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Chromatology of the Five Cardinal Colors in Oriental Medicine

한의학(韓醫學) 오색(五色)의 색채론적(色彩論的) 연구

  • Kim, Kyoung-Shi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 Kim, Byoung-Soo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김경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김병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Received : 2011.07.12
  • Accepted : 2011.07.28
  • Published : 2011.08.20

Abstract

It fuses into culture of the East and the West in use of color ; colors of five direction, which had been from the Five Phase Theory in East Asia. Formative ability of color fields in a formative early Oriental Medicine history as well. Color is a very important factor and a necessary step of visible diagnosis. As a human's body is maintained and alive under the control of spirit and spirit is stored by five viscera, so spirit expresses the change of five viscera and is reflected by color. Visible diagnosis consists of spirit, appearance, Qi and color and movement. The purpose of each visible diagnosis is that we would know states of essence, Qi and spirit in patient's body. To ancient Asia people 'to see' was a kind of insight to the object as a whole. Similarily the activity of seeing the human body was the integral part of making diagnosis of a patient. This was the cause that there was suggested the discussion of the Five color theory in Oriental Medicine as a counterpart to that of the 'Goethe for Zur Farbenlehrer'. The inspection of Oriental Medicine was not a simple gazing of the eye as a sense organ, but the total insight to the internal state of the patient. For that reason, the eye-perception in early Chinese medicine was the reading the signs of the internal body which had have not the visual form but the flux of the internal life.

Keywords

References

  1. 배하나. 선호색 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색채감성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 2004.
  2. 류수정. 오방색의 색면 구성을 통해 전체론적 기능을 시도한 다과기 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6, 2007.
  3. 洪元植 校注. 精校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4. 洪元植 校注. 精校黃帝內經靈樞. 서울.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5. 許愼. 說文解字注. 서울, 大星文化社, 1990.
  6. 공희일. 색채의 한의학 적용 방법론 연구. 제6회 현곡상 응모 논문집, 1996.
  7. 신승우 외. 색채요법에 관한 고찰.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0(2):139-156, 2000.
  8. 片秀範, 尹暢烈. 內經 中 五色에 관한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2(2):105-119. 2004.
  9. 河北醫學院. 靈樞經校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2.
  10. 김광호, 時.空 合一의 觀點으로 살펴본 顔面望診에 대한 硏究,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1. 汪認庵 著, 汪昻 編著, 本草備要, 中國, 中國中醫藥出版社, 1998.
  12. 唐宗海. 血證論. 대만, 力行書局有限公司, 1984.
  13. 唐宗海, 金俊錡 國譯 ,本草問答, 서울, 대성문화사, 1996.
  14. 박승림. 色彩 心理.治療와 韓醫學에서의 色의 適用. 大田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2004.
  15. 곽노규. 감각과 신체-고대 중국의학에서 신체 지각의 문제. 한국의철학회 (3):77-95. 2007
  16. 이천. 편주의학입문(영인본). 서울, 대성문화사, 1989.
  17. 허준. 대역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1999.
  18. 차정민, 요코다마사오. 한.일 지역성과 미술의 전문적 학습이 색채감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색채학회 22(3):35-44, 2008.
  19. 데이비드 라우어. 조형의 원리. 서울, 미진사, 1985.
  20. 장희창. 괴테 색채론의 구조와 그 현대적 의미. 괴테연구, 11(1):173-189, 1999.
  21. 괴테, 장희창 옮김. 색채론. 서울, 민음사, 2005.
  22. 서혜옥. 칸딘스키의 색채론 내적 필연성의 심리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23(1):69-80, 2009.
  23. 박광수. 아유르베다의 차크라 이론과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색채치유 원리와 방법에 비추어본 괴테의 색채론. 괴테연구 19:21-45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