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Quantitative Measurement of Metadata Quality for Journal Articles

학술지 기사에 대한 메타데이터 품질의 계량화 방법에 관한 연구

  • 이용구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병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기반실)
  • Received : 2011.03.18
  • Accepted : 2011.03.21
  • Published : 2011.03.30

Abstract

Most metadata quality measurement employ simple techniques by counting error records. This study presents a new quantitative measurement of metadata quality using advanced weighting schem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ting measurement techniques. Entropy, user tasks, and usage statistics were used to calculate the weights. Integrated weights were presented by combining these weights and were applied to actual journal article metadata. Entropy weights were foun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itself. User tasks presented the required metadata elements to solve user's information need. Integrated weights showed balanced measures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influence of error elements, This finding indicates the new method being suitable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metadata quality.

기존 메타데이터의 품질 측정 방법은 오류가 발생한 레코드를 단순히 계수하여 그 비율로 품질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타데이터 요소별로 상대적 중요 정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서, 메타데이터 품질을 체계적으로 계량화 하는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가중치 부여 방법으로 엔트로피, 이용자 과업, 그리고 이용 통계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들을 결합하여 통합 가중치를 제시하고 실제 서비스 되고 있는 학술지 기사 메타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은 데이터 자체의 특성을 잘 반영하며, 이용자 과업을 적용한 방법은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해결하는 필요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시하며, 통합 가중치는 특정 메타데이터 요소의 오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균형 잡힌 측정값을 제시하여 계량화 방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태수. 2008. 목록의 이해. 개정증보판. 서울:한국도서관협회.
  2. 사공철, 김태수, 정영미, 최석두. 2001. 정보학사전. 서울: 문헌정보처리연구회.
  3. 윤구호. 2001. 색인 초록. 개정증보판. 서울:한국도서관협회.
  4. 이응봉, 조현양, 류범종, 최재황. 2001. 과학기술 분야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품질평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2): 110-132.
  5. 이제환. 2002. 공동목록 DB의 품질평가와 품질관리: KERIS의 종합목록 DB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61-89.
  6. Caplan, P. 2003. Metadata Fundamentals for all Librarians. Chicago, IL: ALA Editions.
  7. Caplan, P. 2004. 메타데이터의 이해. 오동근 역. 대구: 태일사.
  8. Delsey, T. 2002. Functional Analysis of the MARC 21 Bibliographic and Holdings Formats. [cited 2011.3.1]. .
  9. Haynes, D. 2004. Metadata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trieval. London: Facet Publishing.
  10. Hufford, J. 1991. “Elements of the bibliographic record used by reference staff members at three ARL academic libraries."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52(1): 54-64. https://doi.org/10.5860/crl_52_01_54
  11. IFLA Study Group on the Functional Requirement for Bibliographic Records. 2003. 서지레코드의 기능상의 요건: 최종보고서. 김태수 역.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12. Intner, S., S. Lazinger, and J. Weihs. 2006. Metadata and its impact on libraries. Westport, Connecticut: Libraries Unlimited.
  13. Ochoa, X. and E. Duval. 2006. “Quality Mertrics for Learning Ojbejct Metadata." Proceedings of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s, 1004-1011.
  14. Stvilia, B. and L. Gasser. 2008. “Value-based metadata quality assessmen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0(1): 67-74. https://doi.org/10.1016/j.lisr.2007.06.006
  15. Stvilia, B., L. Gasser, M. B. Twidale, and L. Smith. C. 2007. “A framework for information quality assessment.” 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gy, 58(12): 1720-1733. https://doi.org/10.1002/asi.20652
  16. Stvilia, B., L. Gasser, M. B. Twidale, S. L. Shreeves, and T. W. Cole. 2004. “Metadata quality for federated collections.” Proceedings of ICIQ04 -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Quality, 11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