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해양에너지 활용지역 선정을 위한 부산시 500m 메시 레벨에서의 건물용도구성에 의한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500m×500m Mesh Level by the Combinations of Building Needs in Busan for the Feasibility Evaluation of Ocean Energy Plant Introduction

  • 황광일 (한국해양대학교 기계.정보공학부)
  • Hwang, Kwang-Il (Department. of Mechanical & Information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1.01.13
  • 심사 : 2011.02.16
  • 발행 : 2011.02.28

초록

해양에너지를 지역냉난방설비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론적 관점에서 출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의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500m${\times}$500m 메시를 개발하고, 메시 특성에 따른 유형별 분포도를 작성하는 것이다. 연구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산광역시의 총 16개 단위행정구역 중 연제구, 중구, 해운대구를 제외한 13개 구군(區郡), 108개 동(洞)별 유효 건축정보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500m${\times}$500m 메시를 개발하였다. 총 3,289개 메시가 유효한 건물바닥면적을 갖고 있으며, 그 중 용적률 50% 이상인 메시는 325개(9.9%), 100% 이상인 메시는 59개(1.8%), 200% 이상인 메시는 30개(0.9%), 300% 이상인 메시는 25개(0.8%)로 나타났다. 용적률 50% 이상인 325개 메시를 주성분분석과 클러스터분석에 의해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이를 500m${\times}$500m 메시 맵 위에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상업시설 중심의 1유형은 수영구 광안동, 주거시설 중심의 4, 5유형은 남구 용호동 등이 대표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의 대표 유형으로써 주거중심의 주상복합 특성을 갖는 3유형은 남구, 동래구, 북구, 사상구 등 부산 전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n the view point of renewable energies as energy sources of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lassify and map the 500m${\times}$500m mesh, of which is treated as normal size in DHC regulations for evaluation process. Followings are the results. Various building and geographical informations including 13 districts and 108 counties are re-defined to create 500m${\times}$500m meshes, and it is find out that 3,289 meshes among 8,463 meshes have meaningful floor areas. Only 59 meshes(1.8%) are evaluated as mesh which has more than 50% of building volume ratio per mesh. 5 clusters classified by princip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ith building needs' characteristics are defined. Gwang-an Dong is representative of cluster 1 characterized as commercial area, and the cluster 4, 5 which has mainly residential needs are distributed in Yong-ho dong. Because there are a lot of cluster 3 meshes, which has complex needs area based on residential, cluster 3 could be defined as representative of Busan metropolitan c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서울시 지리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II)”
  2. 佐土原 聡(1986), “東京都区部における地域冷暖房地区の選定に関する研究”, 早稲田大学 博士学位論文
  3. 河原透(1994),“地域冷暖房における低温未利用エネルギーの活用に関する研究”, 早稲田大学博士論文
  4. 한국디지털지도(2009), “개인용 지리정보시스템 Land Map 2 - 부산광역시 -”
  5. 日本地域冷暖房協会(1992), “地域冷暖房技術手引書 改訂版”
  6. 日本地域冷暖房協会(1995), “日本全国地域冷暖房導入可能性調査研究 平成6年度報告書”
  7. 다음지도(2010), http://local.daum.net/map
  8. 건축법 시행령(2010.12.13), 법제처
  9. 강현철, 한상태, 김기영, 전명식(2005), “ 예제로 배우는 SAS 다변량 자료분석 입문”, 자유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