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리더 역할 관점에서의 CM단장 역할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설계단계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Managers' Roles from the Perspective of Leader's Roles - Focused on Design Stages -

  • 투고 : 2010.10.08
  • 심사 : 2010.12.10
  • 발행 : 2011.01.31

초록

2000년대 초반 이후 대형사업의 발주가 늘어나고 전문적인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CM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CM시장이 성장하면서 CM기업의 수도 증가하고 기업 간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능력 있는 CM단장을 보유하는 것은 사업 수주나 CM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현안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설계단계의 CM업무를 중심으로 전략계획설정자, 팀 형성자, 정보소식통, 전문가, 챔피언 등 5가지 리더 역할의 관점에서 CM단장의 역할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설계단계 CM업무들의 특징에 따라 리더로서의 CM단장 역할 특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CM업무 특성과 CM단장 역할 특성이 상호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early 2000s, the importance of CM services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nd the CM market is continuously growing. As a consequence, the number of CM companies has increased, which means keener market compet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t has been a major task for CM companies to employ and foster competent construction managers who can play a role of efficient project leaders.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analyze key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managers' roles during design stages from the perspective of leader's roles including strategic planner, team builder, gatekeeper, expert, champ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거백 (2001), "리모델링 공사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건설사업관리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학위논문(석사)
  2. 김경남, 김종훈 (2002), "턴키사업과 CM의 역할",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학술발표자료
  3. 김경남, 최재호 (2008), "수해복구공사 조기착공을 위한CM의 역할 재조명 :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3호, pp. 355-362
  4. 김균석 (2010), "건설프로젝트에서 팀 리더의 역할과 팀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학위논문(석사)
  5. 김영배, 차종석 (1994), " 프로젝트팀 리더의 역할과 팀성과" 한국경영과학회, 한국경영과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123-144
  6. 김찬중 (2002), "개발사업과 CM의 역할",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 3회
  7. 김홍준 (2009), "경영통계학", 신광문화사
  8. 박상혁 (2009), "LEED 적용에 따른 CM의 역할", 한국건설관리학회 건설관리 기술과 동향, pp.347-351
  9. 박창희, 박기동 (2001), "팀 리더 역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0. 윤재호 (2002), " 민자유치사업과 CM의역할",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학술발표자료
  11. 임창희, 가재산 (1998), "한국형 팀제를 넘어서", 삼성경제연구소
  12. 정영수, 우성권, 박지호, 강승희, 이영환, 이복남(2004).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발주자 업무기능 역량평가",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 5권 제 3호, pp.128-136
  13. 한광령 (2009), "스포츠조직에 있어서 리더의 역할이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8권, 제1호, pp. 143-155
  14. Naus, Burt (1992) "Visionary leadership : creating a compelling sense of direction for your organization", The Jossey-Bass management series

피인용 문헌

  1. Analyzing the Engagement of Professional Construction Managers in Construction Management firm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vol.14, pp.2,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2.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