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야기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과 운전태도 변화 메커니즘 분석

A Study on the Traffic Accident Offenders' PTSD Occurrence and Analysis of the Changing Mechanism of Driving Attitudes

  • 투고 : 2010.11.12
  • 심사 : 2011.01.05
  • 발행 : 2011.02.28

초록

본 연구는 교통사고 야기자의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발생 구조와 원인, 치료방법 선택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통사고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를 대상으로 추정만 하던 교통사고 가해자의 PTSD 현황을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교통사고 야기자를 대상으로 교통사고의 발생과 밀접한 20가지의 운전 상황에서 교통사고 이후의 운전태도 변화를 요인분석으로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셋째, PTSD 유 무별로 주요 운전 상황에서의 운전태도 변화의 차이가 있음을 t검정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t검정을 통하여 유의하다고 나타난 6가지의 운전 상황을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하여 PTSD 관련 변수와 운전태도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구축된 모형의 분석을 통해, PTSD 저감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 및 PTSD 저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about the occurrence structures, causes and choice of treatments of the traffic accident offenders'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ident offenders', not victims', PTSD conditions, which has been only estimated until now, are measured by nationwide questioning survey. Second, accident offenders' changes of driving attitude after accidents could be typed by factors analysis in the 20 driving situations closely connected to the occurrence of traffic accidents. Third, by the t-test, the difference of driving attitudes in primary driving situations according to existence of PTSD is distinguished. Six driving situations, which are found significant by t-test, are applied to structural equation. So the variables related to PTSD and the models which analyze the attitude changes of driving are constructed.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materials to help the reduction and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PTSD.

키워드

참고문헌

  1. 계윤정.최정윤(199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MMPI 프로파일 -교통사고 이후 소송과 관련된 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학회지 임상.
  2. 김정호.이병욱.이수일(1998),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해리, 공격성, 논쟁성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정신병리학.
  3. 남순현.염태호(1998),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환자의 성격요인과 대처방식과의 관계 -교통사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4. 노형진(2008), "SPSS에 의한 다변량 분석 기초에서 응용까지", 한올출판사.
  5. 노형진(2008), "대응분석의 이론과 실제", 한올출판사.
  6. 노형진(2008), "AMOS에 의한 공분산구조분석", 한올출판사.
  7. 배병렬(200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이해 활용 및 프로그래밍. 도서출판 청람.
  8. 송옥선.조수진.구정일(2006), "한국판 임상가용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논문집, 2006.
  9. 오주석.이순철(2007),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 특성이 위험행동 및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5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95-105.
  10. 이수범.심재익(1998), "교통사고 등급별 사고비용 추정",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59-78.
  11. 이선미.김정희(2002),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병 관련 변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2. 최재원.장석용.정헌영.고상선(2010),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내버스 교통사고 및 시내버스 운전자의 운전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73-83.
  13. 장석용.정헌영.고상선(2010), "교통사고 가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고려한 도로교통사고 비용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7-29.
  14. 홍종관.김춘경.이수연.최웅용(2005), "대구 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연구", 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