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os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National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and the Analysis on Items Concerning Chemistry

중국 대학입학시험의 구성 및 특징과 화학 문항 분석

  • Received : 2011.07.27
  • Accepted : 2011.12.0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ompositions, basic principles, and the area of the National Higher Education Entrance Examination (GaoKao) in 2009, we also analyzed the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items. Also, the GaoKao was analyzed in terms of test specifications, the number of items, item patterns, difficulty levels, and implicatio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were explored. Results show Natural Science section of the National Test 1, 2 are 300 points per 150 min, and Natural Science, and Chemistry of Shanghai is 150 points each per 120 min. Also, the GaoKao contained multiple choice and fill in the blanks questions, and the description items are composed of experiments of various types. The GaoKao Natural Science section is composed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but not earth scienc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SAT. GaoKao requires basic understanding or the observation ability to reasoning, the complex thinking ability, especially emphasized on the experiment ability. The range of possible questions is in the examination outline, not the curriculum, and the ratio of questions from the University level is high. In the analysis of the behavioral domain, the ratios of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items is higher than the CSAT, and inquiry items is lower, but the inquiry items are deeper. In case of the ratio of the expected correct answer, National Test 1 and National Test 2 is similar, but the difficult items or about 20~39% of the test is 4~5 times to that of the CSAT, making the GaoKao very difficult.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GaoKao is the emphasis on the experiment, and even though the practical items is of lower ratio, they are very useful in life.

이 연구에서는 2009년에 시행된 까오카오의 구성 및 출제의 기본 원칙과 범위, 검사지 구성 등 을 파악하고, 문항 유형, 특이 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까오카오 전국권1과 전국권2의 이과 종합 및 상해 이과 종합과 상해 화학 문항을 수능과 관련하여 내용 수준 및 행동 요소별로 분석하였고, 아울러 우리나라 수험생의 관점에서 예상 정답률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까오카오 전국권 시험의 이과종합은 시험시간이 총 150분이며 300점 만점이고 상해 이과종합과 화학은 총 120분이며 각각 150점 만점이다. 또한 선택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서답형 문항은 실험 문제, 단답형과 서술형 문제 등 다양한 문제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과종합 시험은 물리, 화학, 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나라 수능과 달리 지구과학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기본적인 이해나 관찰 능력부터 추리나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실험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시험의 출제 내용은 교육과정이 아닌 출제 요강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대체로 우리나라 고등학교까지의 교육과정 수준을 벗어나는 대학 수준의 비율이 다소 높았다. 행동 영역에 따른 분석에서 이해와 적용에 해당하는 문항의 비율이 우리나라 수능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탐구 설계 및 수행에 해당하는 문항의 경우는 비율이 높지는 않지만 매우 심도 있게 탐구 영역을 다루고 있다. 예상 정답률의 경우 전국권1과 전국권2의 예상 정답률 분포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예상 정답률이 20 39%에 해당하는 어려운 문항이 우리나라 수능과 비교할 때 4~5배로 높아 어렵게 출제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이 사항으로는 까오카오 문항이 실험 능력을 강조하고 있으며 일상생활과 관련된 문항도 낮은 비율이지만 생활에 유용하게 출제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호경, 이현숙 (2007). 고등학교 수리영역 시험의 난이도 예측 요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10(1), 113-127.
  2. 교육부(1997). 과학과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보림(2007). 최근 일본 대학입시에서의 역사 평가와 한국사 관련 문항 고찰. 일본문화연구 24. 29- 43.
  4. 김은진, 김영수 (1992). 대학수학능력시험 실험 평가 문제의 분석: 과학 탐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75-92.
  5. 김주훈, 설현수 (2001). 일본, 중국, 대만 대학 입시 제도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12.
  6. 김진희 (2006). 한국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일본센터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내용타당도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유리 (2006). 중국 역사교육 평가의 현황과 특징: 대학입시(高考)를 중심으로. 역사와 역사교육, 12(0), 43-52.
  8. 김호웅 (2002). 중국의 조선어문시험 평가방식의 실태와 특성 - 2002년 보통고등학교초생전국통일고시조선어문(길림성전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10, 465-498.
  9. 김현경, 김동영, 최혁준, 구자옥, 동효관, 신일용, 이양락 (2010).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이과 문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52-471.
  10. 노은희, 박기범 (2009). 미국 SAT 문항 분석을 통한 수능 언어 영역 개선 방향 탐색. 국어교육학연구, 34(0), 267-307.
  11. 명전옥, 박승재 (1995). 대학수학능력시험 도입에 따른 과학적 탐구사고력 평가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관심과 필요 사항.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417- 428.
  12. 박복선(2005). 중국 대학입학제도와 개혁방향의연구. 한국동북아논총, 37, 123-145.
  13. 박종배(2005). 중국의 대학입시제도. 교육비평, 19, 108-125.
  14. 박종훈 (2009). 화법 교육과정과 수능 언어 영역문항 간의 연계성 강화 방안. 화법연구, 15(0), 153-182.
  15. 신일용, 박기범, 박종훈, 남진영, 전영주, 김용명, 고현숙, 박진동, 황인표, 신항수, 장의선, 강대현, 이 정우, 동효관, 최혁준, 김현경, 구자옥, 이용백, 장호성, 변은주(2010). 중국 대학입학시험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0-63.
  16. 양길석, 이명애, 시기자, 민경석 (2007). 대학입학시험 점수체제 국외사례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0(2), 145-172.
  17. 우종옥, 이경훈, 이항로 (199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자연과학 탐구 능력 평가를 위한 행동 요소의 추출과 평가 목표의 상세화 연구 I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81-95.
  18. 이간용 (2008). 중국의 지리 평가 특성 분석-중국의 대학 입시 지리 시험 문항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 47(3), 85-108.
  19. 이경자 (2005). 중국의 대학입시 제도. 한국교육학연구, 11(1), 77-98.
  20. 이근님, 남명호, 홍수조 (1998).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장기 발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이양락 (2002). 대학수학능력시험'과학 탐구'의 응시자 수와 평균 점수 변화 및 문항에 대한 학생 반응.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45-356.
  22. 이재학, 조승제, 박선화, 박혜숙 (2004).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문제 비교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수학교육>, 43(4), 349- 379.
  23. 이정우, 은지용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문화 과목의 답지 반응에서 발견되는 오개념 경향 연구. 사회과교육, 48(3), 47-56.
  24. 이정희 (2005). 일본센터시험의 한국어시험 문항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어 교육, 16(3), 253-274.
  25. 이종승, 박도순, 이종재, 남명호, 김홍원, 김정겸, 백순근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교육개발원 공동연구보고.
  26. 정영근, 임찬빈, 손민정, 이용백, 장호성 (2009). 2009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 동향 연구-대만∙싱가포르∙일본∙중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O 2009-9-1.
  27. 조윤동, 남진영, 고호경 (2009). 한, 중, 미, 일의 전국단위 대학입학시험 수학과 출제체제 비교를 통한 수리 영역 개선 방안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 수학, 11(4), 547-565.
  2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4). 대학수학능력시험출제 매뉴얼 과학탐구 영역.
  29. 함승연 (2007).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 공업계열 출제 문항에 관한 고찰.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2(2), 23-46.
  30. 홍미영, 전경문, 이양락, 이범홍 (2002). 대학수학능력시험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의 문항 및 응시자 응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378-386.
  31. 敎育部(2009). 敎育部關于印發 <<高等學校招生全國統一考試考務工作規定>> 的通知. 敎考試2009-2.
  32. 敎育部考試中心(2009). 2009年高考考試大綱新版. http://fjzsksw.com/gaokao/DG/226407.shtml (검색일: 2010. 5. 18.)
  33. 敎育部考試中心(2009). 2009年高等學校招生全國 統一考試大綱. 中國敎育在線. http://gaokao.eol.cn (검색일: 2010. 5. 18.)
  34. 北京考試院(2004). 2004年北京市夏季高考語文科目考生水平及敎學質量分析. http://www. bjeea.cn/217584555043848192/20041229/3789.s html. (검색일: 2010. 5. 20.)
  35. 中華人民共和國敎育部(2003) 普通高中英語課程. 人民敎育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