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MDF Wood According to Flame Retardant Treatment Method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MDF 목재의 방염성능에 관한 연구

  • 차정민 (경민대학교 소방행정과) ;
  • 현성호 (경민대학교 소방행정과) ;
  • 김인범 (경민대학교 소방행정과) ;
  • 윤명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방재안전연구소)
  • Received : 2011.09.26
  • Accepted : 2011.12.09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n the study, test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for the specimen of MDF wood to which field flame retardant treatment (post processing flame retardant) is applied, which is coated with flame retardant film of 5 companies, locally distributed, and MDF wood (nontreated, flame retardant film non-coated) to which aqueous or oil-based fire-retardant paint is applied. As a result of combustion test of MDF wood which was coated with flame retardant film of 5 companies, 2 products showed suitable values in 4 criteria, but other 3 products showed 10~40 % disqualification rate. In regard of characteristics of fire-retardant paint, oil-based fire-retardant paint is better than aqueous fire-retardant paint in flame retardant performance criteria, but MDF wood to which oilbase fire-retardant paint was applied was shown to have higher toxicity index grade than MDF wood to which aqueous fire-retardant paint was applied relatively.

본 연구에서는 현장방염처리(방염후처리)가 적용되고 있는 MDF 목재에 국내에서 유통되는 5개사 제품을 MDF 목재에 부착한 방염필름과 MDF 목재(무처리, 비방염필름)에 수성 유성 방염도료로 도포된 시편을 대상으로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염처리 방법에 따라 방염성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MDF 목재에 5개사의 방염필름을 부착하여 연소 시험한 결과 2개사 제품은 4가지 기준 내에 적합한 값을 나타냈으나 나머지 3개사 제품은 10~40 %의 불합격률을 나타냈다. 방염도료의 특성별로는 유성방염도료가 수성방염도료보다 방염성능 기준 내에서는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성방염도료를 도포한 MDF 목재에서 수성방염도료를 도포한 MDF 목재에서 보다 독성지수의 위험등급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험도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차정민,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실내건축용 MDF재료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학교도시과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1).
  2. 소방방재청,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2011).
  3. 박성현, "다중이용업소 현장 방염처리물품의 방염 실효성 확보 방안",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 한겨레신문, "고시원 화재 일지"(2008).
  5. 박형주, 곽동일,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는 실내장식재에 대한 방화.방염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15, No.1 pp.45-54(2001).
  6. 오규형, 김황진, 이성은, "방염처리에 따른 화재 지연효과",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2, pp.111-116(2009).
  7. 임남기, 허재원, 박철우, "방염법 및 방염액 종류별 방염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8, No.6, pp.117-122(2008).
  8. 이장원,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의 연소거동과 가스유해성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9. 김인범, 현성호, "방염처리된 단청목재의 방염성능 및 유독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3, No.5, pp.66-71(2009).
  10. 차정민, 김인범, 현성호, "방염처리된 목재의 방염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pp.271-274(2010).
  11. 손연수, "국내 목조문화재의 방염현장과 그 대책에 대한 소고",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 No.2, pp.31-41(1988).
  12. 손연수, "목조 문화재의 방염", 한국소방안전협회, Vol.73, pp.8-12(1993).
  13. 최돈묵, "플라스틱재료 용방염제의 종류 및 방염 특성", 한국소방산업기술원, Vol.31, pp.8-13(1997).
  14. DS 02-713(Defence Standard 02-713), "Determination of the Toxicity Index of the Products of Combustion from Small Specimens of Materials; Issue 2"(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