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Family Support and Care's Socialization in the Elderly

대학생의 노인부양과 Care의 사회화에 대한 인식

  • 정혜선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 이종렬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 박천만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Received : 2011.02.24
  • Accepted : 2011.03.30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college students' suppor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their awareness of the socialization of care for the elderly, since they will have the responsibility for and the support of the aged society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socialization of elderly care, an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care system which promotes ahealthy and happy lifestyle for the elderly.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1,100 students from13 universities around the entire country, I have analyzed 1,089 data forms, and omitted 11 data entries which had errors or were not answered. 1. Those surveyed are 1,089 students from 13 universities around the entire country. Regional distributions are as follows : 263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Daegu and Kyongsangbuk Do(24.2%), 291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in Busan and Kyongsangnam Do(26.7%), 272 students from 2 universities in Jeolla Do(25.0%), 263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Do. Males are 51.7% and females are 48.3% of these students. 2. Instrumental supportive sense level is high in men and emotional supportive sense level is higher in women. Also emotional supportive sense is higher in groups of those having more family members and coming from agricultural regions. 3. The sense of living with aged parents is higher in those living with grandparents than those living separate. The sense of living with sons and daughters after aging is stronger in the students from the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than in the Social and Human Sciences Departments; also higher for men than women. 4. Recognition of elderly care socialization is higher in those from Social and Human Sciences Departments than from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higher in the case of upper classmenand aged groups, groups having fewer family members than more family members, and in the case of living separated from grandparents. 5. The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living with grandparents were family cohesion and instrumental supportive sens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nse of elderly care socialization were family cohesion, instrumental supportive sense, and emotional supportive sense. From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o insure a healthy and happy lifestyle for aged people, elderly care socialization offered by society and the country must provide desirable, appropriate care services based on the centralized support system of the family. In order to do this, we propose that elderly care needs inter-family and inter-generational fusion programs to improve family cohesion and care recognition. Also, elderly care is in urgent need to build a strong Family and Health Welfare System for care socializ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 한혜경. 비동거 자녀의 노부모 부양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997;17(1):271-288.
  2. 고경애. 한국 청소년의 노인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1990.
  3. 고정자, 이은민. 최승원.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연구논문 1998;6:5-33.
  4. 권기갑.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북:영남대학교 대학원;2009.
  5. 권육상, 박정미, 류종훈. 노인생활건강. 서울:유풍출판사;2001.
  6. 김명주.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 조사[석사학위논문]. 경북: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09.
  7. 김영호. 청소년의 노부모 부양의식 실태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울산과학대학 연구논문집 2003;29(2):41-59.
  8. 김용순.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단국대학교 대학원:2000.
  9. 김윤정, 장세철. 한국 대학생과 일본 대학생의 부모부양의식 비교. 일본문화학보2008;39:211-229.
  10. 김정란, 김경신. 가족기능과 가족주의 가치관이 대학생의 부모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09;13(4):133-149.
  11. 김지영. 대학생의 노인부양 의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기:강남대학교 대학원;2001.
  12. 백경미. 대학생의 노인부양 의식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경기: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대학원;2005.
  13. 백종욱, 김명주.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 조사. 임상사회사업연구 2009;6(3):67-85.
  14. 보건복지가족부. 노인장기요양보험설명 자료집. 서울:보건복지가족부;2008.
  15. 석정은. 제도권 효 교육과 청소년의 노인부양의식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동국대학교 대학원;2008.
  16. 송근자. 가족주의 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대학생의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부산:동아대학교 대학원;2004.
  17. 오세용. 한국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소재 대학재학생을 중심으로. 조선대 사회과학 연구 2003;29(2):187-216.
  18. 이민표. 노인부양의 사회화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고려대학교;2001.
  19. 이영진.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세대별 연구 - 청주, 청원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충북:청주대학교 대학원;2001.
  20. 이은민.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부산:동아대학교 대학원;1995.
  21. 이은경.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부모노후의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999;37(1):45-65.
  22. 이용호. 가족관계 및 균형가정이 대학생의 부모부양 의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2005.
  23. 이지원.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경북:영남대학교 대학원;2006.
  24. 정창수.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경북: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2009.
  25. 조은아. 부모부양의식과 부양가족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 수도권의 청장년층의 부모부양의식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경희대학교 대학원;2004.
  26. 최승원, 정혜정, 서병숙.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부모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 과학연구 1997;15:83-99.
  27. 최연희.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 20-30대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경희대학교 대학원;2008.
  28. 최옥숙.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2003.
  29. 통계청. 2008 고령자 통계 [전자자료]. 대전:통계청;2008.
  30. URL:http://www.kostat.go.kr/nso_main/nsoMainAction.do?method=sub_index&catgrp=nso2009&catid1=k06___0000&forward=5(2009년 11월 5일 검색).
  31. 한경철. 청소년의 노인 부양의식[석사학위논문] 부산:고신대학교 대학원;2008.
  32. 太湯好子、實金、高井一、中嶋和夫,桐野匡史.家族凝集性と老親扶養意識が介護の社化の意識にえる影響―東アジア域の日本と中東 北地域の比較―. 日中究交流資料 2009;1-10.
  33. 尹靖水 他. ソシャルワクと東アジアモデルの構築東アジア 地域用老親扶養意識尺度の開. 2006年科費報告書. 東京:厚生省;2006. 7-11.
  34. Berkman, L. F. Assessing the physical health effects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1984;5:413-432. https://doi.org/10.1146/annurev.pu.05.050184.002213
  35. Kaplan, G. Support System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New York: Behavioral Publications;1974.
  36. Olson, D. H., Russell, C. S,, Sprenkle, D. H.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Ⅵ.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1983;22:69-83.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3.00069.x
  37. Unlenberg, P. The burden of ag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shifting balance of caregiving and care receiving as cohort age. The Gerontologist 1996;36(6):761-767. https://doi.org/10.1093/geront/36.6.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