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발전 전략: 한국 경제발전 궤적(1961~2010)

The Korean Development Strategy: Trajectories of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1961~2010

  • 정성훈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Jung, Sung-Ho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1.10.10
  • 심사 : 2011.10.25
  • 발행 : 2011.12.30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961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의 경제발전 궤적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 기간 동안 한국 경제의 고성장은 시기별로 다른 한국의 발전모델에 기인한다. 한국의 발전모델을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1980년대 후반까지의 발전양식은'대량생산-대량수출'과'고생산성-저임금'의 결합을 통하여 구현된 수출지향형 산업화 모델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후 1990년대 후반까지의 발전모델은'대량생산-대량수출'전략을 지속해 오면서'고생산성-고임금'의 결합에 기초하고 있으며, 2000년 이후의 발전모델은 한국의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공공부문과 민각부문의 재편'및'시장화 전략과 사회 안전망의 점진적 확충'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발전모델은 첫째, 세계적 차원의 조절양식인 무역제도, 환율, 세계와 한국 간 산업관계, 개발도상국에 대한 차관 제도와 관계가 있으며, 둘째, 국가적 차원에서의 조절양식인 국가, 자본, 노동 간에 이루어지는 3각 관계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세계적-국내적 차원에서 조절양식은 한국의 수출지향형 자본축적 과정을 안정화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게임의 규칙이 된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Korean development strategy in the context of trajectories of the economic development from 1961 to 2010. The fast and high growth in the period of 1961 and 2010 resulted from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mass production-mass exports' and '(relatively) high productivity-low wages' up to the late 1980s, a mixture of 'mass production-mass exports' and '(relatively) high productivity-high wages' to the late 1990s, and a combination of the reformation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for overcoming the Korean financial crisis and the gradual improvement of the marketization and social safety net since 2000. With respect to this model of development, the global and national modes of regulation were established. Along with the formation of endogenous forces (as the national mode of regulation), that of exogenous forces (as the global mode of regulation) are the important rules of the game at the global level, which lead and stabilize the process of accumulation by the export-led industrialization in Korea. In this respect, the establishment of global modes of regulation is led by exogenous forces such as trade regulations, exchange rates, global-Korean industrial relations, and global regulations of loans to develop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modes of regulation are formed by endogenous forces such as the triangular relationship of the state, capital and lab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