junior male student, 63 & female student, 50 and senior male student, 110 & female student, 99.

그동안 어린이 교통안전 관련 자료 및 정책수립은 교통사고 발생 후 교통사고 건수 및 발생현황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개별 어린이의 교통사고 노출 가능성 정도를 미리 진단함으로써 전체 어린이 가운데 위험정도가 높은 어린이들을 분류하여 이들에 대한 교통사고 예방교육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어린이의 교통안전행동을 측정함으로써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 정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예비검사용 문항(259문항)으로 서울시와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2곳을 임의 선정하여 총 60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본검사는 약 3,500명을 대상으로 저학년은 53문항을, 고학년은 72문항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학년용은 4개요인(행동통제부족성향, 공격성향, 자기 조절성향, 충동성향)으로 44문항을 추출하였고, 고학년용은 4개요인(행동통제부족성향, 우울성향, 자극추구성향, 공격성향)으로 69문항을 추출하였다. 교통안전행동에 문제를 지닌 학생과 문제를 가지지 않은 학생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점수 산출시 남녀간 성별 차이를 고려하였다. 이로써 산출된 저학년용의 남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63점, 여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50점이다. 그리고 고학년용 남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110점, 여자 어린이 기준점수는 99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2010), 교통사고통계
  2. 김수미(2000), 아동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또래 수용도,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3. 양성영(1999), 부모의 운전행동이 어린이 교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 석사학위논문
  4. 이영숙(2005), 집단치료놀이가 일반 초등학교 학생들의 심리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성 및 자기존중감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1997),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6. 이혜련, 오경자, 홍강의, 하은혜(1991), 문항분석을 통한 한국판 CBCL의 임상유용도 검증, 소아청소년정신의학2(1), 138-149
  7. 정원식(1981), 교육심리학, 서울 : 재동문화사
  8. 최완석(1997), 우리나라 어린이 교통사고의 특성 및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연구, 9, 263-280
  9. 황혜정(1997),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한 아동행동목록표(CBQ)의 사용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1, 91-113
  10. 황혜정, 강성빈, 윤명희(2001), 초등학생용 문제행동 진단검사의 개발연구, 초등교육연구, 14(3), 369-389
  11. Case, R.(1984), The process of stage transition : A neo-Piagetian view. In R. J. Sternberg(Ed.). Mechanism of cognitive Development. New York; W. H. Freeman.
  12. Christie, N.(1995), The high risk child pedestrian :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ir accidents. Project Report 117. Crowthorne : Transport Research Laboratory
  13. Junger, M.(1994), Accidents and crime. In Hirschi, T. and Gottfredson, M.(Eds). The Generality of Deviance.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1994
  14. Manheimer, D. I. & Mellinger, G. D.(1967),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hild Accidents Repeater. Child Development, 38, 491-513 https://doi.org/10.2307/1127305
  15. Olweus, D.(1978), Aggression in schools : Bullies and whipping boys. Washington, D.C. : Hemisphere Press(Wiley).
  16. Rubin, K. H., Bream, L. A. & Rose-Krasnor, L.(1991), Social Problem solving and aggression in childhood. In D. J. Peler & K. H. Rubin(Eds.),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pp. 219-248). Hillsdale, NJ; Erlbaum.
  17. Rutter, M.(1967), A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 for completion by teach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8, 1-11. https://doi.org/10.1111/j.1469-7610.1967.tb02175.x
  18. Rutter, M., Tizard, J., Whitmore, K.(1972), Education, Health and Behavior, London : Longmans
  19. Shaffer, D. R.(1994),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Brooks/Cole P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