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Analysis on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and TOD Design Factors in Seoul subway adjacent area

서울시 역세권의 TOD환경과 대중교통이용수요 관계분석

  • 문영일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Received : 2011.08.24
  • Accepted : 2011.10.18
  • Published : 2011.12.15

Abstract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has recently been active, which presents that TOD planning elements should be comprehensive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enhance domestic transit ridership by changing environments in rail station areas an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type of rail station areas and transportation demand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usage of future development planning. This study aims to grasp a variety of TOD of influence factors in Seoul rail station area and to perform analysi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and these TOD design factors. To make it come true, we gathered data with respect to Density, Diversity, and Accessibility as representative TOD planning elements and carried out factorial and regression analysis. Consequently, we drew 7 influence factors base on factorial analysis: Factor 1(Diversity/ -Use Mix(LUM)), Factor 2(Density/development density), Factor 3(Accessibility/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supply), Factor 4(Design/street design), Factor 5(Green/access mode (pedestrian, bike), Factor 6(Design/subway size), Factor 7(Accessibility/Public transit operation) As the result of model development by using factorial and regression analysis, positive influence factors on passenger flow in rail station area are Factor 1(Diversity : Land-Use Mix), Factor 3(Accessibility :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y supply), Factor 2(Density : development density), Factor 5(Design/ access mode) and Factor 6(subway size) Next, negative influence factor on passenger flow in rail station area shows Factor 7(Accessibility/Public transit operation)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is is because the growth of service interval of linked subway and bus leads to reduced demand.

최근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이 활발해지며, 역세권의 환경 변화를 통하여 국내의 대중교통 이용 증진을 시키기 위해서는 TOD 통합계획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역세권 유형과 이용수요에 관한 실증분석이 전제되어야 향후 계획수립시 활용이 가능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을 대상으로 다양한 TOD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대중교통 이용수요와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TOD의 대표적 요소인 Density, Diversity, Accessibility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요인분석과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1) 요인분석을 토대로 7개 영향요인이 도출되었으며, Factor 1(Diversity/토지이용복합도 (LUM)), Factor 2(Density/개발밀도수준), Factor 3(Accessibility/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4(Design/가로설계수준), Factor 5(Gree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Design/지하철시설규모),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유형화되었다. (2) 요인-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역세권 승하차 인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Factor 1(Diversity : 토지이용복합도(LUM) 요인), Factor 3(Accessibility : 대중교통시설공급수준), Factor 2(Density : 개발밀도수준), Factor 5(Design/연계교통시설(보행자, 자전거), Factor 6(지하철시설규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세권의 승하차 인원에 부정적(-) 영향은 Factor 7(Accessibility/대중교통운영수준)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하철과 버스의 배차간격이 증가할 경우 이용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http//:www.moct.go.kr/
  2. 법제처: http://www.moleg.go.kr/
  3. 서울시청: http://www.seoul.go.kr/
  4. 서울시 GIS, http://gis/seoul.go.kr/?SSid=560_05
  5. 대중교통정보 네이버(NAVER), www.naver.com
  6. 김은정, 박양규, 박중재(2001), 원도우용 SPSS통계분석 10, 21세기사
  7. 박동진.김재준.이승일, 2007. "서울시 대중교통중심의 개발을 위한 역세권 개발밀도와 이용자수의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2007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서울특별시: 서울시립대학교.
  8. 박성해, 2011. "Fuzzy ANP를 이용한 TOD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성형곤.김태현, 2005. "서울시 역세권 유형화에 관한 연구 : 요일별 시간대별 지하철 이용인구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23(8): 19-29.
  10. 성형곤.권영종, 2006. "고용입지변화에 따른 주거입지 및 통근통행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강남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 41-58.
  11. 성현곤.노정현.김태현.박지형, 2006. "고밀도시에서의 토지이용이 통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역세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1(4): 59-75.
  12. 성현곤.박지형.김동준, 2007.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효과분석 및 유도기법 적용방안, 연구총서 2007-3: 한국교통연구원.
  13. 신상영.황기연.조용학, 2005. "서울시 뉴타운 사업이 교통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도시연구, 6(4): 55-70.
  14. 오영택.김태호.박제진.노정현, 2009. "토지이용유형별 서울시 역세권 대중교통 이용수요 영향인자 실증분석", 대한토목학회지 논문, 29(4): 467-472.
  15. 이수일, 이승재, 손혁준, 김태호, 2010. "역세권 보행자 만족지수(PSI)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1(4): 51-66.
  16. 이승일.이창효, 2004. "직장접근도시를 통한 수도권 지하철 역세권의 통근이용 잠재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5(4): 13-28.
  17. 임희지(2005) 고핵다밀화도시 서울의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위한 역 중심 개발유도방안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3권 제5호, pp. 93-104.
  18. 정희윤.김선웅, 2002. 서울시 장거리 및 교차통근의 실태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 정희윤, 2006. 시가지 재정비와 신도시 개발의 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 한국도시설계학회, 2008. 도심지 내 인프라와 연계한 밀도 조정 및 활용방안, 대한주택공사.
  21. 황기연.조용학, 2005. "도심고밀개발 전략의 교통영향분석", 국토계획, 40(3): 91-105.
  22. 황기연.신상영.강준모, 2006. "교통혼잡을 고려한 서울 도심부 개발가능 밀도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1): 49-58.
  23. 황기연.신상영.조용학.손기민, 2008.(1) "TOD형 개발 촉진을 위한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대한토목학회지 논문, 28(1): 1-10.
  24. 황기연.조용학, 2008.(7) "TOD형 도시재생사업의 교통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논문, 28(4): 469-476.
  25. 홍진현, 고밀.혼합 토지이용이 통행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6. Calthorpe, P. The Next American Metropolis: Ecology, Community, and the American Dream,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3
  27. Cervero, R. "Land Use mixing and suburban mobility" , Transportation Quarterly 42(3), 1988.
  28. Cervero, R. "Mixed land-uses and commuting; Evidence from the American Housing Survey", Tramspn Res A, 30(5), 1996.
  29. Cervero, et al,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 Experiences, Challenges, and Prospects, TCRP, 2004.
  30. Du Vall. and Matthew, E., 2007.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hree Case Studies", A Research Paper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Graduate School of Cornell University, Ithaca. Ithaca: Cornell University.
  31. Edward J. O'Donnell and Theodore A. Patterson, 2010.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Identification of Optimal Characteristics In Delaware, Institute for Public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Delaware.
  32. Hiller, B. and Hanson, J(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Hyungun Sung & Ju-Taek Oh(2011). " Transit-oriented development in a high-density city: Identifying its association with transit ridership in Seoul, Korea," Cities, Vol.28:pp.70-82. https://doi.org/10.1016/j.cities.2010.09.004
  34. Hyungun Sung, Ji-hyung Park, & Dong-Jun Kim(2007). "Impact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s in Korea," Research Report No.2007-03.
  35. Hyungun Sung & Sang-ho Choo(2010). "The effects of Compact-City Development at the Living Area of Neighborhood Level on Modal Split and Self-Sufficiency," Journal of Korean Planning Association, Vol.45(1):pp.315-325.
  36. Renne, J., J. Wells, and E. Bloustein., 2005. Research Results Digest 294: Transit-Oriented Development: Developing a Strategy to Measure Succes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37. Renne, J. 2009. Evaluat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Using a Sustainability Framework: Lessons from Perth's Network City in Planning Sustainable Communities: Diversity of Approaches and Implementation Challenges. University of Calgary.
  38. William J. DeCoursey and Lorene Athey., Transit-Oriented Design: Illustrations of TOD Characteristics, Institute for Public Administration, the Delawar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39. Zhang, M(2004). "The role of land use in travel mode Choice: Evidence from Boston and Hong Ko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