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물 편경의 음향 분석을 통한 아악 황종음고의 추정

Estimation of Nominal Frequency of Whangjongeum by Acoustical Analysis of Old Pyeongyeongs

  • 유준희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
  • 박정우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
  • 배대성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
  • 김형준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 ;
  • 성굉모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
  • 노정욱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
  • 고현우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과)
  • 투고 : 2011.10.10
  • 심사 : 2011.11.16
  • 발행 : 2011.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여러 기관에 분산 소장 중인 편경 유물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음향을 측정 분석하여 황종음고의 기본 진동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국악원, 국립국악고등학교에 소장 중인 241매 유물 경석의 간지별, 율명별 분포를 파악하였다. 보다 타당한 대푯값을 찾기 위하여 17매의 유물 황종 경석에서 측정한 기본 진동수를 군집 분석하였으며, 간지별로 경석을 분류하여 삼분손익법으로 황종음고를 역추정하였다. 경석의 간지와 기록이 일치하는 계축년 간지의 경석 22개로 추정한 황종음고의 기본진동수는 266.9 Hz, 정유년 경석과 갑자년 경석으로 추정한 값은 262.4~262.5 Hz, 20세기에 해당하는 간지인 갑진년, 소화 12년, 소화 13년 경석으로 추정한 값은 258.7~259.3 Hz 등 시대에 따라 변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 유물에 대한 접근이 어려웠던 시대에 일부 유물로 황종음고를 추정한 것에 대해서 본 연구는 경석 유물 전수에 대한 음향 분석을 바탕으로 황종음고를 추정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the numbers and note distributions and sexagenary cycles of old pyeongyoungs systematically, and estimate the nominal frequency of whangjongeum, the Korean tradition pitch standard. As a total 214 old stones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the National Kukak Center, the Kukak National High School were counted by notes and sexagenaries. The nominal frequencies of 17 old whangjong stones' sounds were categorized by cluster analysis method. Using nominal frequencies of stones according to their sexagenaries and Korean traditional intonation were used to estimate the nominal frequencies of the whangjong. The nominal frequency can be estimated by 22 Keychuk stones as 266.9 Hz, by Cheongyu and Gabja stones as 262.4~262.5 Hz, and by Gabjin, Sowha 12 and Sowha 13 as Estimating by 22 Kyechuk stones which were matched with the records. These results seem to be more reliable, because it is based on the whol samples of old pyeongyoungs, while the former studies have been based on couples of whangjong stones' sou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2. 송지원. 규장각 소장 조선왕실의 의궤 고찰. 국악원 논문집, 23권, 145-186쪽, 2011.
  3. 권오성, 김세종 공역, 청제율관소, 난계선생유고, 38-42쪽, 국립국악원, 서울, 1993.
  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장헌대왕실록 영인본. 59책 1권, 세종 15년 1월 1일 세 번째 기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서울, 1973.
  5. 이혜주 역주, 신역악학궤범, 한국음악학 학술총서5. 국립국악원, 서울, 2000.
  6. 이숙희, "악학궤범의 척도연구-편경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2002 하계 학술모임 논문집 , 2002.
  7. 김현지, 영정조 편경 제작과정 연구-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국악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4.
  8. 서인화, "국악기 음고표준화 안," 국악기 표준화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77-93쪽, 2006.
  9. 권오연, "한국음악의 조율체계와 음계에 대한 음향학적 고찰," 음악과 문화, 세계음악학회, 4권, 59-98쪽, 2001.
  10. 국립국악원, "한국 전통음악의 기본음," 국악원 논문집, 2권, 131-184쪽, 1990.
  11. 박흥수, "전통음악에서의 기본음," 국악원논문집, 2권, 158-175쪽, 1990.
  12. 박흥수, "세종조의 도량형," 한중도량형제도사, 569-588쪽,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9.
  13. 유준희, "편경의 진동모드 분석." 한국음향학회지, 제25권, 3호, 121-128쪽, 2006.
  14. J. Yoo and T. D. Rossing, "Geometrical effects on the tuning of Chinese and Korean stone chimes," J. Acoust. Soc. Am. pp. EL78-el83, 2006.
  15. 다나베 히사오, "조선.중국음악조사기행," 박수관 역, 갑우문화원, 154-163쪽, 2000.
  16. 황병기, "현행 국악에서의 기본음," 국악원논문집, 2권, 176-184쪽, 1990.
  17. T. D. Rossing, T. D. Science of Sound, Addison Wesley, p. 123, 2002.

피인용 문헌

  1. Optimal Shape Design of Pyeongyeong Considering Structural and Acoustical Characteristics vol.38, pp.3, 2014, https://doi.org/10.3795/KSME-A.2014.38.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