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Research on Establishment of Department of Private Investigation and Its Future Direction

민간조사학과 개설의 필요성과 성장방향에 대한 질적 연구

  • 조성구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이주락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Received : 2011.07.30
  • Accepted : 2011.09.1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re are various discussions about introducing private investigation in South Korea these days, and training private investigators is one of the main topics. Training private investigators, unlike other training, is required to instill expertise and ethical quality into the trainees since the major task of the investigators includes protecting the lives of the citizens as well as their properties. Therefore, many agree to the idea that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organized to produce private investigators with expertness and morality.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opinions of those who are concerned with this issue of establishing private investigation in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analyzed the data by using the NVivo 2 program.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reasons that people supported the idea of launching private investigator service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lack of manpower to maintain peace and public order in the country. Second, the police does not intervene actively and help harmed victims unless it is a consequential incident. Third, in position to wield public power, police officers cannot get involved in civil affairs. Also, absence of an academic institution to educate private investigators and lack of the police and clients' trust in private investigation were the two biggest reasons that people approved the proposal to introduce department of private investigation in universities. The interviewees of the study believed the outlook and future direction for private investigation would change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licensed private investigation business bill. Before the bill passes, they thought that the work of private investigators will be performed by insurance companies, foreign private investigation businesses, domestic consulting firms, and security providers which supply similar services. On the other hand, after the bill passes, they believed that numerous private investigator corporations resembling existing security corporations will be founded in addition to the current market, and that private investigation in the academic field will also be vitalized.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조사(Private Investigation)의 도입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의 핵심 중 하나가 민간조사원의 교육에 관한 것이다. 민간조사원의 교육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와 관련된 것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교육과는 달리 전문성과 윤리성을 강하게 요구한다. 그러므로 민간조사원의 전문성과 윤리성을 뒷받침하기위해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져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민간조사업 관련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이 민간조사 교육을 대학교육에 포함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탐색적으로 조사한 후 수집된 자료를 질적 자료분석 프로그램인 NVivo 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민간조사가 필요한 이유로는 국가치안인력의 부족과 경찰이 중요한 사건이 아닐 경우 민원인의 피해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는 것, 그리고 공권력을 행사하는 경찰관의 신분으로 민사문제에 개입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그리고 민간조사학과 개설 필요성으로는 전문교육기관의 부재와 경찰 또는 의뢰인으로부터의 민간 조사에 대한 신뢰성 증대가 가장 큰 것으로 드러났다. 민간조사학과의 전망과 진로방향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크게 "공인민간조사업법"안의 통과 전과 통과 후로 나뉘어 졌다. 법안의 통과 전은 현재와 같이 민간조사와 유사한 보험회사 조사업무, 외국 민간조사업체, 국내 컨설팅 업체, 경호보안업체로 진출하게 될 것이라고 하였고, 법안이 통과되면 이와 더불어 현재의 경비법인과 같은 민간조사법인이 다수 등장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여 법안 통과 시 민간조사학과가 활성화될 것이라 판단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