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egal Issues of Proposed Korean Airport Facility Act

공항시설법 제정(안)의 내용과 쟁점

  • Received : 2011.12.08
  • Accepted : 2011.12.22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Since 1961, Aviation Act has regulated all aspects related to air transport business, aviation safety and airport. However, we are to face the new challenges that have to support air transport business more efficiently and air transportation services to the people effectively in condition of the globally competitive air transport industry. In this sense, the government proposed to devide "Aviation Act" into 'Air Transport Business Act', 'Aviation Safety Act', 'Airport Facility Act' in a timely manner. At first I am to take a look about the laws of traffic-related legislation and national laws of Japanese aviation system, and to evaluate implications. In addition, the background, the organization and the main information of the Act (Draft) will be introduced. And I would like to discuss the issues raised and suggest an alternative. In particular, the name of the Act (Draft), the specifying of airport manager operater, accounting method of airport development projects belong to the nation, the delegation of the authority and other issues are discussed to provide a starting point. In conclusion, the division of current "Aviation Act" is considered absolutely necessary. To stimulate fair competition, safety regulations and efficiency, the legislation process would be desirable in the direction of the total development of the aviation industry as well as ensuring aviation safety.

항공법은 1961년 이래 항공운송사업과 항공안전 및 공항에 관련되는 모든 사항을 규제해 왔다. 그러나 글로벌 경쟁이 필요한 오늘날의 항공운송산업의 여건에서는 국제항공운송시장에서 항공운송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국민들에게 안전한 항공교통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때에 시의적절하게 정부에서 "항공법"을 분법하여 항공사업법, 항공안전법, 공항시설법으로 입법예고를 하였다. 여기에서는 우선 입법예고되어 있는 공항시설법(안) 즉 공항관련법령에 대하여 국내의 교통관련 법제 및 일본의 항공관련법령의 체계를 살펴보고 공항시설법(안)의 편제 등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 보고자 한다. 아울러 동법(안)의 배경과 편제, 주요 내용을 신설하는 사항을 중심으로 주요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어서 동법(안)이 제정되기 전에 논의할 필요가 있는 사항에 대하여 쟁점사항을 도출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공항시설법(안)의 명칭, 공항운영 관리자 지정에 관한 문제, 공항개발사업의 공항시설 국가귀속에 관련되는 회계처리 문제, 행정청의 권한을 위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명문으로 위임하여 권한 행사의 근거를 명확히 하는 문제 등에 대하여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현행 "항공법"을 운송사업에 관한 법, 공항에 관한 법, 항공안전에 관한 법으로 분법하는 것은 각각의 산업을 효과적으로 규제, 촉진 및 조성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즉 항공관련 법령도 수범자, 공정경쟁, 안전규제, 효율성 등의 관점에서 분법이 이루어져 항공산업의 총합적인 발전은 물론 항공안전의 확보 및 공항운영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별법화의 과정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Keywords